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0
11/24
1200
600
8. 약물
1) plavix tab 75mg : 혈소판 응집억제제
2) concor Tab : selective B1-antagonist / 만성 심부전, 고혈압, 협심증
3) cinalong tab 10m : 본태성 고혈압
4) Antibio cap 200m : 정장제
5) pancron tab : 소화촉진제
6) Motilium - M tab : 소화불량
1. 허리 통증과 관련된 활동 내구성 장애
S : “허리가 아파서 똑바로 눕지 못해요.”
“방안에서 넘어지지만 않았어도 이러지 않았을 텐데....”
“더 이상 못 걷겠다. 누워서 쉬고싶다.”
O :
1. 통증으로 인해 많은 시간 침상에 누워만 계신다.
실습날짜
11/23 (D)
11/24 (E)
11/25 (E)
운동횟수(시간)
-걷기 2회 (5분)
(10시)-X-ray
(14시)
- 오전 운동 안함
- 걷기 1회 (5분)
(16시)
- 오전 1회
2. 통증 척도 (NRS)
앙와위(supine)
측위(lateral)
걷기(walking)
통증 점수
8~9점
(1분 견디기 힘듬)
4점
6점
-> 언제나 측위(lateral)로 누워계시며, 똑바로는 눕지 못한다.
3. 보조기구(Walker)가 없으면 움직이지 못한다.
4. 걷기를 제외한 다른 운동은 하지 않는다.
- 목표 : 대상자는 능동관절 운동을 시행해 점차 운동량을 늘린다.
대상자는 통증을 적게 느끼는 범위(NRS 4점 이하) 내에서 관절운동을 시행한다.
대상자는 걷기를 포함한 운동 횟수를 하루 3회 이상 실시한다.
- 계획
* 통증 및 활동 양상을 사정한다.
-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 사정 (NRS 척도 사용)
- ADL 측정도구로 일상활동 양상을 사정한다.
< MBI (Modified Barthel Index) >
기 능
스스로
할 수 있다
남의 도움이
필요하다
남이
전부 해준다.
상지기능
1. 컵으로 물마시기
2. 식사하기
3. 상의 입기
4. 하의 입기
5. 보조기의지착용 하고 벗기
6. 몸치장하기
7. 세수하고 몸 씻기
8. 소변보기
9. 대변보기
4
6
5
7
0
5
6
10
10
0
0
3
4
0
0
0
5(가끔 젖음)
5(가끔 묻힘)
0
0
0
0
-2
0
0
0(조절 못함)
0(조절 못함)
하지기능
10. 의자에 앉고 내리기
11. 화장실 변기에 옮겨 앉기
12. 욕조에 들어가기
13. 평지에서 50m걷기
14. 계단 오르고 내리기
15. 걷지 못하는 경우 휠체어 타고 다니기
15
6
1
15
10
5
7
3
0
10
5
0
0
0
0
0
0
0
점 수
장 애 정 도
0-20
21-61
62-90
91-99
100
전적 의존상태(totally dependent)
심한 의존상태(severely dependent)
보통 의존상태(moderately dependent)
약간 의존상태(slightly dependent)
독립적 상태(independent)
* 움직임을 유지하고 회복하려는 환자 동기 수준을 파악하고 격려해준다.
- MBI 결과를 보여주며 대상자의 활동 내구성 수준을 설명한다.
- 본인의 활동 내구성 수준에서 한 단계 높은 것에 도전하도록 격려한다.
* 규칙적이고 계획된 능동 ROM 수행을 교육해준다.
- 각 관절(목, 어깨, 팔꿈치, 대퇴, 무릎, 발목)의 운동가동 범위를 설명한다.
- 각 관절에서 시행할 수 있는 굴곡, 신전, 과신전, 외전, 내전 등 운동을 설명한다.
- 하루에 3회 이상 통증이 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하도록 한다.
* 통증이 심한 체위는 피하며 활동하는 것을 교육해준다.
- 측위로 누워있을시 양쪽 교대로 눕게 교육해 혈액순환을 돕게 한다.
* 원활한 보행을 위해 보조기구의 높이를 신체 높이와 맞게 조절해준다.
- 보행기의 받침대 부분이 너무 높거나 낮게 올라가지 않았는지 확인 후 조정한다.
* 안전한 이동과 보행 기법을 교육해준다.
- 보행기에서 뛰거나 너무 빠른 걸음을 걷거나 뒤로 후진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2. 잦은 설사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S : “요새 계속 설사가 나와서 힘이 없어요.”
“엉덩이가 찝찝해서 좌욕같은 거 해보고 싶은데 간호사한테 말하면 해주나요?“
O :
1. 대상자가 화장실을 갔다오다 변을 복도에 흘린 적이 있음. (변실금)
2. 설사와 관련된 약물 투여 : Antibio cap 200m (정장제)
3. CBC 검사 : 조직으로의 산소운반 능력이 감소하여 피부 손상 가능성 높아짐.
검사
11/16
11/20
11/22
11/24
RBC
2.69
3.71
3.86
3.88
Hb
8.6
11.8
12
11.3
Hct
24.2
32.5
33.7
34.3
- 목표 : 대상자는 잦은 설사로 발생된 회음부의 불편감이 완화된다.
대상자는 교육을 통한 자가관리로 회음부의 피부통합성이 관리된다.
- 계획
* 설사의 증상과 징후 및 횟수를 관찰한다.
- 대변의 수분 함유 정도
- 하루 평균 대변 횟수와 대변량
* 잦은 설사와 실금으로 인한 피부손상의 위험이 있음을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말한다.
*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회음부를 살펴보고 피부손상의 유무를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 피부손상의 징후 (발적, 종창 등)이 있을 시 담당간호사 선생님께 notify한다.
* 대상자에게 좌욕(sitz bath)를 실시하도록 교육한다.
- 담당간호사 선생님이나 수간호사 선생님에게 notify를 해 41W의 좌욕기 사용에
대해 의논한다.
* 4시간 마다 주기적으로 변실금의 유무를 확인하고, 체위변경을 통해 회음부위의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
- 허리통증과 연계해 측위로 변경시킨다.
* 일일 2L 이상 수분섭취를 증가 시킨다.
* 금식이나 유동식 섭취로 장의 휴식을 도모한다.
* 음식 섭취 시엔 소량씩 자주 섭취함으로써 장의 휴식을 도모한다.
* 처방된 약물(정장제) 투여 후 효과를 모니터한다.
- 참고문헌
1.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2.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 2 : 현문사
3. 대한병리학회 대구경북지부학회, 간추린 병리학 : 정문각
11/24
1200
600
8. 약물
1) plavix tab 75mg : 혈소판 응집억제제
2) concor Tab : selective B1-antagonist / 만성 심부전, 고혈압, 협심증
3) cinalong tab 10m : 본태성 고혈압
4) Antibio cap 200m : 정장제
5) pancron tab : 소화촉진제
6) Motilium - M tab : 소화불량
1. 허리 통증과 관련된 활동 내구성 장애
S : “허리가 아파서 똑바로 눕지 못해요.”
“방안에서 넘어지지만 않았어도 이러지 않았을 텐데....”
“더 이상 못 걷겠다. 누워서 쉬고싶다.”
O :
1. 통증으로 인해 많은 시간 침상에 누워만 계신다.
실습날짜
11/23 (D)
11/24 (E)
11/25 (E)
운동횟수(시간)
-걷기 2회 (5분)
(10시)-X-ray
(14시)
- 오전 운동 안함
- 걷기 1회 (5분)
(16시)
- 오전 1회
2. 통증 척도 (NRS)
앙와위(supine)
측위(lateral)
걷기(walking)
통증 점수
8~9점
(1분 견디기 힘듬)
4점
6점
-> 언제나 측위(lateral)로 누워계시며, 똑바로는 눕지 못한다.
3. 보조기구(Walker)가 없으면 움직이지 못한다.
4. 걷기를 제외한 다른 운동은 하지 않는다.
- 목표 : 대상자는 능동관절 운동을 시행해 점차 운동량을 늘린다.
대상자는 통증을 적게 느끼는 범위(NRS 4점 이하) 내에서 관절운동을 시행한다.
대상자는 걷기를 포함한 운동 횟수를 하루 3회 이상 실시한다.
- 계획
* 통증 및 활동 양상을 사정한다.
-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 사정 (NRS 척도 사용)
- ADL 측정도구로 일상활동 양상을 사정한다.
< MBI (Modified Barthel Index) >
기 능
스스로
할 수 있다
남의 도움이
필요하다
남이
전부 해준다.
상지기능
1. 컵으로 물마시기
2. 식사하기
3. 상의 입기
4. 하의 입기
5. 보조기의지착용 하고 벗기
6. 몸치장하기
7. 세수하고 몸 씻기
8. 소변보기
9. 대변보기
4
6
5
7
0
5
6
10
10
0
0
3
4
0
0
0
5(가끔 젖음)
5(가끔 묻힘)
0
0
0
0
-2
0
0
0(조절 못함)
0(조절 못함)
하지기능
10. 의자에 앉고 내리기
11. 화장실 변기에 옮겨 앉기
12. 욕조에 들어가기
13. 평지에서 50m걷기
14. 계단 오르고 내리기
15. 걷지 못하는 경우 휠체어 타고 다니기
15
6
1
15
10
5
7
3
0
10
5
0
0
0
0
0
0
0
점 수
장 애 정 도
0-20
21-61
62-90
91-99
100
전적 의존상태(totally dependent)
심한 의존상태(severely dependent)
보통 의존상태(moderately dependent)
약간 의존상태(slightly dependent)
독립적 상태(independent)
* 움직임을 유지하고 회복하려는 환자 동기 수준을 파악하고 격려해준다.
- MBI 결과를 보여주며 대상자의 활동 내구성 수준을 설명한다.
- 본인의 활동 내구성 수준에서 한 단계 높은 것에 도전하도록 격려한다.
* 규칙적이고 계획된 능동 ROM 수행을 교육해준다.
- 각 관절(목, 어깨, 팔꿈치, 대퇴, 무릎, 발목)의 운동가동 범위를 설명한다.
- 각 관절에서 시행할 수 있는 굴곡, 신전, 과신전, 외전, 내전 등 운동을 설명한다.
- 하루에 3회 이상 통증이 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하도록 한다.
* 통증이 심한 체위는 피하며 활동하는 것을 교육해준다.
- 측위로 누워있을시 양쪽 교대로 눕게 교육해 혈액순환을 돕게 한다.
* 원활한 보행을 위해 보조기구의 높이를 신체 높이와 맞게 조절해준다.
- 보행기의 받침대 부분이 너무 높거나 낮게 올라가지 않았는지 확인 후 조정한다.
* 안전한 이동과 보행 기법을 교육해준다.
- 보행기에서 뛰거나 너무 빠른 걸음을 걷거나 뒤로 후진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2. 잦은 설사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S : “요새 계속 설사가 나와서 힘이 없어요.”
“엉덩이가 찝찝해서 좌욕같은 거 해보고 싶은데 간호사한테 말하면 해주나요?“
O :
1. 대상자가 화장실을 갔다오다 변을 복도에 흘린 적이 있음. (변실금)
2. 설사와 관련된 약물 투여 : Antibio cap 200m (정장제)
3. CBC 검사 : 조직으로의 산소운반 능력이 감소하여 피부 손상 가능성 높아짐.
검사
11/16
11/20
11/22
11/24
RBC
2.69
3.71
3.86
3.88
Hb
8.6
11.8
12
11.3
Hct
24.2
32.5
33.7
34.3
- 목표 : 대상자는 잦은 설사로 발생된 회음부의 불편감이 완화된다.
대상자는 교육을 통한 자가관리로 회음부의 피부통합성이 관리된다.
- 계획
* 설사의 증상과 징후 및 횟수를 관찰한다.
- 대변의 수분 함유 정도
- 하루 평균 대변 횟수와 대변량
* 잦은 설사와 실금으로 인한 피부손상의 위험이 있음을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말한다.
*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회음부를 살펴보고 피부손상의 유무를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 피부손상의 징후 (발적, 종창 등)이 있을 시 담당간호사 선생님께 notify한다.
* 대상자에게 좌욕(sitz bath)를 실시하도록 교육한다.
- 담당간호사 선생님이나 수간호사 선생님에게 notify를 해 41W의 좌욕기 사용에
대해 의논한다.
* 4시간 마다 주기적으로 변실금의 유무를 확인하고, 체위변경을 통해 회음부위의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
- 허리통증과 연계해 측위로 변경시킨다.
* 일일 2L 이상 수분섭취를 증가 시킨다.
* 금식이나 유동식 섭취로 장의 휴식을 도모한다.
* 음식 섭취 시엔 소량씩 자주 섭취함으로써 장의 휴식을 도모한다.
* 처방된 약물(정장제) 투여 후 효과를 모니터한다.
- 참고문헌
1.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2.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 2 : 현문사
3. 대한병리학회 대구경북지부학회, 간추린 병리학 : 정문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