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동학의 발생
1862년 농민항쟁의 발생계기
붕당정치의 변질과 정국의 변화
서구자본주의의 침투와 위기의식 고양
수운 최제우
동학사상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없이, 각기 자신의 이익만 따라 살아가는 각자위심의 마음 때문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즉 각자위심이라는 이기주의적인 마음이 팽배하므로 지켜져야 할 명분이 지켜지지 않고, 그러므로 사회적인 혼란이 가중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유교적 질서의 붕괴와 함께 조선조를 견지해 오던 정치적, 사회적 제도 역시 질서를 잃어버리고 혼란으로 치닫게 된다. 윤석산,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동학학술총서>, 2004, 67쪽.
한 사회를 지탱하던 이념이 무너지면, 이내 혼란이 초래된다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따라서 조선조 사회는 극심한 혼란을 맞이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혼란의 와중에서 도참적인 풍조와 이를 신봉하는 미신적인 사고가 사회에 만연하게 된다. 즉 당시의 민중들은 기존의 세계관에서 올바르게 살아갈 바의 방향을 설정하지 못한 채, 불확실한 미래를 예언하는 미신이나 도참에 현혹된다. 그러나 그럴수록 민중들의 삶은 더욱 깊은 혼돈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세상이 어지러워질 때마다 민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참위설이 나돌았다. 세상이 어지러워지고, 마땅히 기댈 수 있는 사회적 가치 기준이 붕괴되면 사람들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하여 막연한 두려움을 갖게 되고, 따라서 미신이나 정감록과 같은 도참, 나아가 길흉화복을 점치는 민간 신앙 등에 자신을 기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기도 하다. 윤석산,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동학학술총서>, 2004, 70쪽.
동학은 조선조 지배 체제를 비판하고 나아가 지배계층의 부패와 부정을 정면으로 부정하며 등장하였다는 시각이 있다. 동학이 지향하는 후천개벽 사상에는 지배계층과 피지배 계층이라는 대립의 양상이 내재하게 되고, 나아가 후천개벽은 피지배 계층의 지배 계층에 대한 투쟁을 통한 혁세 또는 혁명의 논리로 발전한다. 또 이와 같은 논의에는 외세의 침입으로부터 스스로를 지켜야 한다는 민족주의의 논리 역시 담기게 된다. 즉 동학 창도의 배경에는 ‘체제 혁명’을 위한 이념이 담겨져 있다고 보는 것이 지금까지 대부분의 논의이다. 그러나 수운 최제우는 당시 사회의 제도나 체제의 문란이 조선조 사회를 부패와 질곡으로 몰아간 것으로 보기보다는, 좀 더 근원적으로 인간의 내적 문제인 윤리적인 타락이 부패와 혼란을 초래하였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엄밀하게 말해서, 최제우는 당면했던 당시 시대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도나 체제의 비판을 통해 그 변혁을 촉구한 것이 아니라, 타락하고 부패한 시대적, 사회적 윤리를 어떻게 하면 다시 회복할 수 있는가에 관심이 있었다. 즉 최제우는 제도나 체제의 변혁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보다 인간 내면의 문제인 타락한 윤리, 타락한 심성을 한울님의 도와 덕을 통해 회복하여 새로운 삶의 질서를 이룩하고자 동학을 창도한 것으로 생각된다. 윤석산,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동학학술총서>, 2004, 14-15쪽.
참고문헌
홍석, “강좌 한국근현대사”, <역사학연구소>, 1995.
윤석산,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동학학술총서>, 2004.
강만길 외,“중세사회의 해체”, <한국사>, 1994.
김용섭, “조선후기에 있어서 신분제의 동요와 농지점유”, <조선후기농업사연구>,
일조각, 1970.
이경식, “17세기 농지개간과 지주제 전개”, <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1973.
한명기, “사회 세력의 위상과 저항”, <조선정치사>, 청년사, 1990.
신복룡,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 평민사, 1985.
오문환, “수운 최제우”, <예문동양사상 연구원>, 예문서원, 2005.
오문환, “해월 최시형의 정치사상”, <동학학술총서>, 모시는 사람들, 2003.
두산대백과사전
www.korearoot.net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3.14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0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