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키즈존 반대 [아이들의 출입을 자유롭게] 찬반 토론자료 한양대 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키즈존 반대 [아이들의 출입을 자유롭게] 찬반 토론자료 한양대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Main Opinion. 노키즈존은 법적으로도 문제가 되는 조치이다.
#2. Main Opinion. 아이들의 행동을 규제해야 하지, 출입 자체를 금지해선 안된다. 이는 차별이고 인권침해이다.
#3. Main Opinion. 노키즈존의 확대는 다른 특정 계층의 차별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소통의 문화가 아닌, 단절의 문화로 이어질 수 있다.
#4. Main Opinion. 현재의 노키즈존의 픽토그램은 분명한 인권침해에 해당된다. 그리고, 우리 사회의 문화의 변화로 소통이나 예절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많이 사라져가고 있다.
#5. Main Opinion. 꾸짖음, 지적받음을 통해 예절을 배우는 아이들도 많이 있다. 노키즈존은 이러한 긍정적 측면을 없앨 수 있다.
#6. (찬성측) 노키즈존은 위험한 공간에서의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1] (찬성측) 밤 10시 이후에 미성년자들의 노래방 출입 금지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2] (찬성측) 영화관이나 북카페같이 소음이 문제 되는 공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 경우에는 위험성은 어느 정도 해결이 되지 않습니까?
3] (찬성측) 노키즈존을 대체 가능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7. (찬성측) 노키즈존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이들이 아니라 일부 몰지각한 행동을 하는 어머니들 때문이다.

[반대] 노키즈존의 확산 배경은 맘충 때문이다?
[주된 토론 주제는 노키즈존인 만큼 찬성, 반대 모두 같은 입장을 가질 수 있는 주제라서
이 주제는 찬/반 동일하게 넣었습니다.]

#9. Main Opinion. 노키즈존의 확산은 교육의 부족함으로 인해 생겨난 것
#10. Main Opinion. 맘충이라는 표현은 모성을 혐오하고, 모든 엄마들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굉장히 문제가 많은 표현이다.
#11. Main Opinion. 맘충이라는 행동의 배경에는 육아 스트레스, 육아에 대한 지식 불충분 등이 있다. 이는 교육적인 측면, 육아 네트워크 확장으로 보완해야 한다.
#12. Main Opinion. 엄마들에게만 모든 짐을 지워줘선 안된다.

본문내용

같은 곳은 그러한 사항이 잘 나타나있지 않습니다. 만약 아이들은 그러한 예절을 학교나 가정으로부터 배우지 못했다면 이를 무언가를 통해서 학습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학교에서 배울 수도 있겠지만, 가장 쉬운 방법은 픽토그램 표시판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간단한 것이지만 우리 사회에는 그런 게 지금 잘되어 있지 않습니다.
#7. (찬성측) 노키즈존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이들이 아니라 일부 몰지각한 행동을 하는 어머니들 때문이다.
----------------------------------------------------------------
정말로 노키즈존의 근본적인 원인이 일부의 몰지각한 행동을 하는 어머니들 때문이라면, 전혀 문제없는 어머니와 아이들까지 그분들과 함께 피해를 봐야 한다고 생각하시는지요?
무슨 얘기냐면요, 그런 행위를 한 사람들의 개인적인 잘못은 당연히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행동에 대해선 비난받아 마땅합니다.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나머지 다른 사람들까지 몽땅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하는 것이 과연 정말로 옳은 일인지 묻고 싶습니다. 단지 몇 명의 일부 사람들을 가지고 너무 일반화를 하는 것이 아닐까요?
[반대] 노키즈존의 확산 배경은 맘충 때문이다?
노키즈존을 논하면, 항상 함께 나오는 주제라서 넣었습니다.
#9. Main Opinion. 노키즈존의 확산은 교육의 부족함으로 인해 생겨난 것
[주된 토론 주제는 노키즈존인 만큼 찬성, 반대 모두 같은 입장을 가질 수 있는 주제라서
이 주제는 찬/반 동일하게 넣었습니다.]
----------------------------------------------------------------
영국에선 노키즈존의 존재에 찬성하는 시민들의 비율이 약 37%, 반대는 약 9%라고 합니다. 약 55% 정도는 중재안으로써, 교육적인 부분을 개선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었습니다.
이처럼, 많은 시민들이 교육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만큼 노키즈존의 확산은 교육으로 풀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즉, 노키즈존은 교육의 부족함으로 인해 생겨난 것이지 맘충에 의해서 생겨난 문화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10. Main Opinion. 맘충이라는 표현은 모성을 혐오하고, 모든 엄마들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굉장히 문제가 많은 표현이다.
----------------------------------------------------------------
맘충이라는 단어 자체가 정말로 문제가 심각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일부 몰상식한 행동을 하는 엄마들로 인해서, 모든 엄마들, 여성 집단을 비하하는 단어가 생긴거지 않습니까?
이 맘충이라는 단어의 뜻 자체가, 엄마라는 벌레잖습니까? 이것은 완전히 우리들의 모성을 혐오하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에는 굉장히 문제가 많습니다.
#11. Main Opinion. 맘충이라는 행동의 배경에는 육아 스트레스, 육아에 대한 지식 불충분 등이 있다. 이는 교육적인 측면, 육아 네트워크 확장으로 보완해야 한다.
----------------------------------------------------------------
이러한 맘충이라는 행동들의 배경에는 육아 스트레스, 그리고 육아에 대한 지식의 불충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뜩이나 출산율 저하의 시대에서, 육아에 대한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는데, 육아에 대한 정보 부족, 교육 부족으로 인해 육아 스트레스가 커지고 맘충이라는 소리까지 듣는데, 어떻게 출산율이 높아질 수 있겠습니까?
먼저, 육아 네트워크를 더욱 다변화시켜서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부분에 대한 인식을 갖고, 정보교류, 그리고 교육까지 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차원에서 보완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2. Main Opinion. 엄마들에게만 모든 짐을 지워줘선 안된다.
----------------------------------------------------------------
엄마들에게만 모든 짐을 지워주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것이 엄마의 잘못, 엄마의 교육 불충분, 이렇게만 받아들여져선 안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누가 이 시대에 아이를 낳겠습니까?
그렇기에 너무 육아에 대해서 강요를 하거나 너무 많은 부담을 지워주는 것이 아닌 정책적으로 편의시설을 확충하거나 좀 더 편리하게 엄마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든지 아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 공간, 프로그램들을 확장시키는 것들이 현재보다 더 많이 필요합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07.13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3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