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같이 피히테가 자신의 철학을 지식학이라고 부른다. 이에 따라서 그는 칸트가 주관인식부터 현상세계를 이해하려고 하는 관점을 받아들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간트에게 현상세계는 주체와 객체가 종합하는 결과이다. 하지만 주체와 객체는 서로 독립적이고 연관하지 않은 것이다. 바로 인간들이 알 수 없는 물자체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부터 피히테가 칸트와 다른 길에 가게 된 것이다. 피히테가 인식할 수 없는 물자체를 부정하고 우리의 세계는 형식상이나 내용상 다만 자아의 산물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객관을 주관 속에 통일화시킨다. 즉 자아는 주체도 이고 객체도 이고 의식도 일 뿐만 아이나 존재도 이다. 페히테에서 자아가 비자아을 설정해서 객체가 주체에서 나온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피히테의 자아개념은 칸트의 통각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다르게 봐야 한다. 칸트가 말하던 통각은 감성과 오성의 근원이라고 하면 피히테의 자아는 감성과 오성뿐만 아니라 이론과 실천,이성과 의지의 공동적이 근원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주체와 객체의 측면에서 피히테가 칸트의 이원론을 극복하여 자아로서 주객체을 동일하게 하는 주관적 일원론을 도달했다. 그러나 주체와 객체의 동일관계에 대해 독일 관념론자들에게 계속 발전 하고 있다. 피히테의 자아는 주체와 개체의 동일이라고 하지만 주관적 동일이다. 결국 셸링이 피히테에게 영향을 받아서 새로운 \"절대적 동일\"으로서 참다운 주객체의 동일을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객관적 관념론 .
아무튼 주체와 객체의 관계측면에서 피히테의 <모든 지식학의 기초>는 주관적 주객체의 동일을 제기하여 칸트의 주개체 이원론을 극복하여 이후에 셸링과 헤겔의 객관적 주객체 동일관에게 도 깊게 영향을 주었다. 피히테가 <모든 지식학의 기초>에서 제기된 자아-비자아를 통해서 역시 근대 관념론에게 지나간 것을 계승하여 미래를 개척하는 역할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
<모든 지식학의 기초> 피히테, 왕구행 연, 출판사 중국 상무인설관
<외국 철학대사전> 풍설 등 , 중국 상해 사설출판사
baidu 백과
http://baike.baidu.com/item/%E7%BA%A6%E7%BF%B0%C2%B7%E6%88%88%E7%89%B9%E5%88%A9%E5%B8%83%C2%B7%E8%B4%B9%E5%B8%8C%E7%89%B9?fromtitle=%E8%B4%B9%E5%B8%8C%E7%89%B9&fromid=936978&type=search
물론 피히테의 자아개념은 칸트의 통각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다르게 봐야 한다. 칸트가 말하던 통각은 감성과 오성의 근원이라고 하면 피히테의 자아는 감성과 오성뿐만 아니라 이론과 실천,이성과 의지의 공동적이 근원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주체와 객체의 측면에서 피히테가 칸트의 이원론을 극복하여 자아로서 주객체을 동일하게 하는 주관적 일원론을 도달했다. 그러나 주체와 객체의 동일관계에 대해 독일 관념론자들에게 계속 발전 하고 있다. 피히테의 자아는 주체와 개체의 동일이라고 하지만 주관적 동일이다. 결국 셸링이 피히테에게 영향을 받아서 새로운 \"절대적 동일\"으로서 참다운 주객체의 동일을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객관적 관념론 .
아무튼 주체와 객체의 관계측면에서 피히테의 <모든 지식학의 기초>는 주관적 주객체의 동일을 제기하여 칸트의 주개체 이원론을 극복하여 이후에 셸링과 헤겔의 객관적 주객체 동일관에게 도 깊게 영향을 주었다. 피히테가 <모든 지식학의 기초>에서 제기된 자아-비자아를 통해서 역시 근대 관념론에게 지나간 것을 계승하여 미래를 개척하는 역할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
<모든 지식학의 기초> 피히테, 왕구행 연, 출판사 중국 상무인설관
<외국 철학대사전> 풍설 등 , 중국 상해 사설출판사
baidu 백과
http://baike.baidu.com/item/%E7%BA%A6%E7%BF%B0%C2%B7%E6%88%88%E7%89%B9%E5%88%A9%E5%B8%83%C2%B7%E8%B4%B9%E5%B8%8C%E7%89%B9?fromtitle=%E8%B4%B9%E5%B8%8C%E7%89%B9&fromid=936978&type=search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