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6:00am
37.0
9:00am
36.8
3/22일 체온변화
6:00am
36.5
-WBC나 CRP 수치의 상승은 감염의 증상을 나타낸다.
3/20
(수술전)
3/21
(수술후)
WBC
25.75
10.86
CRP
15.39
5.3
-항생제 투여로 감염의 위험이 줄어든다.
(ceftriaxon 2g QD
/ metronidazol TID)
<기대되는 결과>
2. 대상자와 보호자는 감염예방을 위해 함께 노력한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예방을 위해 손씻기, 감염의 징후(오한, 발열, 카테터 삽입부위 작열감) 등이 있을시 즉시알리도록 하는 등의 교육을 통해 정보를 제공한다.
-환자나 보호자에 의해 균이 감염될 가능성이 있어 올바른 손 씻기나 감염의 증상이나 징후에 대한 교육을 통해 감염을 예방하고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간호
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
평가
목표/
기대되는 결과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수술후 기력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목표>
낙상 위험성을 줄인다.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하여 항상 주의 하도록 한다.
-침상 다리를 고정하고 잘 살펴본다.
-고령의 환자의 낙상은 외상이나 골절 등 으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이 유발 될 수 있음으로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
- 환자의 침대바퀴 4개를 전부 고정하고 침상을 벽에 붙였다.
- 환자 및 보호자는 낙상교육에 대한 대답을 4가지 이상 하였고, 낙상은 발생 하지 않는다.
<기대되는 결과>
1.
낙상 도구 평가 점수를 줄인다.
-보호자를 환자 곁에 있도록 한다.
-침상 난간을 항상 올려두고 필요시 보호자나 간호사등 환자 곁에 부축할 수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에만 잠시 내렸다 올린다.
-낙상의 실제 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낙상 척도 평가를 시행한다.
낙상발생 보고서에 낙상군의 특성을 보면 낙상사고는 입원 1주내 특히 3일째 가장 많으며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불안감으로 인해 발생빈도가 높다. 따라서 입원 초기부터 환자와 보호자가 충분히 인지 할수 있도록 낙상교육을 시행하고 수면도중 일어나 활동하는 경우 적절한 병실 조명을 유지하고 꼭 보호자가 동행하도록 주지 시켜야한다.
<기대되는 결과>
2.혈액검사를 시행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져 기력이 증진 되는데 도움이 된다.
-대상자의 의식 수준을 사정한다.
-Lab 검사를 통해 Hb & 단백질, 알부민 수치를 확인하고 수치가 떨어 졌을 시 수치를 상승 시키기 위해 적절한 수액을 처방받아 투여한다.
-체위변경을 2시간 마다 시행한다.
-명료한 의식수준은 낙상위험성이 줄어든다.
-gas out이 되지 않아 금식을 유지 함으로써 전해질 & 영양의 균형이 떨어져 기력이 저하된다.
(TPN & 알부민 1b 투여함.)
-침상에서 체위를 자주 변경하면 gas out이 더 잘 될 수 있다.
3.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김세정 외. 한국 자료분석 학회 논문지 2014.
최운정 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7.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37.0
9:00am
36.8
3/22일 체온변화
6:00am
36.5
-WBC나 CRP 수치의 상승은 감염의 증상을 나타낸다.
3/20
(수술전)
3/21
(수술후)
WBC
25.75
10.86
CRP
15.39
5.3
-항생제 투여로 감염의 위험이 줄어든다.
(ceftriaxon 2g QD
/ metronidazol TID)
<기대되는 결과>
2. 대상자와 보호자는 감염예방을 위해 함께 노력한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예방을 위해 손씻기, 감염의 징후(오한, 발열, 카테터 삽입부위 작열감) 등이 있을시 즉시알리도록 하는 등의 교육을 통해 정보를 제공한다.
-환자나 보호자에 의해 균이 감염될 가능성이 있어 올바른 손 씻기나 감염의 증상이나 징후에 대한 교육을 통해 감염을 예방하고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간호
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
평가
목표/
기대되는 결과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수술후 기력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목표>
낙상 위험성을 줄인다.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하여 항상 주의 하도록 한다.
-침상 다리를 고정하고 잘 살펴본다.
-고령의 환자의 낙상은 외상이나 골절 등 으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이 유발 될 수 있음으로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한다.
- 환자의 침대바퀴 4개를 전부 고정하고 침상을 벽에 붙였다.
- 환자 및 보호자는 낙상교육에 대한 대답을 4가지 이상 하였고, 낙상은 발생 하지 않는다.
<기대되는 결과>
1.
낙상 도구 평가 점수를 줄인다.
-보호자를 환자 곁에 있도록 한다.
-침상 난간을 항상 올려두고 필요시 보호자나 간호사등 환자 곁에 부축할 수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에만 잠시 내렸다 올린다.
-낙상의 실제 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낙상 척도 평가를 시행한다.
낙상발생 보고서에 낙상군의 특성을 보면 낙상사고는 입원 1주내 특히 3일째 가장 많으며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불안감으로 인해 발생빈도가 높다. 따라서 입원 초기부터 환자와 보호자가 충분히 인지 할수 있도록 낙상교육을 시행하고 수면도중 일어나 활동하는 경우 적절한 병실 조명을 유지하고 꼭 보호자가 동행하도록 주지 시켜야한다.
<기대되는 결과>
2.혈액검사를 시행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져 기력이 증진 되는데 도움이 된다.
-대상자의 의식 수준을 사정한다.
-Lab 검사를 통해 Hb & 단백질, 알부민 수치를 확인하고 수치가 떨어 졌을 시 수치를 상승 시키기 위해 적절한 수액을 처방받아 투여한다.
-체위변경을 2시간 마다 시행한다.
-명료한 의식수준은 낙상위험성이 줄어든다.
-gas out이 되지 않아 금식을 유지 함으로써 전해질 & 영양의 균형이 떨어져 기력이 저하된다.
(TPN & 알부민 1b 투여함.)
-침상에서 체위를 자주 변경하면 gas out이 더 잘 될 수 있다.
3.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김세정 외. 한국 자료분석 학회 논문지 2014.
최운정 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7.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