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퇴계가 강조한 ‘이(理)’철학의 개념을 사단칠정논쟁을 통해 정리해보고, 성리학에서 말하는 이(理)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신의 생각을 제출해 보시오.
2. 율곡의 철학에서 말하는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의 정체를 도덕과 욕망의 관점에서 설명해보시오.
3. 조선의 실학자들이 고민했던 당시 시대의 문제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논하시오.
2. 율곡의 철학에서 말하는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의 정체를 도덕과 욕망의 관점에서 설명해보시오.
3. 조선의 실학자들이 고민했던 당시 시대의 문제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논하시오.
본문내용
사실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하려는 태도.
의 가치관으로 조선 후기의 문제 상황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신분제도가 분해되고 농민층이 흔들이는 조선 후기의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여 왕도정치의 유교적 이상향을 실현하고자 하는 학자들의 고민이 담겨있는 학문이다.
실학자들은 원래 성리학 학자들이다. 그러나 성리학이 현실 문제에 관심을 두지 않은 것을 비판하고 나라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뜻에서 실학의 발달이 이루어졌다. 실학자들은 자신들이 고민하는 당대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여려 갈래로 나뉘게 된다.
농촌 문제에 관심을 둔 실학자들은 농민들이 잘사는 법에 대해 고민했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유형원, 정약용 등이 있으며 농민들에게 땅을 골고루 나누어 주어야 한다고 토지 제도 개혁을 주장하기도 하고 과학적인 농사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청나라의 발전된 문물을 받아들여 상공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실학자들도 있었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박지원과 박제가 등이 있으며 박지원은 ‘열하일기’를 통해 박제가는 ‘북학의’를 통해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소개하는 책을 만들었다.
이러한 백성들을 위한 학문인 실학이 왜 성공하지 못했을까? 나는 그 당시 조선은 성리학 중심의 사회였고 실학을 연구하는 대부분 학자가 정치와 거리가 멀거나 중인이었기 때문에 정치적 힘이 없어서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정말 아쉬운 것은 실학은 우리 생활에 정말 유용하고 나라를 번영시킬 수 있는 좋은 학문이었음에도 그 당시 사회적 상황 때문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왜 높은 신분의 사람들을 조선 당대의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현명히 대처하지 못했던 것일까. 당파싸움에만 집중했던 조선의 조정이 한탄스러울 따름이다.
그나마 동학운동에서 정약용의 경세유포가 반영되면서 개화사상이 널리 퍼져 백성들의 인식이 깨어졌다는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전에 실학이 반영되었다면 백성들은 더 살기 좋아지고 어쩌면 일제 강점기가 오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아쉬움은 어쩔 수 없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한다. 우리는 이러한 과거를 반성하고 기억하여 다시는 이러한 안타까운 상황이 오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1. 이황 저, 윤사순 유정동 역, 한국의 유학사상, 삼성출판사,
2. 황광욱 외 지음, 한권으로 읽는 한국철학, 동녘
3. 황준연 저, 율곡 철학의 이해, 서광사
4. 정성철저 ,실학파의 철학사상과 사회정치적 견해 . 백의.
의 가치관으로 조선 후기의 문제 상황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신분제도가 분해되고 농민층이 흔들이는 조선 후기의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여 왕도정치의 유교적 이상향을 실현하고자 하는 학자들의 고민이 담겨있는 학문이다.
실학자들은 원래 성리학 학자들이다. 그러나 성리학이 현실 문제에 관심을 두지 않은 것을 비판하고 나라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뜻에서 실학의 발달이 이루어졌다. 실학자들은 자신들이 고민하는 당대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여려 갈래로 나뉘게 된다.
농촌 문제에 관심을 둔 실학자들은 농민들이 잘사는 법에 대해 고민했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유형원, 정약용 등이 있으며 농민들에게 땅을 골고루 나누어 주어야 한다고 토지 제도 개혁을 주장하기도 하고 과학적인 농사 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청나라의 발전된 문물을 받아들여 상공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실학자들도 있었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박지원과 박제가 등이 있으며 박지원은 ‘열하일기’를 통해 박제가는 ‘북학의’를 통해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소개하는 책을 만들었다.
이러한 백성들을 위한 학문인 실학이 왜 성공하지 못했을까? 나는 그 당시 조선은 성리학 중심의 사회였고 실학을 연구하는 대부분 학자가 정치와 거리가 멀거나 중인이었기 때문에 정치적 힘이 없어서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정말 아쉬운 것은 실학은 우리 생활에 정말 유용하고 나라를 번영시킬 수 있는 좋은 학문이었음에도 그 당시 사회적 상황 때문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왜 높은 신분의 사람들을 조선 당대의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현명히 대처하지 못했던 것일까. 당파싸움에만 집중했던 조선의 조정이 한탄스러울 따름이다.
그나마 동학운동에서 정약용의 경세유포가 반영되면서 개화사상이 널리 퍼져 백성들의 인식이 깨어졌다는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전에 실학이 반영되었다면 백성들은 더 살기 좋아지고 어쩌면 일제 강점기가 오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아쉬움은 어쩔 수 없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한다. 우리는 이러한 과거를 반성하고 기억하여 다시는 이러한 안타까운 상황이 오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1. 이황 저, 윤사순 유정동 역, 한국의 유학사상, 삼성출판사,
2. 황광욱 외 지음, 한권으로 읽는 한국철학, 동녘
3. 황준연 저, 율곡 철학의 이해, 서광사
4. 정성철저 ,실학파의 철학사상과 사회정치적 견해 . 백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