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키즈존 찬성 [아이들의 출입을 금지해야] 찬반 토론자료 한양대 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키즈존 찬성 [아이들의 출입을 금지해야] 찬반 토론자료 한양대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Main Opinion. 노키즈존은 영업의 자유의 한 부분이며 민법상으로도 문제가 없다.
1] (반대측) 노키즈존은 민법보다 상위인 헌법에 위배된다.
#2. Main Opinion. 노키즈존이 생기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일부 몰지식한 부모님들 때문이다.
1] (반대측) 일부 몰지각한 행동을 하는 어머니들 때문에 다른 문제가 없는 어머니와 아이들이 피해를 보는 것이 정당하다고 보시나요?
#3. Main Opinion. 영업자의 입장에서 스스로를 보호할 수단이 없기 때문에 노키즈존은 불가피한 선택이 될 수밖에 없다.
#4. Main Opinion. 노키즈존의 목적에는 아이들의 안전을 지키는 목적도 있다.
#5. (반대측) 노키즈존은 아이들에 대한 차별이다.
#6. (반대측) 아이들도 공연이나 영화를 보고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을 권리가 있다. 이들을 그냥 배제시키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타당한가?
#7. (반대측) 노키즈존에 대한 대안 - 아이들을 위한 놀이 공간 만들기
#8. (반대측) 노키즈존에 대한 대안 - 키즈카페 등 어린이를 위한 시설이 있는 곳에 찾아가기

[반대] 노키즈존의 확산 배경은 맘충 때문이다?
[주된 토론 주제는 노키즈존인 만큼 찬성, 반대 모두 같은 입장을 가질 수 있는 주제라서
이 주제는 찬/반 동일하게 넣었습니다.]

#9. Main Opinion. 노키즈존의 확산은 교육의 부족함으로 인해 생겨난 것
#10. Main Opinion. 맘충이라는 표현은 모성을 혐오하고, 모든 엄마들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굉장히 문제가 많은 표현이다.
#11. Main Opinion. 맘충이라는 행동의 배경에는 육아 스트레스, 육아에 대한 지식 불충분 등이 있다. 이는 교육적인 측면, 육아 네트워크 확장으로 보완해야 한다.
#12. Main Opinion. 엄마들에게만 모든 짐을 지워줘선 안된다.

본문내용

한 대안 - 아이들을 위한 놀이 공간 만들기
----------------------------------------------------------------
먼저, 식당이나 가게를 운영하는 영업자의 입장에서, 모든 손님이 아닌 아이들만을 위한 시설과 공간에 투자하기란 정말 힘든 선택일 것입니다. 금전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아이들의 복지를 위한 단체나 국가에서 지원해주지 않는 이상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어려운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
#8. (반대측) 노키즈존에 대한 대안 - 키즈카페 등 어린이를 위한 시설이 있는 곳에 찾아가기
----------------------------------------------------------------
물론, 최근에는 키즈카페나 어린이들을 위한 시설들이 늘어나고는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그 수는 다른 것들에 비하면 정말 부족합니다. 그렇기에 아이들과 밥을 먹을 때마다 키즈카페만을 찾아서 다니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정도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키즈카페나 어린이를 위한 시설이 있는 식당을 대안으로 말씀하시는 것은 현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대] 노키즈존의 확산 배경은 맘충 때문이다?
노키즈존을 논하면, 항상 함께 나오는 주제라서 넣었습니다.
#9. Main Opinion. 노키즈존의 확산은 교육의 부족함으로 인해 생겨난 것
[주된 토론 주제는 노키즈존인 만큼 찬성, 반대 모두 같은 입장을 가질 수 있는 주제라서
이 주제는 찬/반 동일하게 넣었습니다.]
----------------------------------------------------------------
영국에선 노키즈존의 존재에 찬성하는 시민들의 비율이 약 37%, 반대는 약 9%라고 합니다. 약 55% 정도는 중재안으로써, 교육적인 부분을 개선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었습니다.
이처럼, 많은 시민들이 교육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만큼 노키즈존의 확산은 교육으로 풀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즉, 노키즈존은 교육의 부족함으로 인해 생겨난 것이지 맘충에 의해서 생겨난 문화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10. Main Opinion. 맘충이라는 표현은 모성을 혐오하고, 모든 엄마들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굉장히 문제가 많은 표현이다.
----------------------------------------------------------------
맘충이라는 단어 자체가 정말로 문제가 심각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일부 몰상식한 행동을 하는 엄마들로 인해서, 모든 엄마들, 여성 집단을 비하하는 단어가 생긴거지 않습니까?
이 맘충이라는 단어의 뜻 자체가, 엄마라는 벌레잖습니까? 이것은 완전히 우리들의 모성을 혐오하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에는 굉장히 문제가 많습니다.
#11. Main Opinion. 맘충이라는 행동의 배경에는 육아 스트레스, 육아에 대한 지식 불충분 등이 있다. 이는 교육적인 측면, 육아 네트워크 확장으로 보완해야 한다.
----------------------------------------------------------------
이러한 맘충이라는 행동들의 배경에는 육아 스트레스, 그리고 육아에 대한 지식의 불충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뜩이나 출산율 저하의 시대에서, 육아에 대한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는데, 육아에 대한 정보 부족, 교육 부족으로 인해 육아 스트레스가 커지고 맘충이라는 소리까지 듣는데, 어떻게 출산율이 높아질 수 있겠습니까?
먼저, 육아 네트워크를 더욱 다변화시켜서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부분에 대한 인식을 갖고, 정보교류, 그리고 교육까지 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차원에서 보완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2. Main Opinion. 엄마들에게만 모든 짐을 지워줘선 안된다.
----------------------------------------------------------------
엄마들에게만 모든 짐을 지워주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것이 엄마의 잘못, 엄마의 교육 불충분, 이렇게만 받아들여져선 안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누가 이 시대에 아이를 낳겠습니까?
그렇기에 너무 육아에 대해서 강요를 하거나 너무 많은 부담을 지워주는 것이 아닌 정책적으로 편의시설을 확충하거나 좀 더 편리하게 엄마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든지 아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 공간, 프로그램들을 확장시키는 것들이 현재보다 더 많이 필요합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07.13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3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