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백제사를 전체적으로 정리 건국부터 멸망까지 시대별 정리 및 주요 사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 백제사를 전체적으로 정리 건국부터 멸망까지 시대별 정리 및 주요 사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백제의 건국

3. 백제의 정치구조
1) 좌보 우보의 설치
2) 좌장 좌평제의 성립
3) 상좌평의 설치와 중국 관제 수용
4) 22부사체제의 성립
5) 공민화의 진전과 담로제의 실시
6) 육좌평제체로의 재편

4. 백제의 멸망

5. 결론

본문내용

않지만, 한둘을 제외하면 거의 일치하는 동시에 6이라는 숫자가 같다는 점에 주목한 것이었다. 그러나 당의 관료체제에서 상서육부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며 삼성육부, 구사오감을 당 관료체제의 구성요소라고 볼 경우, 백제에서 이에 대한 비교대상을 선정하려면 육좌평은 물론 예하의 18부까지도 포함시켜야 한다. 관사 구성방식 상 육좌평은 상서육부와 18부는 구사오감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특히 18부는 직무상으로 총괄적인 문서행정보다는 직접적인 실무의 집행에 가깝다는 점에서 더욱 구사오감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6좌평-18부의 관사조직은 6세기 중반에 성립된 22部司體制를 개편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의사결정구조 또한 22부사체제에서 일부 개편되었다. 육좌평이 등장한 이후 좌평회의의 참여자는 정원이 철폐되어 대폭 증가함과 동시에 관료화된 육좌평이 그 중심이 되었으며 귀족의 이익을 대변하는 속성이 매우 약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참여자가 늘어나면서 전체회의와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최상위 의결기구로서의 권위도 추락하였다. 또한 육좌평과 18부가 일정한 연계를 가지게 되어 18부의 대부분이 왕권에 장악되었으므로, 22부사체제에서 가지고 있었던 외관 10부에 대한 의사결정권까지도 약화되었다.
4. 백제의 멸망
당의 강경정책이 고구려에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한반도 삼국의 동요가 시작되었다. 이 움직임은 삼국에 있어서 대내적으로 각각의 권력집중을 유발 하고 대외적으로는 백제, 고구려의 동맹에 대한 신라의 대당 밀착이라고 하는 국제관계를 초래하였다. 백제 멸망의 원인을 아무리 내부에서 찾는다 하더라도 결국 백제 멸망의 직접적인 원인은 대당외교의 실패에 있다. 하지만 외교정책의 변화야 말로 내부정세의 변화를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결과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백제가 당으로부터 외면당하게 된 직접적인 원인은 645년 당의 고구려 원정에서 비롯되었다. 645년 당의 고구려 원정 시에 신라는 3만의 대군을 동원하여 고구려를 공격하여 적극적으로 당을 도왔으나, 백제는 군수물자만 지원하고 오히려 신라를 공격하여 7성을 빼앗았던 것이다. 이러한 백제의 행동에 대해 당은 강한 의심을 품게 되었고 백제보다 신라를 더 충실한 동맹국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이를 발판으로 신라는 더 적극적으로 대당외교에 나서 나당연합을 맺는데 성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의자왕은 652년부터 대당외교의 실패를 만회할 새로운 동맹 세력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만 했다. 이에 따른 의자왕의 선택은 전통적인 우호관계에 있던 왜와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것이었고 그러한 노력이 653년 왜와 통호하게 되었다는 기사로 남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구려와의 관계 개선에도 나서 652654년경에는 동맹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러한 동맹관계의 첫 군사행동이 655년 고구려, 말갈과 연합한 백제가 신라 북변을 공격하여 33성을 함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렇다하더라도 백제와 고구려의 동맹관계는 적극적인 군사적 지원을 할 만큼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는 단계까지는 발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의자왕 전기의 집권세력 내부에 갈등이 발생하자, 친당적인 성충, 흥수 그리고 그 중심에 서있던 태자 융에 대한 불만이 터지게 되었으며 .그 틈을 타고 바로 군대부인 은고와 그 아들 효를 중심으로 한 세력들이 적극적으로 의자왕을 지지하면서 기존의 집권 세력을 도태시키고 영향력을 확대해 나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성충은 감옥에 갇히고 흥수는 유배를 가게 되며 태자 융의 입지는 좁아지게 되었다. 결국 나당연합군의 공격에도 지배층의 분열로 인해 각 지방의 힘을 하나로 결집시키지 못해 백제군의 총력을 동원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의자왕이 너무 빠르고 강력하게 직계 중심의 정치를 추구하면서 많은 지방 세력들 특히 무왕시기에 중용되었던 세력들의 완전한 지지를 얻지 못하였고 특히 의자왕 15년 이후 태자 교체를 둘러싼 내분이 일어나면서 지방 세력들이 백제왕실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지 않았던 이유로 인해 결국 백제는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게 되었다.
5. 결론
지금까지 백제의 정치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백제의 성립에서 멸망까지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고이왕까지 관제의 변화과정은 부제의 성립과 해체라는 일련의 흐름과 맞물려 있었다. 그런 점에서 백제의 초기 발전과정은 온조왕이 백제를 형성한 이후 주변 소국과 읍락을 병합하여 5부가 설치되어 좌 우보를 통한 통치를 하였고 고이왕에 부 중심의 질서가 해체되기 시작하며 좌장 좌평이 나타났다. 고대국가 형성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좌우보 단계는 합의제적 기반 위에서 국가가 출현한 시기이고, 좌장, 좌평 단계는 집권화의 시작이라고 생각된다. 4~5세기 백제의 국가적 발전에 대하여 지금까지는 지나칠 정도로 근초고왕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만 판단해 왔으나 근초고왕에서 개로왕에 시기까지 점진적으로 발전하였다고 생각된다. 귀족 중심의 합의체제에서 왕 중심의 일원적 정치체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합의체제의 핵심인 귀족회의체를 무력화시키고 왕권에 복무하는 관인들이 그 역할을 대신하게 하여야 하는데 상좌평의 설치는 그 시발점이 되었고 내두와 영군의 설치는 그러한 변화를 가속화 하였으며 6세기의 외관과 내관이 성립하는 기반이 되었다. 중앙집권적 확립과정에서는 중국왕조의 관제의 도입과 변용을 통해 7세기 당의 건국 이후 설치된 육좌평은 22부에서 18부라는 관사조직의 개편과 관등과 관직의 분리 좌평 정원의 철폐라는 변화를 수반하였으며 지금까지는 22부사를 백제 관사조직의 완성 형태로 파악하여 전제왕권의 지표로 삼아 왔으나, 오히려 6좌평-18부라는 진전된 형태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백제의 멸망은 당시 동아시아 정세에 대응함에 있어서 의자왕에 대당 외교 실패와 더불어 급진적인 중앙 집권화에 대한 신료들의 반발을 규합하지 못한 것이 그 원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百濟 政治制度史 硏究, 정동준, 成均館大學校, [2008]
百濟 義慈王의 王權强化와 對外政策 : 滅亡原因을 중심으로, 배성현, 동국대학교,[2011]
百濟 建國勢力의 漢江流域 定着過程, 이병무, 弘益大學校 大學院,[2001]
  • 가격3,7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0.01.28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34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