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제품 포트폴리오 관리(PPM)의 개념
II. 성장-점유 매트릭스
1. 1/4분면(문제아) : 고성장·고점유
2. 2/4분면(별) : 고성장·고점유
3. 3/4분면(자금젖소) : 저성장·고점유
4. 4/4분면(개) : 저성장·저점유
III. 제품 포트폴리오 분석에 따른 전략방안
IV. PIMS(수이성유인분석) 기법
* 참고문헌
II. 성장-점유 매트릭스
1. 1/4분면(문제아) : 고성장·고점유
2. 2/4분면(별) : 고성장·고점유
3. 3/4분면(자금젖소) : 저성장·고점유
4. 4/4분면(개) : 저성장·저점유
III. 제품 포트폴리오 분석에 따른 전략방안
IV. PIMS(수이성유인분석) 기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7개의 주요변수를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PIMS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 PC상 성숙기에 있는 산업에서는 부가가치가 높을수록, 즉 수직적 결합이 많이 이루어진 기업일수록 높은 투자수익률을 보인다. 도입기와 성장기이 산업에서는 수직적 결합도가 낮을수록 높은 투자수익률을 보인다.
- 도입기와 성장기의 기업은 종업원 1인당 매출액으로 표시된 상대적 생산성이 높을수록 높은 투자수익률을 보인다.
- 단기적으로 시장성장률은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성장성이 높은 기업은 생산가동률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 단기적으로 연구개발에 대한 높은 투자비율은 성장성이 낮은 기업에서 수익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 높은 상대적 시장점유율은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 우수한 품질과 서비스는 성장성이 높은 기업에서 수익성에 대한 효과가 가장 좋으나, 품질이 낮은 수준의 경우에는 마케팅비용이 높을수록 수익성은 낮아진다.
- 생산시설가동률은 시장점유율의 크기가 작을수록 투자수익률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 시장점유율은 성장기와 성숙기에서 수익성의 효과는 가장 높다.
- 시장점유율이 높을 때 고가정책은 수익성에 유리하다.
- 고정자산에 대한 부담이 낮을수록 투자수익률은 높아진다.
- 자본회전율이 낮은 기업의 적극적인 마케팅투자전략은 최악의 선택이다.
PIMS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효과가 있다. 즉 최고경영자가 자신을 가지고 있지 못한 사업, 원가구조의 변화나 경쟁의 심화 등의 외부상황이 급격하게 변하는 사업, 최근 기대 이하의 성과를 보이는 사업 및 번복할 수 없는 중대결정을 요하는 사업 등이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 PC상 성숙기에 있는 산업에서는 부가가치가 높을수록, 즉 수직적 결합이 많이 이루어진 기업일수록 높은 투자수익률을 보인다. 도입기와 성장기이 산업에서는 수직적 결합도가 낮을수록 높은 투자수익률을 보인다.
- 도입기와 성장기의 기업은 종업원 1인당 매출액으로 표시된 상대적 생산성이 높을수록 높은 투자수익률을 보인다.
- 단기적으로 시장성장률은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성장성이 높은 기업은 생산가동률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 단기적으로 연구개발에 대한 높은 투자비율은 성장성이 낮은 기업에서 수익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 높은 상대적 시장점유율은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 우수한 품질과 서비스는 성장성이 높은 기업에서 수익성에 대한 효과가 가장 좋으나, 품질이 낮은 수준의 경우에는 마케팅비용이 높을수록 수익성은 낮아진다.
- 생산시설가동률은 시장점유율의 크기가 작을수록 투자수익률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 시장점유율은 성장기와 성숙기에서 수익성의 효과는 가장 높다.
- 시장점유율이 높을 때 고가정책은 수익성에 유리하다.
- 고정자산에 대한 부담이 낮을수록 투자수익률은 높아진다.
- 자본회전율이 낮은 기업의 적극적인 마케팅투자전략은 최악의 선택이다.
PIMS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효과가 있다. 즉 최고경영자가 자신을 가지고 있지 못한 사업, 원가구조의 변화나 경쟁의 심화 등의 외부상황이 급격하게 변하는 사업, 최근 기대 이하의 성과를 보이는 사업 및 번복할 수 없는 중대결정을 요하는 사업 등이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