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입
2. 제시
3. 연습
4. 활용
5. 마무리
6. 판서분석
7. 참관소감
2. 제시
3. 연습
4. 활용
5. 마무리
6. 판서분석
7. 참관소감
본문내용
관찰 내용
<인사>
주말 관련해서 인사하고 있다.
<복습>
지난 시간에 배운 ‘<동사>아/어 가지고’를 사용하여 질문을 하고 학습자의 대답을 유도한다.
교사: 어제 왜 학교에 못 왔어요?
학생: 무릎이 아파 가지고 학교에 못 왔어요.
교사: 과일을 어떻게 먹어요?
학생: 과일을 씻어 가지고 먹어요.
‘<동사>(으)ㄹ 테니까’로 발화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고 질문한다.
교사: 시간이 없어요. 어떡해요?
학생: 도와줄 테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상황 맥락 도입>
교재의 <준비>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교사: 한국 음식 하면 제일 먼저 어떤 것이 생각나요? 김치가 생각나요? 한국 음식 하면 김치죠. 한국 사람들 김치 많이 먹는 것 같아요? 많이 먹어요? 여러분들 식당에 가면 항상 김치가 있죠. 그쵸. 여러분들 고향 친구가 한국에 대해서 궁금해해요. 한국에 대해서 알고 싶어. 그런데 그 친구가 들었어요. “한국 사람들은 항상 김치를 먹어. 식사할 때 항상 김치를 먹어.” 하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자, 친구가 여러분에게 질문합니다. 어떤 질문을 할까요? 진짜로 한국 사람들은 김치를 좋아해요? 김치를 많이 먹어요?
목표 문법을 발화하지 않고 상황 맥락을 제시한다.
교사: 확인하고 싶어요. 여러분에게 진짜 그래요? 진짜 맞아요? 하고 물어보고 싶어요.
시각 자료를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며 상황 맥락을 제시한다.
교사: 여기 사진이 하나 있는데요. 이거 어디예요? 한국은 여기 있습니다. 여기는 어느 나라? 중국입니다. 어떡해? 여기 중국 사람 많은데. 지금 오연 씨가 중국 사람인데 “여기는 한국이에요.” 라고 대답했습니다. 자, 여기는 중국이에요. 중국에 무엇이 있을까요? 소하 씨, 여기에 무엇이 있을까요? 중국에서 아주 유명한 거. **씨는 중국 사람이 아닌데. 우리 **씨가 대답했어요. 중국 사람이 우리 반에 몇 명이 있는데. 여기는 만리장성이 있는 곳이에요.
<인사>
주말 관련해서 인사하고 있다.
<복습>
지난 시간에 배운 ‘<동사>아/어 가지고’를 사용하여 질문을 하고 학습자의 대답을 유도한다.
교사: 어제 왜 학교에 못 왔어요?
학생: 무릎이 아파 가지고 학교에 못 왔어요.
교사: 과일을 어떻게 먹어요?
학생: 과일을 씻어 가지고 먹어요.
‘<동사>(으)ㄹ 테니까’로 발화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고 질문한다.
교사: 시간이 없어요. 어떡해요?
학생: 도와줄 테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상황 맥락 도입>
교재의 <준비>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교사: 한국 음식 하면 제일 먼저 어떤 것이 생각나요? 김치가 생각나요? 한국 음식 하면 김치죠. 한국 사람들 김치 많이 먹는 것 같아요? 많이 먹어요? 여러분들 식당에 가면 항상 김치가 있죠. 그쵸. 여러분들 고향 친구가 한국에 대해서 궁금해해요. 한국에 대해서 알고 싶어. 그런데 그 친구가 들었어요. “한국 사람들은 항상 김치를 먹어. 식사할 때 항상 김치를 먹어.” 하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자, 친구가 여러분에게 질문합니다. 어떤 질문을 할까요? 진짜로 한국 사람들은 김치를 좋아해요? 김치를 많이 먹어요?
목표 문법을 발화하지 않고 상황 맥락을 제시한다.
교사: 확인하고 싶어요. 여러분에게 진짜 그래요? 진짜 맞아요? 하고 물어보고 싶어요.
시각 자료를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며 상황 맥락을 제시한다.
교사: 여기 사진이 하나 있는데요. 이거 어디예요? 한국은 여기 있습니다. 여기는 어느 나라? 중국입니다. 어떡해? 여기 중국 사람 많은데. 지금 오연 씨가 중국 사람인데 “여기는 한국이에요.” 라고 대답했습니다. 자, 여기는 중국이에요. 중국에 무엇이 있을까요? 소하 씨, 여기에 무엇이 있을까요? 중국에서 아주 유명한 거. **씨는 중국 사람이 아닌데. 우리 **씨가 대답했어요. 중국 사람이 우리 반에 몇 명이 있는데. 여기는 만리장성이 있는 곳이에요.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어교원양성과정 기관심사 적합 자료 (확인신청서, 양성과정 소개, 강의계획서)
사회복지 프로그램) 다문화 결혼 이민 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과 다문화 가정 가족 기능 강화...
서울대학교 한국어교원 수업참관보고서
경희 사이버 대학원 한국어 논문
한국어실습 4차시 참관일지 (한국어학과), (초급 문법 참관일지)
한국어실습 6차시 1강, 6차시 2강 참관일지 (총 2개), (초급 말하기/ 초급 듣기 참관 일지)
한국어실습 9차시 1강, 9차시 2강 참관일지 (총 2개), (고급 문법/고급 읽기 참관일지)
한국어교육실습 최종보고서 (한국어학과)
한국어실습 5차시 1강, 5차시 2강 참관일지 (총 2개), (한국어학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