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고기의 역사 및 효능과 개고기 문화의 찬반론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개의 어원
2.개 (dog)
3.개식용의 역사

본론

1.개고기의 성분과 효능
2.옛 문헌에 나타난 효능
3.개고기의 부작용

4.개고기를 이용한 요리
1)보신탕
2)개소주
3)개고기떡

5.개식용의 찬반론
1)개고기 유통 양성론
2)개식용 반대론(동물 보호론자)

6.문화 상대주의적 시각으로...
7.개식용의 사회적 배경

결론

1.국내외의 팽팽한 의견대립
2.개고기문화에 대한 합리적인 방안

본문내용

외국에서 보내는 좋지 않은 눈길로 끝나는 게 아니라 이제는 국내에서도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2.개고기문화에 대한 합리적인 방안
정말로 개고기를 먹는 것은 야만적이고, 불결하며, 주인만을 따르는 개를 배신하는, 그야말로 '개만도 못한 짓'일까? 이 시점에서 우선 짚고 넘어가야 할 사항이 있다. 개에는 두 종류가 있다. 견(犬)과 구(拘)가 바로 그것이다. 둘은 잡아먹고, 안 잡아먹고 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견은 사냥을 전문으로 하는 개나, 현대의 시각 장애인을 인도하는 개를 들 수 있다. 또한 견은 견공이라 높여 부르기도 하고, 충견, 의견(義犬), 투견, 군견 등으로 불려지고 있다. 이에 비해 구는 완전히 보신탕용이다. '토사구팽'(兎死拘烹)이란 속어가 있고, 주구(走拘)라는 뜻에 포함되어 있는 개외에 황구, 백구등이 있다. 구육이니 구탕이니 하는 말은 있어도 견육이니 견탕이니 하는 말은 하지 않는다. 그 대신 맹견이나 애견은 맹구나 애구라고도 하지 않는다. 그런데 우리가 구를 먹는 것을 보고 외국인들이나 동물 애호가들은 dog를 먹는다며 분개하는 것이다. 이렇게 개 식용에 대한 문제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무조건 야만인으로 몰아 붙이는 외국의 시선이고, 두 번째는 국내에서 맞붙은 의견 대립이다. 첫 번째의 시선에 대처하는 우리의 모습은 비굴하기까지 하다. 어쨌거나 개고기는 부인할 수 없는 우리의 전통 음식이다. 우리가 아무 개나 잡아먹는 것이 아니며, 다른 나라에서는 우리 국민이 상상도 못할 음식을 먹는 것을 예로 들어 이해시켜야 하는데 우리는 그런 노력을 하지 않는다. 두 번째의 문제도 심각하다. 얼마 전에는 개고기 유통 양성화를 놓고 난상 토론이 TV에서 벌어지는 것을 보았다. 물론 두 쪽에 다 타당성은 있었다. 하지만 우리가 직시할 것은 아무리 동물 애호가들이 시위를 하고 반대를 해도 갑자기 우리 나라에서 개고기 수요가 뚝 끊기지는 않을 것이란 사실이다. 물론 갑자기 백화점 식품 코너에서 부위별로 크기별로 잘 포장되어 햄이나 소세지 옆에 진열되지는 않겠지만 근 절시키지도 못할 바에야 차라리 무절제하고 비위생적으로 도살되는 것이라도 방지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안(현재의 문제는 개고기를 먹지 못하게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가 아니라, 개를 잡을 때의 잔인함을 고쳐야 하는 것이 관건이라 본다)을 연구해야 할 것이며, 우리 내부의 싸움이 외국에서 볼 때 비웃음거리가 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개고기,   역사,   효능,   문화,   찬반론
  • 가격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2.18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