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단원 : 3. 식물의 한살이
Ⅱ. 단원 설정의 취지 및 지도 중점
Ⅲ. 단원의 목표
Ⅳ. 차시별 지도 계획
Ⅴ. 과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
1. 단원의 전개 계획
2. 과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
<문제 파악>
- 동기 유발하기
-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문제 추구 및 해결>
- 학습 순서 확인하기
- 실험 설계하기
- 실험 장치 꾸미기
- 실험 결과 확인하기
- 일반화하기
<적용 및 발전>
- 실험 설계(온도와 싹트는 것)
<정리>
- 학습 정리
- 차시 예고
Ⅵ. 평가 관점
Ⅶ. 핵심 판서
Ⅱ. 단원 설정의 취지 및 지도 중점
Ⅲ. 단원의 목표
Ⅳ. 차시별 지도 계획
Ⅴ. 과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
1. 단원의 전개 계획
2. 과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
<문제 파악>
- 동기 유발하기
-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문제 추구 및 해결>
- 학습 순서 확인하기
- 실험 설계하기
- 실험 장치 꾸미기
- 실험 결과 확인하기
- 일반화하기
<적용 및 발전>
- 실험 설계(온도와 싹트는 것)
<정리>
- 학습 정리
- 차시 예고
Ⅵ. 평가 관점
Ⅶ. 핵심 판서
본문내용
생님이 일주일 전에 실험 장치를 꾸민 것을 여러분에게 보여주겠습니다. 두 개의 페트리 접시에 일어난 변화를 말해봅시다.
S, 물을 준 페트리 접시의 강낭콩에 싹이 텄습니다.
S, 물을 주지 않은 강낭콩은 싹이 트지 않았습니다.
T, 이 실험 결과로 볼 때 물이 싹이 트는 것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한 문장으로 말해봅시다.
S, 씨가 싹트는데 물이 필요합니다.
일주일 전부터 미리 준비한 페트리접시 2개
일주일 전부터 준비한 페트리 접시를 보여 주고 물이 싹트는데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게 한다.
일반화하기
T, 씨가 싹트는데 적당한 양의 물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물 이외에도 적당한 온도가 필요합니다.
씨가 싹 트기 위해서는 적당한 양의 물과, 적절한 온도가 필요하다.
Sn, (씨가 싹 트기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 확인하다.)
T, 추운 겨울에 강낭콩을 화분에 심고 운동장에 내놓은 후 물을 잘 주면 싹이 틀까요? 트지 않을까요?
또,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S, 싹이 트지 않습니다. 겨울에는 온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T, 따뜻한 봄날 마른 흙이 든 화분에 강낭콩을 심고 물을 주지 않으면 싹이 틀까요? 트지 않을까요? 또,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S, 싹이 트지 않습니다. 물을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PPT(싹트기 위한 조건)
PPT로 싹트기 위한 조건을 정리해 주고 필요한 질문으로 이해를 돕는다.
적용
및
발전
실험설계
(온도와 싹트는 것)
T, 그러면, “적절한 온도가 씨앗이 싹트는데 필요한 조건이다” 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실험 장치를 꾸며야 하는지 모둠별로 토의해 봅시다.
Sn, (모둠별로 실험 장치를 어떻게 꾸밀지 토의해본다.)
T, 온도가 싹트는데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험 장치를 어떻게 꾸며야 하는지 말해봅시다.
S, 두 개의 페트리 접시에 각각 솜을 깔고 강낭콩을 놓은 후 분무기로 물을 충분히 뿌린 후 하나는 냉장고에 넣고, 하나 는 교실 안에 놓아두면 될 것 같습니다.
S, 두 개의 페트리 접시를 하나는 아이스박스에 넣고 얼음을 계속 갈아주고, 다른 하나는 교실 사물함 위에 놓아 둡니다.
T, 두 개의 페트리 접시에 다르게 해야 할 조건은 무엇입니까?
S, 온도를 다르게 해야 합니다.
T, 두 개의 페트리 접시에서 같게 해야 할 조건은 무엇입니까?
S, 페트리접시의 크기입니다.
S, 물을 주는 양입니다.
S, 솜의 크기와 강낭콩의 크기입니다.
온도가 싹트는데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모둠별로 설계해보게 한다.
정리
학습 정리
T, 이 시간 배운 내용을 한 문장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빈 칸에 알맞은 단어를 넣어서 다 함께 읽어 봅시다.
식물이 싹 트기 위해서는 ( )와 ( )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Sn, (괄호 안에 알맞은 단어를 넣어 문장을 읽어본다.)
PPT(학습정리)
차시 예고
T, 다음 시간에는 씨가 싹 트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 습니다.
Sn, (다음 시간 공부할 내용을 확인한다.)
교과서 56~57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씨가 싹 트는데 필요한 조건을 경험에 비추어 추측할 수 있는가?
씨가 싹 트는데 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장치를 꾸밀 수 있는가?
모둠원들과 실험설계 및 실험 장치를 꾸미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씨가 싹트는데 필요한
조건을 알아보자.
<학습 순서>
- 실험 설계하기
- 실험 장치 꾸미기
- 실험 결과 확인하기
- 일반화하기
단원 : 3. 식물의 한살이
<식물이 싹 트는데 필요한 조건>
: 적당한 양의 물, 알맞은 온도
※ 물과 온도 중 하나라도 맞지 않으면 싹은
트지 않는다.
S, 물을 준 페트리 접시의 강낭콩에 싹이 텄습니다.
S, 물을 주지 않은 강낭콩은 싹이 트지 않았습니다.
T, 이 실험 결과로 볼 때 물이 싹이 트는 것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한 문장으로 말해봅시다.
S, 씨가 싹트는데 물이 필요합니다.
일주일 전부터 미리 준비한 페트리접시 2개
일주일 전부터 준비한 페트리 접시를 보여 주고 물이 싹트는데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게 한다.
일반화하기
T, 씨가 싹트는데 적당한 양의 물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물 이외에도 적당한 온도가 필요합니다.
씨가 싹 트기 위해서는 적당한 양의 물과, 적절한 온도가 필요하다.
Sn, (씨가 싹 트기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 확인하다.)
T, 추운 겨울에 강낭콩을 화분에 심고 운동장에 내놓은 후 물을 잘 주면 싹이 틀까요? 트지 않을까요?
또,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S, 싹이 트지 않습니다. 겨울에는 온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T, 따뜻한 봄날 마른 흙이 든 화분에 강낭콩을 심고 물을 주지 않으면 싹이 틀까요? 트지 않을까요? 또,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S, 싹이 트지 않습니다. 물을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PPT(싹트기 위한 조건)
PPT로 싹트기 위한 조건을 정리해 주고 필요한 질문으로 이해를 돕는다.
적용
및
발전
실험설계
(온도와 싹트는 것)
T, 그러면, “적절한 온도가 씨앗이 싹트는데 필요한 조건이다” 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실험 장치를 꾸며야 하는지 모둠별로 토의해 봅시다.
Sn, (모둠별로 실험 장치를 어떻게 꾸밀지 토의해본다.)
T, 온도가 싹트는데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험 장치를 어떻게 꾸며야 하는지 말해봅시다.
S, 두 개의 페트리 접시에 각각 솜을 깔고 강낭콩을 놓은 후 분무기로 물을 충분히 뿌린 후 하나는 냉장고에 넣고, 하나 는 교실 안에 놓아두면 될 것 같습니다.
S, 두 개의 페트리 접시를 하나는 아이스박스에 넣고 얼음을 계속 갈아주고, 다른 하나는 교실 사물함 위에 놓아 둡니다.
T, 두 개의 페트리 접시에 다르게 해야 할 조건은 무엇입니까?
S, 온도를 다르게 해야 합니다.
T, 두 개의 페트리 접시에서 같게 해야 할 조건은 무엇입니까?
S, 페트리접시의 크기입니다.
S, 물을 주는 양입니다.
S, 솜의 크기와 강낭콩의 크기입니다.
온도가 싹트는데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모둠별로 설계해보게 한다.
정리
학습 정리
T, 이 시간 배운 내용을 한 문장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빈 칸에 알맞은 단어를 넣어서 다 함께 읽어 봅시다.
식물이 싹 트기 위해서는 ( )와 ( )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Sn, (괄호 안에 알맞은 단어를 넣어 문장을 읽어본다.)
PPT(학습정리)
차시 예고
T, 다음 시간에는 씨가 싹 트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 습니다.
Sn, (다음 시간 공부할 내용을 확인한다.)
교과서 56~57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씨가 싹 트는데 필요한 조건을 경험에 비추어 추측할 수 있는가?
씨가 싹 트는데 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장치를 꾸밀 수 있는가?
모둠원들과 실험설계 및 실험 장치를 꾸미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씨가 싹트는데 필요한
조건을 알아보자.
<학습 순서>
- 실험 설계하기
- 실험 장치 꾸미기
- 실험 결과 확인하기
- 일반화하기
단원 : 3. 식물의 한살이
<식물이 싹 트는데 필요한 조건>
: 적당한 양의 물, 알맞은 온도
※ 물과 온도 중 하나라도 맞지 않으면 싹은
트지 않는다.
추천자료
발아의조건
교육 실습 과정의 구조적 재생산에 관한 연구-학교의 지배적 헤게모니와 교생들의 일상적 삶...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초등학교 4학년 도덕과(도덕교육) 일반목표와 영역목표, 초등학교 4학...
흄(Hume)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 [초등도덕교육론]
[초등도덕교육론]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
공공기관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4학년 1학기 3단원, 2015개정 초등 사회과 지도안
추의 무게와 용수철의 늘어난 길이 사이의 관계 알아보기, 4학년 1학기 4단원, 2015개정 초등...
산소의 성질 알아보기. 6학년 1학기 3단원. 2015개정 초등 과학 지도안
물체가 거울에 비친 모습의 특징 알아보기, 4학년 2학기 3단원, 초등 과학 지도안
이산화탄소의 성질 알아보기. 6학년 1학기 3단원. 초등 과학 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