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반도 군사력 균형분석
가. 위협분석의 의의
나. 1980년대 유럽의 재래식 군사력 균형에 대한 논쟁
다. 재래식 군사력 균형 평가 방법
라. 한국 전구전쟁 시뮬레이션모델
마. 결론
2. 반 에베라: 군사전략은 국가의 행동을 결정한다.
가. 서 론
나. 왈츠와 반에베라(공격방어 균형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다. 공격방어이론과 안보딜레마
라. 공격우위의 위험성
마. 국제정치의 위기와 제1차 세계대전
바. 공격방어이론의 발전: 안보딜레마 극복
가. 위협분석의 의의
나. 1980년대 유럽의 재래식 군사력 균형에 대한 논쟁
다. 재래식 군사력 균형 평가 방법
라. 한국 전구전쟁 시뮬레이션모델
마. 결론
2. 반 에베라: 군사전략은 국가의 행동을 결정한다.
가. 서 론
나. 왈츠와 반에베라(공격방어 균형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다. 공격방어이론과 안보딜레마
라. 공격우위의 위험성
마. 국제정치의 위기와 제1차 세계대전
바. 공격방어이론의 발전: 안보딜레마 극복
본문내용
가 전쟁으로 발전할 가능성 증대
다. 국가들은 세력균형의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워진다.
☞ 예방전쟁은 불가능해지며 자신이 상대의 위협에 노출되는 ‘취약성의 창’이 열림
라. 국가가 자신이 정복한 주변 국가의 자원을 계속 축적하는 상황에서 팽창은 추가 팽창으로 이어진다.
☞ 가용자원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며, 정복한 국가의 행정력과 군사력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비용을 지출하는 상황발생
Ⅴ. 국제정치의 위기와 제1차 세계대전
1. 반 에베라: 1914년 7월 위기에 초점을 맞추어 당시 존재했던 공격 우위의 믿음으로 인해 전쟁발생으로 판단
※ 피할 수 있었던 전쟁이 공격우위에 대한 믿음과 그에 기초한 군사력 구조 때문에 발생했다고 주장
2. 취약의 창 + 기회의 창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에서 상대의 선제공격이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는 공포심이 국가행동을 지배함.
※ 방어보다 공격이 유리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개별 국가들이 직면한 안보딜레마가 악화됨.
Ⅵ. 공격방어이론의 발전: 안보딜레마 극복
1. 안보딜레마의 핵심요소인 공격방어 균형과 공격방어 구분 가능성 중 공격방어균형에만
집중하고 또다른 요소인 공격방어 구분 가능성을 충분히 분석하지 않음.
2. 공격방어 균형을 극복 공격과 방어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함.
※ 구분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공격방어균형은 객관적 기술이 아니라 단순히 주관적인 인식에 지나지 않음.
☞ 공격방어 구분시: 군사력관찰을 통해 상대의도 파악, 안보딜레마 완화 가능
☞ 공격우위 상황에서 의도적인 방어 중심의 군사력구축시
상대에게 자신의 현상유지 의도를 전달함으로써 불확실성 문제를 개선가능
다. 국가들은 세력균형의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워진다.
☞ 예방전쟁은 불가능해지며 자신이 상대의 위협에 노출되는 ‘취약성의 창’이 열림
라. 국가가 자신이 정복한 주변 국가의 자원을 계속 축적하는 상황에서 팽창은 추가 팽창으로 이어진다.
☞ 가용자원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며, 정복한 국가의 행정력과 군사력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비용을 지출하는 상황발생
Ⅴ. 국제정치의 위기와 제1차 세계대전
1. 반 에베라: 1914년 7월 위기에 초점을 맞추어 당시 존재했던 공격 우위의 믿음으로 인해 전쟁발생으로 판단
※ 피할 수 있었던 전쟁이 공격우위에 대한 믿음과 그에 기초한 군사력 구조 때문에 발생했다고 주장
2. 취약의 창 + 기회의 창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에서 상대의 선제공격이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는 공포심이 국가행동을 지배함.
※ 방어보다 공격이 유리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개별 국가들이 직면한 안보딜레마가 악화됨.
Ⅵ. 공격방어이론의 발전: 안보딜레마 극복
1. 안보딜레마의 핵심요소인 공격방어 균형과 공격방어 구분 가능성 중 공격방어균형에만
집중하고 또다른 요소인 공격방어 구분 가능성을 충분히 분석하지 않음.
2. 공격방어 균형을 극복 공격과 방어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함.
※ 구분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공격방어균형은 객관적 기술이 아니라 단순히 주관적인 인식에 지나지 않음.
☞ 공격방어 구분시: 군사력관찰을 통해 상대의도 파악, 안보딜레마 완화 가능
☞ 공격우위 상황에서 의도적인 방어 중심의 군사력구축시
상대에게 자신의 현상유지 의도를 전달함으로써 불확실성 문제를 개선가능
추천자료
국제 정치에서 세력균형
주한미군
세력균형
[주한미군][한미군사동맹][한미동맹][SOFA]주한미군의 현황과 역할, 주한미군의 실태, 주한미...
[한반도정책]동아시아 국제정치질서와 한반도 통일의 과제
NMD(국가미사일방어시스템) 역사,배치, NMD(국가미사일방어시스템) ABM(탄도탄요격미사일)조...
[한반도군비통제협상]한반도군비통제협상(남북군비통제협상)의 약력, 의의, 한반도군비통제협...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 성격, 신개입주의,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 입장...
[한반도군비축소][한반도]한반도군비축소(한반도군축)의 의의, 목적, 한반도군비축소(한반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