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애인의 이해
1. 청각장애인
2. 시각장애인
3. 지적장애인
4. 뇌병변장애인
5. 지체장애인
6. 경련의 병력을 가진 사람
* 참고문헌
1. 청각장애인
2. 시각장애인
3. 지적장애인
4. 뇌병변장애인
5. 지체장애인
6. 경련의 병력을 가진 사람
* 참고문헌
본문내용
움을 줄 수도 있다. )
지체장애인의 경우 보통 휠체어와 목발을 사용한다. 자원봉사자는 물론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휠체어와 목발을 가지고 장난해서는 안 되며, 습기로 인해 녹슬지 않게 잘 보관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아울러 지체장애인이 있는 시설이나 기관에서 자원봉사 할 때에는 휠체어 사용방법과 계단 오르는 방법 등을 훈련받아야 한다.
(6) 경련의 병력을 가진 사람
경련(때로는 간질이나 발작이라 함)은 대뇌에서 일어나는 비정상적 자극으로 인하여 몸의 전부 또는 일부의 근육이 갑자기 수축하는 현상이다. 그 원인으로는 질병 등에 의한 고열, 뇌와 감염과 파상풍, 약물중독, 사고, 뇌손상과 비타민 부족, 미네랄 결핍 등을 들 수 있는데 뇌병변장애인에게 볼 수 있다.
경련할 때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하던 일을 멈추고 눈을 깜박이지 않고 빤히 쳐다본다.
갑자기 바닥에 넘어져서 이상한 소리를 지른다.
팔과 다리에 이상한 동작이 나타나고 입에서 거품이 나온다.
머리나 얼굴을 특이한 방법으로 움직인다.
눈을 위쪽으로 치켜뜬다.
머리가 힘없이 아래로 처진다.
경련하는 동안 대소변을 배설하기도 한다.
경련하는 시간은 2-3초 사이에서 10분 정도까지 차이가 많다.
경련할 때 도울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위 사람들에게 겁내지 말고 조용히 하라고 말한다.
환자가 위험한 장소에 있지 않으면 옮길 필요가 없다.
환자의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옷 등을 머리에 받쳐 준다.
단추, 허리띠를 풀어 주고 꼭 끼는 옷을 벗긴다.
경련할 때에는 먹을 것이나 약을 주지 않는다.
이상한 몸짓을 멈추려 하지 않는다.
장애인 중에는 경련을 하는 사람이 있다. 자원봉사하는 시설과 기관에서 경련을 하는 장애인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훈련과 주의를 받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다.
* 참고문헌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자원봉사관리론 - 최유미 저, 공동체, 2015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 김동배 저, 학지사, 2005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지체장애인의 경우 보통 휠체어와 목발을 사용한다. 자원봉사자는 물론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휠체어와 목발을 가지고 장난해서는 안 되며, 습기로 인해 녹슬지 않게 잘 보관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아울러 지체장애인이 있는 시설이나 기관에서 자원봉사 할 때에는 휠체어 사용방법과 계단 오르는 방법 등을 훈련받아야 한다.
(6) 경련의 병력을 가진 사람
경련(때로는 간질이나 발작이라 함)은 대뇌에서 일어나는 비정상적 자극으로 인하여 몸의 전부 또는 일부의 근육이 갑자기 수축하는 현상이다. 그 원인으로는 질병 등에 의한 고열, 뇌와 감염과 파상풍, 약물중독, 사고, 뇌손상과 비타민 부족, 미네랄 결핍 등을 들 수 있는데 뇌병변장애인에게 볼 수 있다.
경련할 때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하던 일을 멈추고 눈을 깜박이지 않고 빤히 쳐다본다.
갑자기 바닥에 넘어져서 이상한 소리를 지른다.
팔과 다리에 이상한 동작이 나타나고 입에서 거품이 나온다.
머리나 얼굴을 특이한 방법으로 움직인다.
눈을 위쪽으로 치켜뜬다.
머리가 힘없이 아래로 처진다.
경련하는 동안 대소변을 배설하기도 한다.
경련하는 시간은 2-3초 사이에서 10분 정도까지 차이가 많다.
경련할 때 도울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위 사람들에게 겁내지 말고 조용히 하라고 말한다.
환자가 위험한 장소에 있지 않으면 옮길 필요가 없다.
환자의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옷 등을 머리에 받쳐 준다.
단추, 허리띠를 풀어 주고 꼭 끼는 옷을 벗긴다.
경련할 때에는 먹을 것이나 약을 주지 않는다.
이상한 몸짓을 멈추려 하지 않는다.
장애인 중에는 경련을 하는 사람이 있다. 자원봉사하는 시설과 기관에서 경련을 하는 장애인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훈련과 주의를 받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다.
* 참고문헌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자원봉사관리론 - 최유미 저, 공동체, 2015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 김동배 저, 학지사, 2005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