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학가사란?
2. 수운 최제우의 생애
3.『동경대전東經大典』에 관하여
4.『용담유사』에 관해서
5. 수운 최제우의 동학사상
Ⅲ. 결론
Ⅱ. 본론
1. 동학가사란?
2. 수운 최제우의 생애
3.『동경대전東經大典』에 관하여
4.『용담유사』에 관해서
5. 수운 최제우의 동학사상
Ⅲ. 결론
본문내용
동학서 「검가」는 평안도 용강에서 관이 몰수한 문건 중에 포함되어 있었다. 앞부분에 “청의장삼 용호장이 여차여차 우여차라.”라는 글귀와 마지막에“태평가를 불러내어 시호시호 득의로다. 왈이동방(曰爾東方)제자들아 너도 득의 나도 득의 우리집도 득의로다”라는 글귀가 덧붙어 있었다. 이 덧붙인 글귀만 빼면 거의 같은 내용으로 되었다. 그리고 동학서 「검가」에는 “계운(桂雲)은 무수장삼”이라 하였고 다른 「검가」에는 “게으른 무수장삼”이라 하였다. 계운(桂雲)은 구름을 듯하는 것 같으나 이런 용어는 없다. 이런 구름이 우주를 덮었다고 표현했으나 우리들이 받아들이는 느낌은 구름이 우주를 덮는다면 답답한 기운이 든다. 오히려 게으른 무수장삼(舞袖長衫)이라면 장삼자락의 우주를 덮는다는 느낌이 그럴듯하게 느껴진다. 서헌순의 징계에 있는 검가에는 나수장삼(懶袖長衫)이라 하여 게으른 장삼이라 하였다.
5. 수운 최제우의 동학사상 。崔濟愚,東經大典-敎材用,天道敎 中央本部 刊,1986.2.
(1) 수운 최제우의 동학사상
그의 동학사상은 제세안민(濟世安民)의 과제가 위로 군왕이나 양반 지배층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민족성윈이 보국안민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근대적 민족의 발견자이다. 그의 동학사상이 양반층의 주자학적 이데올로기와는 달리 서민들의 민속 신앙적 주술적 강령이나 영부, 선약 등의 주술적 방편을 통해 오히려 유교·불교·도교의 새로운 종합이라는 대담한 사상적 재창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고 서학(西學)에 대한 대항 의식으로 동학을 창조하는 근대적 민족 종교를 형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성 왕조사회에서 금기되던 도교적 신선사상이나 왕조 성쇠의 참위설적 예언 등 풍수 도참설을 수용하여 조선 왕조가 쇠운에 직면했다는 역사 예언을 통해 억압받던 민중의 새역사 의식을 만들어 주었다.
1860년 이후에 전개된 교조신원운동, 동학농민혁명, 3.1독립운동에 이르는 우리나라의 근대적 민족사 전개의 사상적 토대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최제우의 동학은 가장 기본적인 정신사적 문화유산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이제 동학사상에 대한 이해와 종합적 평가를 내려보자. 이미 앞에서 본 대로 동학사상의 틀은 신유학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그의 출신 배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 그의 의식이 자신의 불우한 처지에서 민중의 처지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서 민간의 무속신앙을 받아들였음도 보았다. 이렇게 자신의 학문적 배경에 자신의 의식의 확대가 더해져서동학은 발전하였다. 동학의 핵심은 侍天主 사상이다. 한울님을 내 몸안에 모셨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면의 존재에 대한 인지는 동학에서 처음 주창한 것은 아니었다. 동양학, 특히 신유학의 3가지 구성인 기,이,심학이 태극을 맑음으로 보고 一元사상으로 풀이한 것은 이미 동양학이 내면의식에 눈을 돌렸음을 보여준다. 동학은 이러한 신유학의 내면 의식으로의 인지를 天主라는 形而下의 有의 모습으로 표현했으며 한울님이라고 한 것이다. 물론 천주라는 용어는 서학의 천주와 같은 것이나 이것은 내면의식의 존재에 대한 정의로 서학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결국 동학은 유불선의 영향을 받은 신유학의 이론적 틀 안에 민중의 형식을 취함으로써 그때까지 양반의 독점사상이었던 동양학을 민중의 사상으로 확대시켰다. 기존의 신유학이 많은 독서와 사색을 필요로 하는 귀족의 학문이었는데 민중들에게는 이렇게 사색하고 독서할 여유가 없었다. 그래서 <교훈가>에서 “나는 도시 믿지 말고 한울님을 믿었어라. 네 몸에 모셨으니 사근취원하단말가”라고 했고 또 ‘주문을 열심히 외우고 한울님을 공경하면 3년이면 득도를 한다’는 내용들은 민중의 생활도 고려한 것이라 보여진다. 즉, 동학에 의하여 동양학의 내면 의식에 대한 자각이 확고하게 정립이 되고 이러한 새로운 정립이 다시 귀족의 독점물이 되지 않고 민중에게로 실천적인 방법과 함께 돌려진 것은 동학이 가지는 의의가 되는 것이다.
동학사상은 시천주 사상에서 범신론적인 의미를 가진다. <논학문>의 “내가 동에서 나서 동에서 받았으니 도는 비록 천도라고 하지만 학인즉 동학이라”라는 대목에서 그 근본은 서학과도 일맥상통함을 보여주며 이러한 범신론적인 바탕으로 동학은 반계급주의적 절대 평등주의를 지향한다. 또 동학은 ‘보국안민’,‘광제창생’의 슬로건에서도 볼 수 있듯이 민족주의적인 성격도 띤다. 이것은 조선 후기의 어지러운 세상을 개벽하기 위해서 동학이 가져야 하는 필연적인 요소들이라고 보여지며 동양학이 정립되어야 할 필요성과 맞물린 것으로 보여진다. 그래서 동학사상을 바탕으로 일어난 동학혁명은 최제우의 의식의 전개과정이 민족의 현실을 개벽하기 위한 실천적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라 생각된다.
동학사상이 조선후기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사라진 것은 동학혁명의 실패와 관련이 있다. 동학혁명의 실패는 후천 개벽의 좌절이고 다시금 제국주의와 권력자들의 손아귀에 민중이 굴복하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동학사상이 비록 동학혁명을 계기로 크게 쇠퇴하나 최시형과 손병희를 거치면서 그 교리는 더욱 확고해졌고 신유학의 틀을 크게 벗어나게 되어 독자적인 학문으로서 발돋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동학사상이 시대에 적응해 나가는 모습은 손병희의 인내천 사상의 왜곡과 함께 한다. 즉, 그 이름만이 무성하고 그 뜻은 제대로 세워지지 않은 것이다. 오늘날의 동학이 천도교로 이름을 바꾸어 사상에서 신앙이 되었으나 일반인들에게 민족종교중의 하나로 밖에 인식되지 않는 것은 이러한 인내천 사상의 왜곡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왜곡을 바로 잡고 근대 한국을 대표하는 사상으로서 다시금 동학은 재평가되어야 하며 100년전의 상황과 매우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현재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사상으로서 동학은 신동학으로 다시 태어나야 할 것이다. 동학사상이 아직 그 이론의 틀을 신유학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였으므로 현대의 정신 과학적 방법과 서구의 새로운 사상을 대폭 수용하여 그 실천적 틀에서나 이론적 틀에서나 개벽이 있어야만 동학은 신동학으로서 새롭게 태어날것이다. 이 재탄생의 몫은 최제우가 했던 것처럼 더 이상 어떤 한사람의 몫은 아니다. 이것은 오늘을 고민하는 지식인과 민중들의 몫인 것이다.
5. 수운 최제우의 동학사상 。崔濟愚,東經大典-敎材用,天道敎 中央本部 刊,1986.2.
(1) 수운 최제우의 동학사상
그의 동학사상은 제세안민(濟世安民)의 과제가 위로 군왕이나 양반 지배층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민족성윈이 보국안민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근대적 민족의 발견자이다. 그의 동학사상이 양반층의 주자학적 이데올로기와는 달리 서민들의 민속 신앙적 주술적 강령이나 영부, 선약 등의 주술적 방편을 통해 오히려 유교·불교·도교의 새로운 종합이라는 대담한 사상적 재창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고 서학(西學)에 대한 대항 의식으로 동학을 창조하는 근대적 민족 종교를 형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성 왕조사회에서 금기되던 도교적 신선사상이나 왕조 성쇠의 참위설적 예언 등 풍수 도참설을 수용하여 조선 왕조가 쇠운에 직면했다는 역사 예언을 통해 억압받던 민중의 새역사 의식을 만들어 주었다.
1860년 이후에 전개된 교조신원운동, 동학농민혁명, 3.1독립운동에 이르는 우리나라의 근대적 민족사 전개의 사상적 토대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최제우의 동학은 가장 기본적인 정신사적 문화유산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이제 동학사상에 대한 이해와 종합적 평가를 내려보자. 이미 앞에서 본 대로 동학사상의 틀은 신유학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그의 출신 배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 그의 의식이 자신의 불우한 처지에서 민중의 처지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서 민간의 무속신앙을 받아들였음도 보았다. 이렇게 자신의 학문적 배경에 자신의 의식의 확대가 더해져서동학은 발전하였다. 동학의 핵심은 侍天主 사상이다. 한울님을 내 몸안에 모셨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면의 존재에 대한 인지는 동학에서 처음 주창한 것은 아니었다. 동양학, 특히 신유학의 3가지 구성인 기,이,심학이 태극을 맑음으로 보고 一元사상으로 풀이한 것은 이미 동양학이 내면의식에 눈을 돌렸음을 보여준다. 동학은 이러한 신유학의 내면 의식으로의 인지를 天主라는 形而下의 有의 모습으로 표현했으며 한울님이라고 한 것이다. 물론 천주라는 용어는 서학의 천주와 같은 것이나 이것은 내면의식의 존재에 대한 정의로 서학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결국 동학은 유불선의 영향을 받은 신유학의 이론적 틀 안에 민중의 형식을 취함으로써 그때까지 양반의 독점사상이었던 동양학을 민중의 사상으로 확대시켰다. 기존의 신유학이 많은 독서와 사색을 필요로 하는 귀족의 학문이었는데 민중들에게는 이렇게 사색하고 독서할 여유가 없었다. 그래서 <교훈가>에서 “나는 도시 믿지 말고 한울님을 믿었어라. 네 몸에 모셨으니 사근취원하단말가”라고 했고 또 ‘주문을 열심히 외우고 한울님을 공경하면 3년이면 득도를 한다’는 내용들은 민중의 생활도 고려한 것이라 보여진다. 즉, 동학에 의하여 동양학의 내면 의식에 대한 자각이 확고하게 정립이 되고 이러한 새로운 정립이 다시 귀족의 독점물이 되지 않고 민중에게로 실천적인 방법과 함께 돌려진 것은 동학이 가지는 의의가 되는 것이다.
동학사상은 시천주 사상에서 범신론적인 의미를 가진다. <논학문>의 “내가 동에서 나서 동에서 받았으니 도는 비록 천도라고 하지만 학인즉 동학이라”라는 대목에서 그 근본은 서학과도 일맥상통함을 보여주며 이러한 범신론적인 바탕으로 동학은 반계급주의적 절대 평등주의를 지향한다. 또 동학은 ‘보국안민’,‘광제창생’의 슬로건에서도 볼 수 있듯이 민족주의적인 성격도 띤다. 이것은 조선 후기의 어지러운 세상을 개벽하기 위해서 동학이 가져야 하는 필연적인 요소들이라고 보여지며 동양학이 정립되어야 할 필요성과 맞물린 것으로 보여진다. 그래서 동학사상을 바탕으로 일어난 동학혁명은 최제우의 의식의 전개과정이 민족의 현실을 개벽하기 위한 실천적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라 생각된다.
동학사상이 조선후기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사라진 것은 동학혁명의 실패와 관련이 있다. 동학혁명의 실패는 후천 개벽의 좌절이고 다시금 제국주의와 권력자들의 손아귀에 민중이 굴복하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동학사상이 비록 동학혁명을 계기로 크게 쇠퇴하나 최시형과 손병희를 거치면서 그 교리는 더욱 확고해졌고 신유학의 틀을 크게 벗어나게 되어 독자적인 학문으로서 발돋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동학사상이 시대에 적응해 나가는 모습은 손병희의 인내천 사상의 왜곡과 함께 한다. 즉, 그 이름만이 무성하고 그 뜻은 제대로 세워지지 않은 것이다. 오늘날의 동학이 천도교로 이름을 바꾸어 사상에서 신앙이 되었으나 일반인들에게 민족종교중의 하나로 밖에 인식되지 않는 것은 이러한 인내천 사상의 왜곡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왜곡을 바로 잡고 근대 한국을 대표하는 사상으로서 다시금 동학은 재평가되어야 하며 100년전의 상황과 매우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현재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사상으로서 동학은 신동학으로 다시 태어나야 할 것이다. 동학사상이 아직 그 이론의 틀을 신유학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였으므로 현대의 정신 과학적 방법과 서구의 새로운 사상을 대폭 수용하여 그 실천적 틀에서나 이론적 틀에서나 개벽이 있어야만 동학은 신동학으로서 새롭게 태어날것이다. 이 재탄생의 몫은 최제우가 했던 것처럼 더 이상 어떤 한사람의 몫은 아니다. 이것은 오늘을 고민하는 지식인과 민중들의 몫인 것이다.
추천자료
위안부 재판
IMF & GATT 체제의 성립과 붕괴
[WTO통상협정] 우루과이라운드
시대별건축의 형태 [1960 ∼ 1970]
재일동포 현황과 해결해야 할 방안
의상분석
엘리아스 카네티의 군중과 권력을 읽고 독창적인 독후감 써오기
한.미 FTA를 넘어 <국내 기업의 한&#8228;EU FTA 활용전략>
예술가 오지호
김기림 태양의풍속에서 나타난 근대성
영국증권 시장의 구조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일본의 경제발전에 대한 고찰
[조선대 인강] 프랑스문화와예술 2006년 ~ 2012년 퀴즈 문제 + 강의 정리본입니다.
[항공사 및 항공서비스]항공의 역사,항공라운지 서비스,퍼스트클래스,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