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입
2. 제시
3. 연습
4. 활용
5. 마무리
6. 판서분석
7. 참관소감
2. 제시
3. 연습
4. 활용
5. 마무리
6. 판서분석
7. 참관소감
본문내용
<인사>
교사: 네, 자, 여러분, 수업을 시작하겠습니다. 준비 다 됐죠? 네, 우리 오늘 열심히 잘 공부해봅시다.
<복습>
‘-(으)ㄴ 탓에’, ‘-(으)ㄴ 덕분에’를 복습한다.
교사: 우리 앞에 나왔던 것이, 지난 시간에 배웠던 문법이 있었어요. 바로 앞에 나왔던 문법이 ‘탓에’, ‘덕분에’였어요. ‘탓’과 ‘덕분’은 중급에서 배웠었죠? 중급에서 배웠던 것은 명사 뒤에 나오는 ‘탓’, 그리고 ‘덕분’. 두 가지 있었습니다.
질의응답과 직접 설명하는 방식으로 지난 시간에 학습한 유의 문법에 대해 복습한다.
교사: 뭐가 달랐죠?
학생: 부정적인 상황과 긍정적인.
교사: 네. 말하는 사람이, 또는 문장의 주어가 부정적인 상황이라고 느낄 때는 뭘 써요? ‘탓에’ 이것 썼고.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생각이 되면 ‘덕분에’를 썼죠.
상황에 맞는 발화를 유도함으로써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확인한다.
교사: 그때 예로 들었던 것이, 어떤 사람이 등산을 가야 됩니다. 왜냐하면 회사에서 사장님이, “이번 주말에 우리 직원 모두 다 등산을 갑시다.” 이야기했어요. 그런데 그 날 아침에 비가 와요. 비가 오면 등산을 갈 수 없겠죠? 그래서 등산이 취소되었습니다. 근데 이 사람은 평소에 등산을 너무 싫어하는 사람이에요. 여러분, 등산 좋아해요?
학생: 네.
교사: 저 진짜 싫어해요. 저 같은 사람은 아마 비가 오면 너무 좋아했을 거예요. 자, 그때 어떻게 이야기해요? 비가 오는 덕분에 등산이 취소되었어요. 이야기할 수 있죠. 그런데 반대로 등산을 너무 좋아하는 사람이 있어요. 그 사람은 빨리 빨리 등산을 가고 싶다, 기대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취소가 되면 아쉽겠죠? 어떻게 이야기해요?
학생: 비가 오는 탓에 ***
교사: 비가 오는 탓에 등산이 취소되었습니다.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었습니다. 네, 지난 시간에 ‘은/는 탓에’, ‘덕분에’ 이것을 공부했고요.
교사: 네, 자, 여러분, 수업을 시작하겠습니다. 준비 다 됐죠? 네, 우리 오늘 열심히 잘 공부해봅시다.
<복습>
‘-(으)ㄴ 탓에’, ‘-(으)ㄴ 덕분에’를 복습한다.
교사: 우리 앞에 나왔던 것이, 지난 시간에 배웠던 문법이 있었어요. 바로 앞에 나왔던 문법이 ‘탓에’, ‘덕분에’였어요. ‘탓’과 ‘덕분’은 중급에서 배웠었죠? 중급에서 배웠던 것은 명사 뒤에 나오는 ‘탓’, 그리고 ‘덕분’. 두 가지 있었습니다.
질의응답과 직접 설명하는 방식으로 지난 시간에 학습한 유의 문법에 대해 복습한다.
교사: 뭐가 달랐죠?
학생: 부정적인 상황과 긍정적인.
교사: 네. 말하는 사람이, 또는 문장의 주어가 부정적인 상황이라고 느낄 때는 뭘 써요? ‘탓에’ 이것 썼고.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생각이 되면 ‘덕분에’를 썼죠.
상황에 맞는 발화를 유도함으로써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확인한다.
교사: 그때 예로 들었던 것이, 어떤 사람이 등산을 가야 됩니다. 왜냐하면 회사에서 사장님이, “이번 주말에 우리 직원 모두 다 등산을 갑시다.” 이야기했어요. 그런데 그 날 아침에 비가 와요. 비가 오면 등산을 갈 수 없겠죠? 그래서 등산이 취소되었습니다. 근데 이 사람은 평소에 등산을 너무 싫어하는 사람이에요. 여러분, 등산 좋아해요?
학생: 네.
교사: 저 진짜 싫어해요. 저 같은 사람은 아마 비가 오면 너무 좋아했을 거예요. 자, 그때 어떻게 이야기해요? 비가 오는 덕분에 등산이 취소되었어요. 이야기할 수 있죠. 그런데 반대로 등산을 너무 좋아하는 사람이 있어요. 그 사람은 빨리 빨리 등산을 가고 싶다, 기대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취소가 되면 아쉽겠죠? 어떻게 이야기해요?
학생: 비가 오는 탓에 ***
교사: 비가 오는 탓에 등산이 취소되었습니다.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었습니다. 네, 지난 시간에 ‘은/는 탓에’, ‘덕분에’ 이것을 공부했고요.
키워드
추천자료
평생교육사 실습 일지 (완벽작성)
한국어교원양성과정 기관심사 적합 자료 (확인신청서, 양성과정 소개, 강의계획서)
배론 한국어 교원양성과정 과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경희 사이버 대학원 한국어 논문
한국어실습 4차시 참관일지 (한국어학과), (초급 문법 참관일지)
한국어실습 6차시 1강, 6차시 2강 참관일지 (총 2개), (초급 말하기/ 초급 듣기 참관 일지)
한국어실습 8차시 1강, 8차시 2강 참관일지 (총 2개), (중급 문법/중급 말하기 참관일지)
한국어교육실습 최종보고서 (한국어학과)
한국어실습 5차시 1강, 5차시 2강 참관일지 (총 2개), (한국어학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