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일반정보
II. 병력
III. 질병기술(disease description)
IV. 신체검진
V.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VI. 약물
VII. 특수치료 및 수술
VIII. 간호과정
IX. 참고문헌
II. 병력
III. 질병기술(disease description)
IV. 신체검진
V.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VI. 약물
VII. 특수치료 및 수술
VIII. 간호과정
IX. 참고문헌
본문내용
액 상태를 알기 위해 수분섭취와 소변배설량을 확인한다. 환자에게 수분섭취와 소변배설량을 기록하도록 교육한다.(By RN)
→ 수분섭취와 소변배설량을 왜 기록하게 하는지 설명한다.(By SN)
처방된 식이(신부전 식이)를 따르도록 격려한다.(By SN)
→ 신부전 식이를 먹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기호음료를 파악하여 침상 옆에 놓는다.(By RN, SN)
혈청 전해질 수치를 측정한다.(By RN)
이론적 근거
(Ratoinal)
설사는 체액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약을 통해 설사를 줄여야 한다.
I&O체크로 체액과다와 부족을 판단할 수 있다.
신부전은 체액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신부전 식이를 먹으면서 신부전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한다.
기호음료를 통해 수분섭취량을 늘려 체액손실을 줄이도록 한다.
혈청 전해질 수치는 대상자의 체액 불균형 이상 수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검사이다.
평가
(Evaluation)
설사는 계속 하지만 설사의 양상이 변하고 호전되었다.
매일 I&O체크를 열심히 하신다.
처방된 신부전 식이를 불만 없이 식사하신다.
BUN, Creatinine수치는 여전히 높다.
#1. 설사, I&O 불일치와 관련된 체액불균형의 위험
#2. 삶에 대한 무기력함과 관련된 절망감
Nursing Assesment
Subjective
“아프면 죽어야지. 왜 병원에 다시 데려와서 고쳐줘”
“또 아프면 병원에 와서 안고치고 집에 있을거야“
Objective
간병인의 말에 의하면 할머니 집안에 절망적인 일이 많아서 평소에도 절망적인 말씀을 많이 하시는 것 같다고 함
평소에도 모든 일에 낙심, 절망 많이 하심
Nursing Diagnosis
삶에 대한 무기력함과 관련된 절망감
간호목표
(Nursing goals)
결과기준
(Outcomes criteria)
목표: 절망적인 말을 하는 횟수가 줄어들면서 희망감이 증가되었다고 말한다.
절망감을 말로 표현한다.
자가 간호활동에 참여한다.
또 다시 아프면 병원에 와서 치료를 받겠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및 수행
(Nursing Planning
& invervention)
각 근무시간 마다 간호와 관계없는 주제에 관해 이야기 한다.(By SN)
우울, 슬픔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By RN, SN)
자가 간호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와준다.(By RN, SN)
즐거운 기분전환 활동(산책, TV보기 등)을 갖고 참여하도록 권장한다.(By RN, SN)
질병을 병원에 와서 고쳐야 하는 이유와 질병을 고침으로써 삶이 즐거워질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By RN, SN)
대상자와 가족 또는 파트너에게 건강상태에 대한 현실적 평가와 가까운 장래의 희망을 전달한다.(By RN)
이론적 근거
(Ratoinal)
간호와 관계없는 얘기를 하는 것은 대상자에게 희망감을 심어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주위 사람에게 우울, 슬픔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더 깊은 우울에 빠지는 것을 막는다.
자가간호활동은 치료에 적극적인 좋은 자세이다.
즐거운 기분전환 활동(산책, TV보기 등)은 대상자의 기분이 밝아지도록 돕는다.
질병을 고쳐야 하는 이유를 아는 것은 질병 치료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희망은 질병 치료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평가
(Evaluation)
대상자는 전보다 자신의 기분을 표현한다
대상자는 아직 절망적인 말을 조금씩 하지만 아프면 앞으로 병원에 와서 치료를 받겠다고 약속했다.
간병인분께서 희망적인 말을 해주심으로 인해 대상자가 절망적인 말을 덜한다.
#3. 약 부작용과 관련된 설사
Nursing Assesment
Subjective
“설사는 병원에 와서부터 하기 시작했어”
“약을 먹었는데도 무지국하게 하루에 3~4번 설사해”
“먹는대로 설사를 해“
Objective
diarrhea양상으로 IV flagyl d/c→ po metronidazole 투약함
천식과 신부전 약(ex. 스테로이드제제)에 대한 부작용으로 설사를 하는 것으로 의심됨
Nursing Diagnosis
약 부작용과 관련된 설사
간호목표
(Nursing goals)
결과기준
(Outcomes criteria)
목표: 퇴원일(05.13)까지 설사가 멈추고, 일상적인 배변양상으로 회복한다.
설사의 원인이 되는 요소(천식과 신부전 약)를 환자는 말할 수 있다.
피부가 깨끗하고 자극이나 궤양이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회복하고 유지한다.
간호계획
및 수행
(Nursing Planning
& invervention)
설사의 빈도와 특성을 모니터 하고 기록한다.(By RN)
→설사의 양상을 기록하고 간호사에게 보고하도록 대상자와 간병인을 교육한다.
처방된 항설사약을 투여한다. 투약의 효과를 모니터하고 보고한다.(By RN)
처방된 수액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정확한 기록을 한다.(By RN)
항문주위 피부의 자극과 궤양형성을 모니터 한다.(By RN)
설사의 원인이 되는 요소(천식과 신부전 약)를 설명한다.(By RN)
설사를 유발하는 음식(ex. 유제품, 과일)이 무엇인지 교육한다.(By RN, SN)
이론적 근거
(Ratoinal)
설사의 빈도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어떤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지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항설사약은 설사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수액과 전해질을 공급함으로써 체액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설사를 자주 하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천식과 신부전 약물의 부작용으로 설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의심된다.
대상자는 설사를 유발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알고 먹지 않음으로써 설사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평가
(Evaluation)
설사는 계속 하지만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watery diarrhea에서 loose stool 양상으로 변했다.
coccyx 주변에 욕창이 있기는 하지만 staging Ⅰ이며, 잘 유지되고 있다.
Ⅸ. 참고문헌
김금순 외 7명,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3
서울대학교병원
약학정보원
김금자, 차영남 외 11명,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제2판』, 현문사 2012
드러그 인포 www.druginfo.co.kr
KMLE 의학 검색 엔진 www.kmle.co.kr
→ 수분섭취와 소변배설량을 왜 기록하게 하는지 설명한다.(By SN)
처방된 식이(신부전 식이)를 따르도록 격려한다.(By SN)
→ 신부전 식이를 먹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기호음료를 파악하여 침상 옆에 놓는다.(By RN, SN)
혈청 전해질 수치를 측정한다.(By RN)
이론적 근거
(Ratoinal)
설사는 체액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약을 통해 설사를 줄여야 한다.
I&O체크로 체액과다와 부족을 판단할 수 있다.
신부전은 체액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신부전 식이를 먹으면서 신부전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한다.
기호음료를 통해 수분섭취량을 늘려 체액손실을 줄이도록 한다.
혈청 전해질 수치는 대상자의 체액 불균형 이상 수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검사이다.
평가
(Evaluation)
설사는 계속 하지만 설사의 양상이 변하고 호전되었다.
매일 I&O체크를 열심히 하신다.
처방된 신부전 식이를 불만 없이 식사하신다.
BUN, Creatinine수치는 여전히 높다.
#1. 설사, I&O 불일치와 관련된 체액불균형의 위험
#2. 삶에 대한 무기력함과 관련된 절망감
Nursing Assesment
Subjective
“아프면 죽어야지. 왜 병원에 다시 데려와서 고쳐줘”
“또 아프면 병원에 와서 안고치고 집에 있을거야“
Objective
간병인의 말에 의하면 할머니 집안에 절망적인 일이 많아서 평소에도 절망적인 말씀을 많이 하시는 것 같다고 함
평소에도 모든 일에 낙심, 절망 많이 하심
Nursing Diagnosis
삶에 대한 무기력함과 관련된 절망감
간호목표
(Nursing goals)
결과기준
(Outcomes criteria)
목표: 절망적인 말을 하는 횟수가 줄어들면서 희망감이 증가되었다고 말한다.
절망감을 말로 표현한다.
자가 간호활동에 참여한다.
또 다시 아프면 병원에 와서 치료를 받겠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및 수행
(Nursing Planning
& invervention)
각 근무시간 마다 간호와 관계없는 주제에 관해 이야기 한다.(By SN)
우울, 슬픔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By RN, SN)
자가 간호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와준다.(By RN, SN)
즐거운 기분전환 활동(산책, TV보기 등)을 갖고 참여하도록 권장한다.(By RN, SN)
질병을 병원에 와서 고쳐야 하는 이유와 질병을 고침으로써 삶이 즐거워질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By RN, SN)
대상자와 가족 또는 파트너에게 건강상태에 대한 현실적 평가와 가까운 장래의 희망을 전달한다.(By RN)
이론적 근거
(Ratoinal)
간호와 관계없는 얘기를 하는 것은 대상자에게 희망감을 심어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주위 사람에게 우울, 슬픔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더 깊은 우울에 빠지는 것을 막는다.
자가간호활동은 치료에 적극적인 좋은 자세이다.
즐거운 기분전환 활동(산책, TV보기 등)은 대상자의 기분이 밝아지도록 돕는다.
질병을 고쳐야 하는 이유를 아는 것은 질병 치료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희망은 질병 치료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평가
(Evaluation)
대상자는 전보다 자신의 기분을 표현한다
대상자는 아직 절망적인 말을 조금씩 하지만 아프면 앞으로 병원에 와서 치료를 받겠다고 약속했다.
간병인분께서 희망적인 말을 해주심으로 인해 대상자가 절망적인 말을 덜한다.
#3. 약 부작용과 관련된 설사
Nursing Assesment
Subjective
“설사는 병원에 와서부터 하기 시작했어”
“약을 먹었는데도 무지국하게 하루에 3~4번 설사해”
“먹는대로 설사를 해“
Objective
diarrhea양상으로 IV flagyl d/c→ po metronidazole 투약함
천식과 신부전 약(ex. 스테로이드제제)에 대한 부작용으로 설사를 하는 것으로 의심됨
Nursing Diagnosis
약 부작용과 관련된 설사
간호목표
(Nursing goals)
결과기준
(Outcomes criteria)
목표: 퇴원일(05.13)까지 설사가 멈추고, 일상적인 배변양상으로 회복한다.
설사의 원인이 되는 요소(천식과 신부전 약)를 환자는 말할 수 있다.
피부가 깨끗하고 자극이나 궤양이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회복하고 유지한다.
간호계획
및 수행
(Nursing Planning
& invervention)
설사의 빈도와 특성을 모니터 하고 기록한다.(By RN)
→설사의 양상을 기록하고 간호사에게 보고하도록 대상자와 간병인을 교육한다.
처방된 항설사약을 투여한다. 투약의 효과를 모니터하고 보고한다.(By RN)
처방된 수액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정확한 기록을 한다.(By RN)
항문주위 피부의 자극과 궤양형성을 모니터 한다.(By RN)
설사의 원인이 되는 요소(천식과 신부전 약)를 설명한다.(By RN)
설사를 유발하는 음식(ex. 유제품, 과일)이 무엇인지 교육한다.(By RN, SN)
이론적 근거
(Ratoinal)
설사의 빈도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어떤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지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항설사약은 설사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수액과 전해질을 공급함으로써 체액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설사를 자주 하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천식과 신부전 약물의 부작용으로 설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의심된다.
대상자는 설사를 유발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알고 먹지 않음으로써 설사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평가
(Evaluation)
설사는 계속 하지만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watery diarrhea에서 loose stool 양상으로 변했다.
coccyx 주변에 욕창이 있기는 하지만 staging Ⅰ이며, 잘 유지되고 있다.
Ⅸ. 참고문헌
김금순 외 7명,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3
서울대학교병원
약학정보원
김금자, 차영남 외 11명,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제2판』, 현문사 2012
드러그 인포 www.druginfo.co.kr
KMLE 의학 검색 엔진 www.kmle.co.kr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농양)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복부대동맥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코뼈골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협심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결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추간판 탈출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심방세동)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만성신부전)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5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