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Main Opinion. 개는 한 평생을 인간과 함께 살아온, 그리고 살아갈 반려동물이다.
#2. Main Opinion. 우리사회의 인식은, 개는 애완동물이다. 가 다수이다.
그리고, 개 식용은 비용 측면, 환경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3. Main Opinion. 개고기 합법화 시, 버려지는 유기견들은 모조리 잡아다 죽이고 식용으로 쓸 것이다. 이는 위생적으로도 문제 될 수 있다.
1] (찬성측) 국가 차원에서 관리함으로써, 오히려 위생적인 측면이 향상될 수 있다.
#4. (찬성측) 모든 동물은 먹을 수 있어야 한다.
#2. Main Opinion. 우리사회의 인식은, 개는 애완동물이다. 가 다수이다.
그리고, 개 식용은 비용 측면, 환경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3. Main Opinion. 개고기 합법화 시, 버려지는 유기견들은 모조리 잡아다 죽이고 식용으로 쓸 것이다. 이는 위생적으로도 문제 될 수 있다.
1] (찬성측) 국가 차원에서 관리함으로써, 오히려 위생적인 측면이 향상될 수 있다.
#4. (찬성측) 모든 동물은 먹을 수 있어야 한다.
본문내용
니다. 개 장수, 그리고 비전문인을 통해 도축되고 유통되는 유기견의 관리가 제대로 될 리가 없습니다.
지자체나, 수의사, 동물보호단체 등에서 책임지고 운영, 감독한다고 하더라도 유기견의 숫자가 줄어들지 않는 이상, 이러한 위험 측면은 여전히 지속될 것입니다.
1] (찬성측) 국가 차원에서 관리함으로써, 오히려 위생적인 측면이 향상될 수 있다.
--------------------------------------------------------------
정부 차원에서 위생적인 관리를 하게 되면, 발생하는 많은 비용은 어떻게 해결하겠습니까?
개고기의 수요가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나, 돼지나, 소, 닭에 비해서 매우 적을 것은 분명합니다. 합법화를 하고 관리함으로써 발생하는 부가적인 비용까지 고려한다면 과연 합법화가 옳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4. (찬성측) 모든 동물은 먹을 수 있어야 한다.
----------------------------------------------------------------
그렇다면 야생동물은 어떻습니까? 야생동물의 식용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동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자라는 것은 법에 저촉되는 주장 아닙니까?
지자체나, 수의사, 동물보호단체 등에서 책임지고 운영, 감독한다고 하더라도 유기견의 숫자가 줄어들지 않는 이상, 이러한 위험 측면은 여전히 지속될 것입니다.
1] (찬성측) 국가 차원에서 관리함으로써, 오히려 위생적인 측면이 향상될 수 있다.
--------------------------------------------------------------
정부 차원에서 위생적인 관리를 하게 되면, 발생하는 많은 비용은 어떻게 해결하겠습니까?
개고기의 수요가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나, 돼지나, 소, 닭에 비해서 매우 적을 것은 분명합니다. 합법화를 하고 관리함으로써 발생하는 부가적인 비용까지 고려한다면 과연 합법화가 옳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4. (찬성측) 모든 동물은 먹을 수 있어야 한다.
----------------------------------------------------------------
그렇다면 야생동물은 어떻습니까? 야생동물의 식용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동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자라는 것은 법에 저촉되는 주장 아닙니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