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차 -
1. 골수이식이란
2. 적응증
3. 골수이식방법(골수이식과정)
4. 골수 이식후 간호
5, 합병증
6. 참고문헌
1. 골수이식이란
2. 적응증
3. 골수이식방법(골수이식과정)
4. 골수 이식후 간호
5, 합병증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5. 합병증
① 이식거부반응
: 골수이식 수일 내지 수주 후에 발생되며 특히 이식편 대 숙주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T 임파구 제거 골수를 사용한 경우에서 그 빈도가 높게 관찰되고 있다. 특히 재생불량성 빈 혈과 같은 비종양성 질환은 이식 전에 강력한 면역억제를 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식 후 거 부반응이 생착의 실패를 초래하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② 감염
: 이식 후 일정수의 과립구가 회복되기까지의 3주간은 감염의 위험이 높은 시기이다. 또 한 면역학적 회복은 조혈기능의 회복보다 늦으므로 과립구의 회복 후에도 상당기간동안 감염의 위험이 존재한다.
감염시에는 대상자의 혈액, 대변, 소변, 객담 등을 배양하여 원인균을 확인하고 적절한 항생제 및 진균제를 사용하며 필요시에는 대상자를 격리시켜 치료한다. 그 외 철저한 구강 위생을 시도하고 멸균식을 제공한다.
③ 간질성 폐렴
: 간질성 폐렴은 골수이식 대상자의 감염으로 인한 주요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보통 이 식후 100일 이내에 발생하며 CMV나 pneumocystis carini의 감염이나 또는 전신 방사선 조사와 관련하여 나타난다. 감염성인 경우 치사율이 높다.
④ 이식편 대 숙주질환(GvHD)
: 골수이식 후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으로 면역력이 건강한 공여자의 T임파구로부터 분리 된 interleukin-2에 의해 활성화된 자연살해세포(NKC)가 수여자 세포에 길항적으로 반응 하여 수여자 세포를 파괴하는 현상이다.
GvHD에 영향 받은 장기는 주로 피부나 간 소화기의 점막층으로써 급성 GvHD에서는 피부발진, 구토, 복통, 설사, 소양증, 황당 증상이 나타나 그 중등도에 따라 분류된다. 이 식 후 100일 이내에 나타나는 급성 GvHD는 약 30~70%의 발생빈도를 보이면서 보통 골수이식 1~2주 후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반면 이식 후 100일 이후나 또는 수년에 걸 쳐 숙주세포를 파괴하는 만성 GvHD는 약 5-~60%의 발생빈도를 보이고 있다.
⑤ 정맥폐쇄성 질환
: 소정맥의 비혈전성 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합병증으로 주로 간에서 발생된다. 원인은 전신 방서선조사와 대량 화학요법으로 인한 간의 동양혈관과 세정맥 내피세포의 손상으로 추정되고 있고 간비대, 복수, 체중증가의 증상과 더불어 혈청 빌리루빈이 상승된다.
⑥ 후기 합병증
: 대부분 치료와 관련된 독성효과에 의한 것으로 백내장, 갑상선기능저하증, 난소 및 고 환부전, 성장장애, 불임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면역력의 저하나 감염, 질병의 재발 또는 이차적 악성종양이 발생할 수 있다.
6. 참고문헌
① 서문자 외(2000). 성인간호학 下. 수문사. p425~432
②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2004). 최신임 상간호메뉴얼. 현문사. p1340~1349
③ 전시자외(2001). 성인간호학 하(1). 현문사. p146~151
④ 전시자외(1997).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1222~1223
⑤ http://medicine.chonnam.ac.kr
5. 합병증
① 이식거부반응
: 골수이식 수일 내지 수주 후에 발생되며 특히 이식편 대 숙주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T 임파구 제거 골수를 사용한 경우에서 그 빈도가 높게 관찰되고 있다. 특히 재생불량성 빈 혈과 같은 비종양성 질환은 이식 전에 강력한 면역억제를 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식 후 거 부반응이 생착의 실패를 초래하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② 감염
: 이식 후 일정수의 과립구가 회복되기까지의 3주간은 감염의 위험이 높은 시기이다. 또 한 면역학적 회복은 조혈기능의 회복보다 늦으므로 과립구의 회복 후에도 상당기간동안 감염의 위험이 존재한다.
감염시에는 대상자의 혈액, 대변, 소변, 객담 등을 배양하여 원인균을 확인하고 적절한 항생제 및 진균제를 사용하며 필요시에는 대상자를 격리시켜 치료한다. 그 외 철저한 구강 위생을 시도하고 멸균식을 제공한다.
③ 간질성 폐렴
: 간질성 폐렴은 골수이식 대상자의 감염으로 인한 주요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보통 이 식후 100일 이내에 발생하며 CMV나 pneumocystis carini의 감염이나 또는 전신 방사선 조사와 관련하여 나타난다. 감염성인 경우 치사율이 높다.
④ 이식편 대 숙주질환(GvHD)
: 골수이식 후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으로 면역력이 건강한 공여자의 T임파구로부터 분리 된 interleukin-2에 의해 활성화된 자연살해세포(NKC)가 수여자 세포에 길항적으로 반응 하여 수여자 세포를 파괴하는 현상이다.
GvHD에 영향 받은 장기는 주로 피부나 간 소화기의 점막층으로써 급성 GvHD에서는 피부발진, 구토, 복통, 설사, 소양증, 황당 증상이 나타나 그 중등도에 따라 분류된다. 이 식 후 100일 이내에 나타나는 급성 GvHD는 약 30~70%의 발생빈도를 보이면서 보통 골수이식 1~2주 후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반면 이식 후 100일 이후나 또는 수년에 걸 쳐 숙주세포를 파괴하는 만성 GvHD는 약 5-~60%의 발생빈도를 보이고 있다.
⑤ 정맥폐쇄성 질환
: 소정맥의 비혈전성 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합병증으로 주로 간에서 발생된다. 원인은 전신 방서선조사와 대량 화학요법으로 인한 간의 동양혈관과 세정맥 내피세포의 손상으로 추정되고 있고 간비대, 복수, 체중증가의 증상과 더불어 혈청 빌리루빈이 상승된다.
⑥ 후기 합병증
: 대부분 치료와 관련된 독성효과에 의한 것으로 백내장, 갑상선기능저하증, 난소 및 고 환부전, 성장장애, 불임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면역력의 저하나 감염, 질병의 재발 또는 이차적 악성종양이 발생할 수 있다.
6. 참고문헌
① 서문자 외(2000). 성인간호학 下. 수문사. p425~432
② Sigma Theta Tau Lambda, Alpha Chapter-At-Large(2004). 최신임 상간호메뉴얼. 현문사. p1340~1349
③ 전시자외(2001). 성인간호학 하(1). 현문사. p146~151
④ 전시자외(1997).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1222~1223
⑤ http://medicine.chonnam.ac.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