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기관의 후원자 개발을 위한 마케팅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1. 후원자개발 가능성의 분석
2. 시장욕구조사
3. 마케팅 목표설정
4. 시장세분화(목표시장 분석)와 표적 시장의 선정
5. 후원자개발 프로그램 수립
6. 마케팅의 관리
7. 평가
* 참고문헌
1. 후원자개발 가능성의 분석
2. 시장욕구조사
3. 마케팅 목표설정
4. 시장세분화(목표시장 분석)와 표적 시장의 선정
5. 후원자개발 프로그램 수립
6. 마케팅의 관리
7. 평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소액에서부터 고액까지 다양화하여 후원자들이 기부할 수 있는 폭을 넓혀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후원대상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후원 지속율이 결연 후원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비정기 후원은 정기 후원과 성격이 비슷하나 비정기적으로 후원금을 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결연후원이나 정기후원에서처럼 정기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후원금을 낸다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잠재 후원자를 대상으로 개발해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모금 저금통을 만들어 배포하는 것인데, 관리상의 문제가 있어 대부분의 기관에서 크게 성공하지는 못하고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모금 저금통 배포 등을 통해 모금운동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기관으로는 사회복지기관 굿네이버스의 \'결식아동돕기 사랑의 동전 모으기\' 행사로 전반기, 후반기로 나눠 각 교육기관(유아교육기관, 초, 중, 고), 교회, 기업체를 주 대상으로 좋은 모금 효과를 거두고 있다.
프로그램 후원은 특정 사업이나 프로그램을 홍보하여 모금하는 방법으로, 최근 실직가정 결식아동 돕기 모금이나 실직노숙자 자립지원을 위한 모금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프로그램 후원자를 개발할 때는 특정 개인의 욕구보다는 이슈가 되고 있는 사회적 문제나 욕구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이슈를 잘 표현할 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6) 마케팅의 관리
사회복지조직에서 후원자나 기부자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부자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리하는 것 또한 개발 못지않게 중요하다.
관리방법은 첫째, 신규 후원자 관리로서, 감사편지, 후원안내문, 신규후원자 추천용 신청서 발송 등의 방법이 있다. 둘째, 기준 회원 관리로, 1년에 2번 감사편지 발송, 소식지 발송, 연말 성탄카드 발송 및 생일카드 발송, 1년에 1번 후원자의 밤 등의 방법이 있다.
(7) 평가
마케팅 평가는 종합적인 평가와 함께 새로운 외부조직 환경에 대한 분석으로 연계되는 과정으로, 조직의 존재의 이유가 되는 사명에 기초한 사회적 욕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점에서 마케팅 평가과정은 종료가 아닌, 새로운 과정으로서의 변환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기관의 마케팅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더 전략적인 방법을 통해 많은 후원자 모집이 가능하게 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그러나 구체적인 후원대상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후원 지속율이 결연 후원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비정기 후원은 정기 후원과 성격이 비슷하나 비정기적으로 후원금을 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결연후원이나 정기후원에서처럼 정기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후원금을 낸다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잠재 후원자를 대상으로 개발해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모금 저금통을 만들어 배포하는 것인데, 관리상의 문제가 있어 대부분의 기관에서 크게 성공하지는 못하고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모금 저금통 배포 등을 통해 모금운동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기관으로는 사회복지기관 굿네이버스의 \'결식아동돕기 사랑의 동전 모으기\' 행사로 전반기, 후반기로 나눠 각 교육기관(유아교육기관, 초, 중, 고), 교회, 기업체를 주 대상으로 좋은 모금 효과를 거두고 있다.
프로그램 후원은 특정 사업이나 프로그램을 홍보하여 모금하는 방법으로, 최근 실직가정 결식아동 돕기 모금이나 실직노숙자 자립지원을 위한 모금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프로그램 후원자를 개발할 때는 특정 개인의 욕구보다는 이슈가 되고 있는 사회적 문제나 욕구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이슈를 잘 표현할 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6) 마케팅의 관리
사회복지조직에서 후원자나 기부자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부자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리하는 것 또한 개발 못지않게 중요하다.
관리방법은 첫째, 신규 후원자 관리로서, 감사편지, 후원안내문, 신규후원자 추천용 신청서 발송 등의 방법이 있다. 둘째, 기준 회원 관리로, 1년에 2번 감사편지 발송, 소식지 발송, 연말 성탄카드 발송 및 생일카드 발송, 1년에 1번 후원자의 밤 등의 방법이 있다.
(7) 평가
마케팅 평가는 종합적인 평가와 함께 새로운 외부조직 환경에 대한 분석으로 연계되는 과정으로, 조직의 존재의 이유가 되는 사명에 기초한 사회적 욕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점에서 마케팅 평가과정은 종료가 아닌, 새로운 과정으로서의 변환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기관의 마케팅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더 전략적인 방법을 통해 많은 후원자 모집이 가능하게 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기관의 후원자 개발을 위한 마케팅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후원...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과 홍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과 홍보에 대해 서술하시오
사회복지기관의 후원자 개발을 위한 마케팅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사회복지기관의 후원자 개발을 위한 마케팅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사회복지기관의 후원자개발을 위한 마케팅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사회복지기관의 후원자 개발을 위한 마케팅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사회복지기관의 후원자 개발을 위한 마케팅 과정에 대해
사회복지기관의 후원자개발을 위한 마케팅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