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 : 말하기 활동을 위한 활동지 작성 과제입니다. 과제 활동 유형 중 ‘정보 차이 활동’, ‘추론 차이 활동’, ‘의견 차이 활동’을 하기 위한 말하기 활동지를 작성하십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 : 말하기 활동을 위한 활동지 작성 과제입니다. 과제 활동 유형 중 ‘정보 차이 활동’, ‘추론 차이 활동’, ‘의견 차이 활동’을 하기 위한 말하기 활동지를 작성하십시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Prabhu(1987)의 과제 유형 분류
2. 초급 말하기 활동지
가. 정보차이활동
나. 추론차이활동
다. 의견차이활동
2. 중급 말하기 활동지
가. 정보차이활동
나. 추론차이활동
다. 의견차이활동
Ⅲ. 결론

본문내용

음식 중 하나를 정하고 그 음식의 맛을 목표 문형을 사용해 조원들과 토의해보고 앞에서 발표하도록 한다. 마지막에는 학습자 전체가 투표해서 제일 인기 많은 한국 음식을 정한다.
이름 ( )
아래 음식들의 이름을 써보세요.
( )
( )
( )
( )
2. 우리 조에서 정한 음식은 무엇인가요? ( )
3. 우리 조에서 정한 음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5가지만 써보세요.
보기와 같이 ‘-어/아서 은/는/ㄴ 것 같아요.’를 써서 말해보세요.
[보기] 고추가 들어가서 매운 것 같아요. / 재료가 다양해서 맛있는 것 같아요.
(1)
(2)
(3)
(4)
(5)
2. 중급 말하기 활동지
가. 정보차이활동
중급의 말하기 활동 중 정보차이활동에 관한 활동지는 분실물 찾기 상황을 가정하고 작성해보아다. 짝 활동으로 이루어지며 교사가 먼저 분실물 찾는 사람 역할을 맡은 집단에 미리 준비한 가상의 분실물들을 나누어준다. 그러면 학습자는 분실물의 특징을 잘 기억해 활동지에 적도록 한다. 이후 교사는 분실물들을 거두고, 학습자끼리 분실물 찾기 상황을 가정해 짝 활동을 진행하도록 유도한다. 짝 활동이 끝난 후에는 전체 학급 활동을 하는데, 분실물을 찾아줘야 하는 학습자들에게 분실물을 보여주고 자기 짝에게 맞는 물건을 찾아가도록 한다. 시간이 허락하면 짝끼리 역할을 바꾸어 거꾸로 해본다. 활동지는 분실물을 찾는 사람, 찾아주는 사람 둘로 나누어 각각 작성해보았다.
A형 활동지
이름 ( )
1. 짝이 물건을 잃어버렸습니다. 아래 질문들을 해서 잃어버린 물건을 찾아주세요.
(1) 무엇을 잃어버렸어요?
(2) 잃어버린 물건의 모양과 색깔을 알려주세요.
B형 활동지
이름 ( )
1. 당신은 물건을 잃어버렸습니다. 물건의 특징을 기억하고 정리해서 쓰세요.
(1) 잃어버린 물건은 무엇인가요?
(2) 잃어버린 물건의 모양은 어떤가요?
(3) 잃어버린 색깔은 어떤가요?
2. 짝이 당신이 잃어버린 물건을 찾아주려고 합니다. 짝의 질문에 대답해보세요.
나. 추론차이활동
중급의 추론차이 활동지는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길을 찾아가는 상황을 가정한 말하기 활동이다. 가상의 인물이 특정 목적지에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활동의 목표인데, 학습자끼리 지하철 노선도를 보고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름 ( )
※ 다음 지하철 노선도와 <보기>를 보고 ‘-(으)려면’을 이용해 친구와 길 찾는 방법을 말해보세요.
회현역에 사는 제리 씨가 동대입구로 가려면
충무로역에서 갈아타야 합니다.
1. 이태원역에 사는 흐엉 씨는 야경을 보러 충무로역에 있는 남산타워에 가고 싶습니다.
흐엉 씨가 충무로역에 가려면 어느 역에서 갈아타야 할까요?
2. 신당역에 사는 제임스 씨는 쇼핑을 하러 명동역에 가고 싶습니다.
제임스 씨가 명동역에 가려면 어느 역에서 갈아타야 할까요?
다. 의견차이활동
사진을 보고 의견 나누기 활동으로 구성했다. 학습자들이 사진을 보고 생각하는 바를 나눌 수 있도록 전체 학급 활동으로 진행한다. 말하기의 유창성을 목표로 창의적이고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PPT로 제시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이름 ( )
※ 다음 사진을 보고 아래 질문을 읽고 자신의 생각을 말해보세요.
두 아이가 침대 위에서 놀고 있습니다. 두 사람은 가족일까요? 아니면 친구일까요?
2. 두 사람은 놀고 난 다음에 어떤 일을 했을까요?
Ⅲ. 결론
지금까지 Prabhu(1987)가 제시한 정보차이활동, 추론차이활동, 의견차이활동을 위한 말하기 활동지를 초급, 중급이라는 숙달도에 따라 작성하였다. 활동지를 작성하면서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문법 활동을 구성하는 작업이 얼마나 어려운지 깨달았다. 또 실제성이 있으면서도 교실에서 활동할 수 있게 적절히 가공하기도 쉽지 않았다. 그러나 서론에서도 밝혔듯이 학습자들에게 말하기 능력 신장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면서도 말하기 기회를 많이 제공할 수 있는 활동은 꼭 필요하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사는 말하기 활동에 대해 늘 고민해야 하고 직접 활동을 구성하거나 시중 교재에 있는 활동을 교육 환경에 맞도록 유연하게 변형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라혜민·김순우(2019), 한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수법 초급1, 소통.
박소영·황지원(2019), 즐거운 한국어 수업을 위한 문법 활동지 중급, 하우.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https://pixabay.com/ko/)
네이버(www.naver.com)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07.20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4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