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비유의 한 포인트
2. 비유의 역사적 상황
3. 누가의 신학적 의도
4. 삶의 적용
2. 비유의 역사적 상황
3. 누가의 신학적 의도
4. 삶의 적용
본문내용
수 있다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이 비유를 듣고 읽는 당신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가장 많이 할 수 있는 사람들이 바로 교회 사람들이다. 교회 안에서는 가면 뒤에 숨어서 자신의 본성을 숨기고 착한 척, 겸손한 척 하지만, 아무도 없는 상황에서는 입 밖으로 열심히 내었던 ‘사랑’이 온데간데없어지고 만다. 이 비유 속에서 강도만난 사람 옆을 지나가는 상황은 아무도 보지 않던 상황이었다. 이럴 때일수록 자신의 본성이 더 잘 드러나는데, 복음을 실천하는 사람이라면,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이라면 자신을 누가 보던 보지 않던 사랑의 행동이 나와야 한다. 이 페이퍼의 제목을 ‘본능적’ 사랑의 실천이라고 지은 것도 위와 같은 이유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능적’이라는 말이 육체적이고 동물적인 사랑을 뜻하는 것이 아닌,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나오는 사랑의 행위를 뜻한다. 이러한 사랑의 행위야 말로 예수의 삶을 따라가고자 하는 사람들이 걸어야 할 십자가의 길이고, 구원의 길이고, 사랑의 길이다.
참고문헌
김두영(2007).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득중(1991). 『누가의 신학』. 서울: 컨콜디아사.
이러한 생각을 가장 많이 할 수 있는 사람들이 바로 교회 사람들이다. 교회 안에서는 가면 뒤에 숨어서 자신의 본성을 숨기고 착한 척, 겸손한 척 하지만, 아무도 없는 상황에서는 입 밖으로 열심히 내었던 ‘사랑’이 온데간데없어지고 만다. 이 비유 속에서 강도만난 사람 옆을 지나가는 상황은 아무도 보지 않던 상황이었다. 이럴 때일수록 자신의 본성이 더 잘 드러나는데, 복음을 실천하는 사람이라면,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이라면 자신을 누가 보던 보지 않던 사랑의 행동이 나와야 한다. 이 페이퍼의 제목을 ‘본능적’ 사랑의 실천이라고 지은 것도 위와 같은 이유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능적’이라는 말이 육체적이고 동물적인 사랑을 뜻하는 것이 아닌,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나오는 사랑의 행위를 뜻한다. 이러한 사랑의 행위야 말로 예수의 삶을 따라가고자 하는 사람들이 걸어야 할 십자가의 길이고, 구원의 길이고, 사랑의 길이다.
참고문헌
김두영(2007).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득중(1991). 『누가의 신학』. 서울: 컨콜디아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