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본론
1. 의재미술관에 다녀와서
2. 의재 허백련의 삶
3. 의재 허백련의 작품세계
1) 남종화에 관하여
2) 다른 작가와 비교를 통한 의재의 작품기법과 특색
3) 의재 허백련의 작품
Ⅲ.결론
Ⅱ.본론
1. 의재미술관에 다녀와서
2. 의재 허백련의 삶
3. 의재 허백련의 작품세계
1) 남종화에 관하여
2) 다른 작가와 비교를 통한 의재의 작품기법과 특색
3) 의재 허백련의 작품
Ⅲ.결론
본문내용
져 어느순간 깨달아야 나올 수 있는 필선이다.
위처럼 다른 작가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그가 가지고 있는 모든 기법들이 그가 수만번의 관찰과 모사 끝에 얻은 귀중한 무엇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의재 허백련의 작품
의재 허백련은 위에서 말했듯 산수화를 주로 그렸는데 특히 추경산수가 작품 중 유명하다. 의재의 남종화는 위에서 검은색 먹으로만 그렸다고 한 오류를 범하기는 하였지만
이 추경산수 연작 등 무등산에서 그린 작품들은 대부분 다채로운 색상을 사용하였다.
아마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추경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한 채색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채색에서의 다른점이 있지만 필선이라던지 구도 등은 이전의 그림과 흡사하다. 그렇기에 채색이 되어있지만 남종화에서 느낄 수 없는 그 무엇인가와 채색작품이 대부분인 북종화에서 느낄 수 없는 그 무엇인가의 사이에 있는 오묘한 느낌이 드는 작품이다. 이 작품 역시 앞서 말한 안견화풍이 드러나기도 하는데 구개모양의 산형태와 물 흘러가듯 자연스레 흘러가는 구름 등을 보며 알 수 있다. 또한 근경에 있는 나무와 가옥 등은 오른쪽으로 몰
아 놓은 구도로 보아 조선 중기 때 유행하던 절파화풍 <그림3. 추경산수도1> 의 느낌이 나기도한다.
또한 이 작품에서의 필치를 보며 선비기운인 사기가 느껴지기도 하니 연작 한작품마다 팔방미인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무등산의 차 밭을 그린 작품들 또한 채색화로 표현이 되어있는데 이 작품은 밭의 묘사와 배경에 있는 산에 묘사에 있어서는 남종화라기보다는 북종화에 가까운 느낌이 든다. 차 밭의 묘사는 짧은선과 얇은 필치로 자세히 묘사되어 있어 의재가 밭에 대해 가지고 있는 느낌보다는 밭이 의재에게 주는 느낌을 강조하고 있는것처럼 묘사 되어있다. 또한 다른 작품에서 많이 등장하던 구개모양의 산은 이 작품에서는 그냥 울퉁불퉁하고 뾰족한 산으로 묘사되어 있는데에서 이전의 수묵담채에서 보이던 느낌과는 다른 느낌이 든다. 무등산이 주는 기운이 아마 의재가 가지고 있던 사기를 절제하게 할만큼 그에게 강한 인상을 주었던 것으로 사료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남종화에서 자주 쓰이는 부벽준을 넓은 면에 사용한 것으로 보아 절제하여 표현하긴 했지만 작가의 대상에 대한 마음가짐 또한 약하게나마 표현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각선 구도로 왼쪽 아래에서부터 오른쪽 위로 이어지는 여백
과 대상이 있는 반대부분을 보면 절파화풍의 느낌이 난다. 이것으로 볼 때, 무등산에 터를 잡긴 했지만 채색화 하나만 가지고 그가 그동안 갖추었던 화풍이나 기법이 완전히 변한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그림4. 추경산수도2>
Ⅲ. 마치는 말
“호남을 대표하는 화가는 누구일까?”라는 들어가는 말에 적은 나의 질문은 이 감상문을 쓰면서 확실해졌다. 의재와 의재를 조사하며 보고 들은 허씨일가 전부이다. 같은 집안이지만서도 각각의 화풍과 기법을 발전시켰다. 그 중에서도 허씨일가의 방계후손인 의재 허백련의 작품세계와 삶은 내게 큰 감동과 새로운 마음가짐을 전해주었다. 대표할만한 작가란 이렇게 내 고향의 유대감과 연대감을 줄 수 있어야 하는건 아닐까 이번 조사를 하며 느끼게 되었다. 하지만 의재미술관에 갔다 오며 느꼈던 아쉬움이 굉장히 커 그 부분에 있어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그것을 바탕삼아 발전시키면 조금 더 나같이 뒤늦게나마 유대감과 연대감을 더 많은 호남사람들이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끝.
<참고문헌>
강민기,이숙희,장기훈,신용철,『클릭, 한국미술사』, 예경, 2011
장준석, 「중국 회화사론」, 학연문화사, 2002
심세중, 「의재 허백련과 의재미술관」, 디자인하우스, 2001
이구열, 「근대한국화의 흐름」, 미진사, 1993
위처럼 다른 작가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그가 가지고 있는 모든 기법들이 그가 수만번의 관찰과 모사 끝에 얻은 귀중한 무엇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의재 허백련의 작품
의재 허백련은 위에서 말했듯 산수화를 주로 그렸는데 특히 추경산수가 작품 중 유명하다. 의재의 남종화는 위에서 검은색 먹으로만 그렸다고 한 오류를 범하기는 하였지만
이 추경산수 연작 등 무등산에서 그린 작품들은 대부분 다채로운 색상을 사용하였다.
아마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추경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한 채색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채색에서의 다른점이 있지만 필선이라던지 구도 등은 이전의 그림과 흡사하다. 그렇기에 채색이 되어있지만 남종화에서 느낄 수 없는 그 무엇인가와 채색작품이 대부분인 북종화에서 느낄 수 없는 그 무엇인가의 사이에 있는 오묘한 느낌이 드는 작품이다. 이 작품 역시 앞서 말한 안견화풍이 드러나기도 하는데 구개모양의 산형태와 물 흘러가듯 자연스레 흘러가는 구름 등을 보며 알 수 있다. 또한 근경에 있는 나무와 가옥 등은 오른쪽으로 몰
아 놓은 구도로 보아 조선 중기 때 유행하던 절파화풍 <그림3. 추경산수도1> 의 느낌이 나기도한다.
또한 이 작품에서의 필치를 보며 선비기운인 사기가 느껴지기도 하니 연작 한작품마다 팔방미인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무등산의 차 밭을 그린 작품들 또한 채색화로 표현이 되어있는데 이 작품은 밭의 묘사와 배경에 있는 산에 묘사에 있어서는 남종화라기보다는 북종화에 가까운 느낌이 든다. 차 밭의 묘사는 짧은선과 얇은 필치로 자세히 묘사되어 있어 의재가 밭에 대해 가지고 있는 느낌보다는 밭이 의재에게 주는 느낌을 강조하고 있는것처럼 묘사 되어있다. 또한 다른 작품에서 많이 등장하던 구개모양의 산은 이 작품에서는 그냥 울퉁불퉁하고 뾰족한 산으로 묘사되어 있는데에서 이전의 수묵담채에서 보이던 느낌과는 다른 느낌이 든다. 무등산이 주는 기운이 아마 의재가 가지고 있던 사기를 절제하게 할만큼 그에게 강한 인상을 주었던 것으로 사료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남종화에서 자주 쓰이는 부벽준을 넓은 면에 사용한 것으로 보아 절제하여 표현하긴 했지만 작가의 대상에 대한 마음가짐 또한 약하게나마 표현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각선 구도로 왼쪽 아래에서부터 오른쪽 위로 이어지는 여백
과 대상이 있는 반대부분을 보면 절파화풍의 느낌이 난다. 이것으로 볼 때, 무등산에 터를 잡긴 했지만 채색화 하나만 가지고 그가 그동안 갖추었던 화풍이나 기법이 완전히 변한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그림4. 추경산수도2>
Ⅲ. 마치는 말
“호남을 대표하는 화가는 누구일까?”라는 들어가는 말에 적은 나의 질문은 이 감상문을 쓰면서 확실해졌다. 의재와 의재를 조사하며 보고 들은 허씨일가 전부이다. 같은 집안이지만서도 각각의 화풍과 기법을 발전시켰다. 그 중에서도 허씨일가의 방계후손인 의재 허백련의 작품세계와 삶은 내게 큰 감동과 새로운 마음가짐을 전해주었다. 대표할만한 작가란 이렇게 내 고향의 유대감과 연대감을 줄 수 있어야 하는건 아닐까 이번 조사를 하며 느끼게 되었다. 하지만 의재미술관에 갔다 오며 느꼈던 아쉬움이 굉장히 커 그 부분에 있어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그것을 바탕삼아 발전시키면 조금 더 나같이 뒤늦게나마 유대감과 연대감을 더 많은 호남사람들이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끝.
<참고문헌>
강민기,이숙희,장기훈,신용철,『클릭, 한국미술사』, 예경, 2011
장준석, 「중국 회화사론」, 학연문화사, 2002
심세중, 「의재 허백련과 의재미술관」, 디자인하우스, 2001
이구열, 「근대한국화의 흐름」, 미진사, 1993
추천자료
동양화 초상화에 대한 래포트!!!!!!!!!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Dental composite
[건설재료실험 Project] 자성콘크리트의 정의, 특징, 활용, 응용 및 제작(2012년 추천 우수 ...
[★★군 가산점제도 의견★★] 군가산점제도에 대한 찬성 반대의견 및 대책 방안과 나의 견해
체육학 레포트자료
보이스 피싱에 대한 대처방안
호남의 예술사상 (남도화를 중심으로)
현대인의 실존적 공허현상에 대한 징후를 설명하고, 그 징후를 학교폭력의 발생원인과 관련하...
[한국사회문제] 한국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여러 차별과 불평등 가운데 사회문제로서 해결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