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Skinner의 학습이론에서 학습의 정의
2. Skinner의 학습이론에 의한 수업방식의 특징
3. Skinner에 의해 제안된 수업방식과 현재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수업방식 간의 차이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Skinner의 학습이론에서 학습의 정의
2. Skinner의 학습이론에 의한 수업방식의 특징
3. Skinner에 의해 제안된 수업방식과 현재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수업방식 간의 차이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여 의도된 행동을 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프로그램학습이 필요함을 강조하면서 누구나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음을 강조, 단지 목표를 달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있다. 학습의 개인차는 더 많은 강화와 과학적 조건형성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Skinner에 의해 제안된 수업방식은 복잡한 학습을 위해 순차적인 학습이 되어야 하는데, 그 시발점을 제시해 주었으며, 기존의 교실관찰을 통하여 강화계획에 일관성이 없고 개연적이지 못한 잘못된 강화를 사용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프로그램학습이 적절히 실행된다면 교실에서 개인차를 극복함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음을 검증해냈다. Skinner에 의해 제안된 수업방식은 문제해결 능력, 창의력 발달 태도 향상 등의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서 개인의 특성을 존중하면서 창의성 함양에 중점을 두는 현대 수업방식에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있다. 즉, Skinner의 학습이론은 복잡한 인간의 행동에 관한 실험적 분석에 대한 설명이 불충분하여 잠재적 강화의 다양성에 다른 차이를 검증하는데 어렴이 있는데, 이는 인간 능력의 잠재성을 무시한 결과이다.
Ⅳ. 참고문헌
박아청, 최성열 저, 교육심리학의 세계, 창지사, 2019
James E. Mazur 저, 학습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8
정순례, 이병임 외 2명 저, 학습이론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3
Matthew H. Olson, B. R. HERGENHAHN 저, 학습 심리학, 학지사, 2015
이웅 저,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한국교육기획, 2009
Ⅳ. 참고문헌
박아청, 최성열 저, 교육심리학의 세계, 창지사, 2019
James E. Mazur 저, 학습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8
정순례, 이병임 외 2명 저, 학습이론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3
Matthew H. Olson, B. R. HERGENHAHN 저, 학습 심리학, 학지사, 2015
이웅 저,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한국교육기획, 200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