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대 스리랑카와 아누라다푸라 왕조
2. 스리랑카의 근세 식민시대
3. 영국연방 세일론
4. 스리랑카 공화국
5.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
2. 스리랑카의 근세 식민시대
3. 영국연방 세일론
4. 스리랑카 공화국
5.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
본문내용
총선에서 집권여당인 인민연합(PA)가 제1당으로 재집권하는데 성공하였으며 2003년 11월 4일 쿠마라퉁가 대통령은 통일국민당(UNP) 내각이 타밀일람 해방 호랑이(LTTE) 측에 지나치게 양보하여 안보상황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국회를 해산하였다. 이후 통일인민자유연합은 의회의 총 225석 중 105석을 확보하여 제1야당이 됨으로써 정부를 구성하고 있던 통일인민자유연합 정부를 출범하였다. 2005년 11월 17일 실시된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된 통일인민자유연합(UPFA) 후보인 마힌다 라자팍사(Mahinda Rajapaksa) 수상은 11월 19일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대선 당시 라자팍사 후보는 인민해방전선(JVP)과 불교승려정치조직(JHU)13)과 연합을 형성하였다. 2009년 5월 19일 스리랑카 정부는 타밀일람 해방 호랑이(LTTE)와의 내전에서 정부군의 승리와 전쟁의 종식을 선언하였다. 2010년 1월 26일 라자팍사 대통령은 재선한 뒤, 2월 9일 국회를 해산하였다. 2010년 4월 8일 총선에서 라자팍사 대통령이 이끄는 여당 통일인민자유연합(UPFA)이 225석 중 144석을 획득하여 압승하였다. 2010년 4월 22일 제7대 국회가 개원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