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2개-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2개-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론적 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유형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Ⅱ. 신생아의 생리적 특성과 질병과의 연관

Ⅲ. 간호과정
1. 광선치료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2. 소변, 대변의 지속적 접촉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본문내용

성 세포 독성을 억제하는 효과 때문이다. 투여 방법은 체중(kg) 당 0.5~1g의 용량으로 4~6시간 동안 서서히 정맥 주사하며, 여러 연구에서 교환 수혈의 필요성을 약 50%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Ⅱ. 신생아의 생리적 특성과 질병과의 연관
· 생리적요인(미숙)
· 모유 수유
· 빌리루빈의 과도한 생성
· 결합형 빌리루빈을 분비하는 간의 능력
· 과잉 생성되지만 분비는 저하된 상태
· 질병상태
· 과잉 생산을 가져오는 유전적 요인
Ⅲ. 간호과정
간호 사정
객관적 자료 (O)
5월 4일 Total bilirubin(Capilary) : 12.3 ↑ (0~10.0mg/dL)
5월 4일 Phototherapy start.
5월 4일 피부색 관찰함(색깔:yellowish)
General Body Jaundice있음(신체부위:zone3)
간호 진단 (A)
#1. 광선치료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신체손상 위험성]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신체가 손상 받을 위험이 있는 상태
간호 계획
(P)
목표
입원기간 동안 광선치료로 인해 생기는 망막, 생식기, 피부손상이 없다.
계획
이론적 근거
1.기저귀를 제외한 환아의 모든 옷을 벗긴다.
조직이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피부표면의 노출이 최대화될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게 된다.
2.안대로 환아의 눈을 가려준다.
광선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불투명 안대를 해주는데, 안대는 콧구멍을 막지 않고 눈을 완전히 가리기 위해 크기가 적당해야 한다. 안대를 대기 전에 눈을 감겨야 각막의 자극을 예방할 수 있고, 각막 반사가 있는지 4~6시간마다 확인한다. 수유를 하는 동안 안대를 벗겨서 시각적·감각적 자극을 제공한다. 안대를 제거하기 전에는 광선전구를 소등한다.
3.환아는 광선치료기 밑으로 약 45~60cm 떨어지도록 한다.
신생아와 광선치료기의 거리가 가까우면 피부손상 위험성이 있다.
4.환아의 체위를 2시간마다 바꿔준다.
체위변경은 피부의 서로 다른 부위를 빛에 노출 시켜주고 한 부위의 피부가 지속적으로 압력을 받는 것을 예방해주며 신생아가 받는 자극에 변화를 준다.
5. 환아의 v/s(액와 체온)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체온은 저체온이나 고체온을, 맥박과 호흡의 이상은 합병증 발생을 암시할 수 있다.
6.I/O check
광선요법을 받는 신생아는 빌리루빈 배설의 결과로 수분소실이 증가되고 묽은 변을 본다. 이는 탈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7.환아의 체중을 매일 측정한다.
체중손실은 신생아 탈수진행의 징후이다.
8.환아의 항문주위 피부의 찰과상 징후를 관찰하고 증상이 발견된 경우에는 치료를 시작한다.
광선요법은 위장관을 통해 간접 빌리루빈의 분비를 증가시키므로 묽은 변은 빌리루빈 배설이 증가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잦은 배변은 회음부위 자극을 가져오므로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9.환아의 피부를 정기적으로 사정한다.
지속적으로 압력을 받는 부위가 악화될 수 있다. 양성의, 일시적인 피부 변색은 직접 혈청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해 있거나 간질환을 가지고 있는 신생아의 경우에 광선요법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 반구진성 발진은 때때로 나타나는 광선요법의 일시적인 합병증이다.
10.환아의 노출된 피부 위에 로션이나 연고사용을 피한다.
광선요법을 받고 있는 신생아에게 로션이나 연고는 피부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
11.환아에게 손싸개를 해준다.
피부가 건조해져서 상처가 잘 생길 수 있으므로 신생아가 긁지 않게 한다.
간호 수행 (I)
1.광선치료시 기저귀를 제외한 환아의 모든 옷을 벗긴다.
2.안대로 환아의 눈을 가려준다.
(안대는 콧구멍을 막지 않고 눈을 완전히 가리기 위해 크기가 적당하다. 안대를 대기 전에 눈을 감긴다. 각막 반사가 있는지 4~6시간마다 확인한다. 수유를 하는 동안 안대를 벗겨서 시각적·감각적 자극을 제공한다. 안대를 제거하기 전에는 광선전구를 소등한다.)
3.환아는 광선치료기 밑으로 약 45~60cm 떨어지도록 한다.
4.환아의 체위를 2시간마다 바꿔준다.
5. 환아의 v/s(액와 체온)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6.I/O check
7.환아의 체중을 매일 측정한다.
8.환아의 항문주위 피부의 찰과상 징후를 관찰하고 증상이 발견된 경우에는 치료를 시작한다.
9.환아의 피부를 정기적으로 사정한다.
10.환아의 노출된 피부 위에 로션이나 연고사용을 피한다.
11.환아에게 손싸개를 해준다.
간호 평가 (E)
5월 7일 Total bilirubin(Capilary) : 7.9 (0~10.0mg/dL)
5월 7일 Phototherapy stop.
5월 7일 피부색 관찰함(색깔:pinkish)
General Body Jaundice 없음
→광선치료로 인해 생기는 망막, 생식기, 피부손상이 없었다.
(5월 7일)
간호 사정
객관적 자료 (O)
5월 4일 기저귀 발진 있음(정도:mild)
기저귀를 바로 갈아줄 수 없어서 습기, 마찰, 소변 혹은 대변과의 접촉이 있다.
기저귀를 갈아줄 때 피부를 충분히 건조시키지 않음
간호 진단 (A)
#2. 소변, 대변의 지속적 접촉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피부손상 위험성] 피부가 비정상적으로 변화될 위험이 있는 상태.
간호 계획
(P)
목표
기저귀 발진으로 인한 피부 손상이 없다.
계획
이론적 근거
1.기저귀 접촉부위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피부손상정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2.배뇨, 배변 후 미지근한 물로 깨끗이 닦고 건조시킨다.
배뇨, 배변에 의한 피부자극을 감소시킨다.
3.한 시간마다 기저귀를 점검한다.
기저귀가 젖어도 보채지 않는 아기가 있다.
기저귀 발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소변이 피부와 접촉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기저귀가 젖는 즉시 갈아준다.
4.환부에 연고나 크림을 두껍게 발라준다.
외부 환경으로부터 막을 제공하여 피부를 보호한다.
간호 수행 (I)
1.기저귀 접촉부위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2.배뇨, 배변 후 미지근한 물로 깨끗이 닦고 건조시킨다.
3.한 시간마다 기저귀를 점검한다.
4.환부에 연고나 크림을 두껍게 발라준다.(연고:Barrier cream)
간호 평가 (E)
3월 11일 기저귀 발진 없음
→기저귀 발진으로 인한 피부 손상이 없다.(3월 11일)
  • 가격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1.04.26
  • 저작시기2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8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