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화물의 수출입 절차 레포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컨테이너 화물의 수출입 절차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컨테이너 운송의 중요성과 부산항의 물동량

2. 컨테이너 및 컨테이너 운송의 개요
1) 컨테이너의 의의
2) 컨테이너 운송의 특징
3) 컨테이너의 종류
4) 컨테이너 운송의 수송형태

3. 컨테이너 화물의 수출절차
1) FCL화물의 수출 절차
2) LCL화물의 수출 절차

4. 컨테이너 화물의 수입 절차

5. 주요 내용 요약

본문내용

CFS로 (CY/CFS) 반입시켜야 한다.
컨테이너 수입물품이 고철, 원피, 원면, 살물 등과 같이 보세구역에 반입하기 곤란하거나 물품검역 등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물품 및 기타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20일의 범위내에서 세관장에게 장치기간 연장신청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공컨테이너는 공컨테이너 장치장으로 이송되어 수 일 보관된 후 ODCY나 수화주의 반출 요청이 있을 시 Gate를 이용하여 내륙으로 수송된다. 또한 양하된 환적 컨테이너는 S/C 장치장으로 이송되어 수일간 보관되며, 해당 선박이 입항하면 선적된다.
⑦ 수입통관
수입통관은 적화목록이 제출된 이후에 세관이 수입상으로부터 수입신고를 접수받아 수입심사 후 수입신고필증을 교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입항전수입신고 또는 보세운송신고가 수리된 물품은 본선양륙과 동시에 차상으로 즉시 반출하거나 최소한 통관장 등에 반입된 날로부터 5일 이내에 부두에서 반출해야 하며, 부득이 한 경우 5일의 범위내에서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⑧ 화물인도지시서 발행과 인도
수입상이 B/L원본을 제출하면 선사의 점소 및 대리점은 그에 따라 화물인도지시서(D/O: Delivery Order), 운임청구서(Freight Bill)를 발행하여 수하인에게 교부한다.
수입상은 화물인도지시서와 교환하여 FCL화물은 CY에서 LCL화물은 CFS에서 운임과 창고료 등의 기타비용을 영수하고 화물을 인수한다.
⑨ 빈 컨테이너 반납
화주가 인수해 간 컨테이너의 반송은 원칙적으로 Full Container를 Pick-Up했던 ODCY로 반납해야 하나 예외적으로 선사가 지정한 내륙 컨테이너 Depot나 CY에 반납할 수 있다. 이때 선사가 정한 Free Time을 경과하여 반납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 지체료가 부가된다.
가) 환적 컨테이너
환적 컨테이너는 외항선박에 의해 터미널에 도착한 후 장치장에 장치되었다가 해당 선박이 입항하면 선적되어 터미널을 떠나게 된다. 터미널에 도착한 선박이 컨테이너를 양하한 후 다시 적하할 선박이 도착할 때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수입컨테이너 보다는 장치기간이 길다.
나) 재유통 공컨테이너
재유통 공컨테이너는 컨테이너터미널 내의 CFS를 이용한 수입 LCL화물을 싣고 온 컨테이너와 반출되었던 수입 컨테이너 중 화물을 화주에게 인도한 후 공컨테이너 상대로 다시 터미널 내로 반입되어 터미널 내 공컨테이너 장치장에 장치되어 다시 사용되기를 기다리는 컨테이너이다. 따라서 장치기간이 일반 수입·수출 컨테이너보다 길고 단적수도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다) 선내이적 컨테이너
선내이적(Overstow) 컨테이너는 해당 컨테이너 터미널의 목적지가 아닌 컨테이너로서 선내의 다른 컨테이너 양·적하를 위하여 잠시 양·적하되는 컨테이너이다. 이 컨테이너의 움직임은 터미널의 장치장과는 전혀 관계가 없지만 갠트리크레인으로 작업을 하므로 하역시스템과 관계가 있다.
5. 주요 내용 요약
앞에서 우리는 컨테이너의 개념과 수송형태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컨테이너 화물의 수출입흐름을 FCL과 LCL로 나누어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현재 이용되는 CY는 2종류로 구분된다. On-Dock은 터미널 내의 CY를 말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터미널의 CY를 선사가 터미널과 계약해 선사의 CY처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Off-Dock은 배가 접안하는 시설인 Dock와 동떨어져있는 CY를 말한다.
현재 Off-Dock CY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 번째가 도로 체증 문제이다. Off-Dock CY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터미널이나 재래부두에서 다시 Off-Dock CY로 운송해야 함으로 도로체증 초래한다. 두 번째는 물류절차의 복잡화와 사회적 물류비용의 증가문제이다. Off-Dock CY는 유통경로의 복잡성으로 인한 사회 전체적으로 물류비용를 증가시키고, 수출입 통관의 지연, 물류비 증가로 인한 수출입 경쟁력 저하 등의 결과를 초래하게 도니다. 그 밖에 일반 제조업체로 치면 공장과 같은 ODCY가 부산시내에 존재하면서 소음 및 도시 경관 저해 등으로 인한 주민 거주에 피해를 주고 있다.
그러므로 Off-Dock CY를 On-Dock CY로 대체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On-Dock CY는 신속한 수출입 통관 및 화물인수라는 장점을 가진다. On-Dock CY의 경우 화주가 수입화물을 인수하는 경우 터미널에서 하역, 통관, 세관검사 등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속한 화물인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Off-Dock CY에 비해 최대 3일 정도 통관시기가 차이 나기도 한다. 또한 저렴한 비용이 On-Dock CY의 큰 장점이다. ODCY비용체계를 보면 터미널기본료(선내, 마샬링) +셔틀료(OFF-DOCK CY까지) + CY HANDLING CHARGE(상하차료, 보관료)로 구성되어 있지만, On-Dock CY 비용체계는 본선하역료(선내) + ON-DOCK CY 사용료로 구성되어 이러한 비용체계 때문에 실제 Off-Dock CY를 사용하는 선사의 경우 Off-Dock CY를 사용하는 경우 보다 선사에 따라 다르지만 약 21-25% 정도의 물류비가 절감된다.
현재 부산항에서는 컨테이너 전용 터미널 부족 및 부두내 컨테이너야드(On-Dock CY)가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기에 아직도 부족하여 터미널 내에서 통관되지 못하고 2004년 기준 24%의 컨테이너 화물이 재래부두를 통하여 하역(선적 및 양하)됨으로 Off-Dock CY에서 많은 물량이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ODCY는 부산항의 수영, 용당, 우암지역에 존재하며 ODCY로 인한 문제점 때문에 국토해양부 시책에 의해 수영, 감만지역 등의 일부 CY는 폐쇄되었다.
Off-Dock CY의 문제점을 보완하며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On-Dock CY가 활성화 되어야한다. 실제로 97-98년의 우암터미널, 한진 감천 터미널 개장, 신선대 터미널 선석 확장 등에 의해 기존의 ODCY위주의 항만하역 체계에서 On-Dock CY 위주의 컨테이너 항만으로 이동 중이며, 부산 신항의 정상화와 함께 터미널의 On-Dock CY 서비스 제공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12.14
  • 저작시기201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0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