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개론 창세기(빅터해밀턴) 서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경개론 창세기(빅터해밀턴) 서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일하시는 하나님에 대해서 보다 잘 그려주고 있다고 본다. 이것은 하나님에 대한 보다 많은 앎이 되고 그 분께 가까이 다가설 수 있는 접촉점으로 작용된다.
그리고 책의 내용 중 여성의 정체성에 대해서 서술한 부분에서도 좋은 유익이 되었다. 인류의 역사에서 볼 때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여성은 수동적, 소극적, 피지배적 성향을 많이 내포하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인류의 최초의 타락에 의한 여성의 정체성이 종속의 개념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남성의 지배권이 하나님이 창조하신 만물에서 그의 동역자인 여성으로 까지 확대되면서 변질된 존재로 남게 되었던 것이다. 일부다처제 또한 하나님이 만드신 계율이 아니라 인간의 죄성에서 나왔다고 서술하고 있다. 가인의 후손 라멕은 일부다처제 뿐 만이 아니라 그의 후손들에 의해서 인간의 문화가 발생되었다. 이미 죄로 물든 인간들에 의해서 문화는 출발했고 이것이 세속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는 주장에 크게 공감되었다.
책을 읽으면서 아쉬웠던 점은 여러 학자들의 의견이 계속 나열되다 보니, 간혹 저자 자신의 의견이 은근슬쩍 묻혀버리게 되는 소극적인 모습이나 저자의 주장을 분명하게 나타내지 않고 있는 부분들도 있었다. 이러한 면은 독자들에게 더 많은 혼란을 주며, 판단의 기로에 서게 만드는 불편한 상황을 연출한다고 본다. 부분적으로나마 좀 더 확실한 근거와 주장을 가지고 자신이 원하는 바를 뚜렷하게 나타내는 배짱과 자신감이 있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그와 반면에 여러 학자들의 주장의 비교 분석은 보다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결론으로 이끌고 있는 유익도 있다. 말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보다 풍성한 대화의 꺼리가 제공되고 사고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고 생각한다.
창세기에 등장하는 족장들을 제외한 나머지 주변 인물들이나 족장들의 가족들에 대한 내용이 적은 것 또한 아쉬운 부분 중의 하나이다. 아브라함 경우 부인 사라에 관한 내용이라든지, 야곱의 부인 라헬의 이야기들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족장을 중심으로 한 하나님의 구속사적인 측면을 강조하다보니 나머지 사람들에 대한 초점을 놓치게 아닐까란 생각을 해본다.
글을 읽으면서 특이한 점은 저자는 책의 내용의 전개 과정에서 항상 여러 가지 질문들을 제시함으로써 읽는 독자들로 하여금 글의 내용 속으로 이끌어 들이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자신의 주장을 내포한 여러 형태의 질문들을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향해 독자들도 함께 전진하도록 만들고 있다.
오경 개론을 통해서 창세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동과 이야기를 분석 연구함으로써 현 시대의 우리의 모습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국 하나님 앞에 선 인간은 창조주 앞에서 똑같이 연약하고 불순종하며 온전하지 못하다는 사실이다. 인간의 죄악으로 출발한 인류의 역사 속에서 인간이 보여주는 불완전하고 세속적이며 때로는 유치하기도 한 여러 모습들 속에서 하나님은 이 모든 것들에 제한과 방해를 받으시기는 보다는 자신의 선하신 뜻 가운데로 이끌고 가신다는 사실만이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미래에 대한 희망이 될 것이다.
  • 가격6,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2.11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4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