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 관절염 개념 특징 증상분석 및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기준 합병증 치료방법 연구 및 류마티스 관절염 간호중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류마티스 관절염 개념 특징 증상분석 및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기준 합병증 치료방법 연구 및 류마티스 관절염 간호중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류마티스 관절염 개념

2. 류마티스관절염 증상

3. 류마티스관절염 특징

4. 류마티스관절염 진단기준

5. 류마티스관절염 경과 및 합병증

6.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방법
(1) 약물치료
(2) 운동치료
(3) 물리치료
(4) 수술적 치료

7. 류마티스관절염 간호중재

<참고문헌>

본문내용

증상
⑥ 전형적인 방사선 검사상의 이상 소견
⑦ 관절주위의 피하결절
⑧ 혈청의 응집반응이 양성
⑨ 결절의 특징적인 조직학적 변화
(2) 판정기준
① 전형적인 류머티즘 관절염
위 사항 중 적어도 7개 항목이 충족되는 경우로 1~5까지의 관절 증상이 적어도 6주이상 지속되는 경우
② 확실한 류머티즘 관절염
위 사항 중 5개 이상의 증상이 보이면 진단이 가능하고 적어도 6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③ 확률이 높은 류머티즘 관절염
위 사항 중 3개 이상의 증상이 4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5. 류마티스관절염 경과 및 합병증
류마티스 관절염은 환자에 따라 경미한 관절염에서부터 심각한 관절 외 침범으로 인한 주요 장기 손상까지 그 정도가 매우 다양하다. 침범된 관절은 시간이 지나면서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활막, 관절의 피막 등이 두꺼워지고 점차 움직임이 제한되어 고정적인 관절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하지 않은 류마티스 관절염은 2년 이내에 관절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일으킨다. 관절 외의 폐, 심장, 신장 등 주요 장기를 침범한 경우 병의 경과 및 치료 결과가 좋지 않으므로 관절 외 증상이 있는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전반적인 사망률이 5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절에만 증상이 있는 환자들의 수명은 일반인과 비슷하다.
*합병증으로는 심근경색의 발병이 2배 증가, 뇌졸중의 발병이 70%증가, 감염 발생이 70%증가, 여성의 경우 사망률이 41%증가, 기대수명이 10~18년 단축, 골다골증이 빈발, 빈혈, 눈의 염증, 심낭염, 혈관염, 치주질환, 다양한 폐질환 이 있습니다.
6.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방법
(1) 약물치료
류마티스 관절염에 사용되는 약물은 다양하지만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단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① 비스테로이드성 함염제(NSAIDs)
프로스타글라딘(prostagladin) 합성을 억제하고 항염·항진통 작용을 한다.
② 살리실산염(Salicylates)
진통·소염 효과가 좋아서 많이 쓰이지만 혈소판 장애에 의한 위장관 출혈, 청력 상실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③ 부신피질 호르몬(Corticosteroids)
관절염 증상과 염증 완화에 매우 좋으며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으나 장기간 투여시 쿠싱 증후군(Cushing syndrome), 골다공증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④ 항류마토이드 제제
하이드로클로로퀸(hydroxychlorquine), 금염(gold),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등이 쓰인다.
(2) 운동요법
1) 운동처방
① 일반적인 류마티스 관절염환자 운동처방(공통 적용 사항)
- 동통과 피로의 범위내에서 운동실시
- 손, 손목, 목부위의 유연성 운동 포함
- 기상 후, 취침 전 운동 : 배에 베게를 깔고 엎드려 사지 근력운동-드라이 스위밍
- 낮 운동 : 관절가동범위 증가운동, 3회/주 이상 병행
- 과다 운동시 골절, 건단열, 관절파괴 등 발생
2) 운동프로그램
① 국소의 온열요법
더운 물로 목욕, 더운 물수건, 핫백 사용
② 관절가동범위 운동
등척성 운동 통해 근수축, 관절 동통 발생 이전 범위 운동
③ 근력 운동
단계적 근력 강화 (등척성 운동→점차 가벼운 저항운동→지구력 증강)
④ 걷기
자립보행→일상생활 활동능력 향상
⑤ 류마티스 체조
재활운동프로그램
⑥ 수중운동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동성이 진정국면에 있을 경우.
⑦ 특별고려사항
운동량은 획일적으로 정할수 없슴. 기분 좋을 정도의 피로와 동통이 완화된 느낌이 있을 정도를 적적량으로 하고, 동통과 피로를 고려하여 운동효과를 평가하고 운동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재처방함.
(3) 물리치료
① 안정(Rest)
급성기(acute stage)에 안정은 매우 유용한 치료 방법이다. 질환이 활동적이고 전신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가능하면 환자로 하여금 체중부하를 피하게 하고, 단단한 침대에서 침상안정(bed rest)을 시킨다. 또한 관절의 염증과 부종이 심한 경우에는 부목(splint)을 이용하여 고정하되, 통증이 없는 기능적 자세(functional position)를 유지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안정이 장기간 지속되면 무용성 위축(disuse atrophy), 골질량 감소, 혈액순환 장애 등의 전신적 피해를 가져오기 때문에 아급성기(subacute stage)부터는 운동과 휴식을 적절히 조화시켜 기능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류마토이드 관절염 환자의 기능적 자세
¤ 경부(cervix) : 생리적 전만증(physiologic lordosis) 유지
¤ 견관절(shoulder joint) : 40˚ 외전(abduction) 위치
¤ 주관절(elbow joint) : 75˚ 이상 굴곡(flexion)시키지 않음
¤ 수근관절(wrist joint) : 20˚ 배측굴곡(dorsiflexion) 위치
¤ 수지(fingers) : 35~45˚ 굴곡 위치(MP), 25~30˚ 굴곡 위치(PIP)
¤ 무지(thumb) : 굴곡 및 대립(opposition) 위치
¤ 고관절(hip joint) : 45˚ 외전, 5˚ 이상 굴곡시키지 않음
¤ 슬관절(knee joint) : 완전 신전(full extension) 위치
¤ 족근관절(ankle joint) : 90˚ 중립(midposition) 위치
② 부목(splint)
연부조직의 구축(contracture)을 신장시키고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서 기능적 자세에서 부목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7~10일 정도의 관절 고정은 구축의 염려 없이 적용이 가능하므로 변형에 따라서 적절한 부목을 사용한다.
(4) 수술적 치료
① 오랫동안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붓거나 아플 경우 시행(ex. 무릎관절)
② 관절성형술, 활막절제술, 골절개술, 관절고정술 등
7. 류마티스관절염 간호중재
(1) 안위간호
① 침상 안정
- 관절염 환자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휴식이 매우 중요하다.
- 특히 급성기에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절대 휴식한다.
- 매트리스는 단단해야 하며 다리를 펴고 무릎 밑에 오랫동안 베개를 고이지 말고 복위를 자주 변경한다.
② 열요법과 냉요법
- 통증이 있는 부위에 적절한 물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0.07.02
  • 저작시기2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3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