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놀이치료단계
2. 놀이치료진전에 대한 평가
3. 전이와 역전이
2. 놀이치료진전에 대한 평가
3. 전이와 역전이
본문내용
같은 긍정적 정서를 표현한 경우.
▶ 긍정적인 것만 표현해야 하는 아동들은 긍정적 표현이 줄어드는 것이 진전.
11) 발달단계에 적합한 놀이
▶ 연령에 적합한 놀이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적합한 놀이의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함.
12) 숙달
▶ 아동의 몸을 사용하거나 특정한 규칙을 가진 게임놀이 등에 익숙해지고 그러한 느낌을 확신으로 표현.
13) 좌절인내
▶ 아동이 시도하는 놀이나 동작 또는 게임이 되지 않았을 때 포기하지 않고 반복, 성취하려 노력한다면 증진.
14) 충동조절
▶ 아동이 또래 및 관련 성인들과 적절한 관계를 맺고 발달에 적합한 발달과업들을 이루어가는 것.
3.전이와 역전이
1)전이· 역전이의 개념
** 전이
내담자가 치료자에게 과거의 한 상황, 사고, 감정, 행동을 현재의 상황이나 사람에게 옮기는 것.
▶ 모든 전이 판타지는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며 아동이 현실을 수용하고 실제 가용한 관계 속에서 현실적 한계를 감안하고 실현할 때 벗어날 수 있음.
▶ 치료자는 전체 아동 및 가족평가, 아동의 관계평가 등을 통해 아동이 기존의 부모 및 기타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형성한 전이적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긍정적인 방향에서 전이적 관계가 맺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함.
** 역전이
치료자가 과거경험에서 치료 상황으로 가져온 감정, 생각, 행동을 말함.
▶ 치료자 자신의 개인적 감정의 잔재를 확인해야 함.
▶ 치료 작업을 방해하는 치료자 자신의 부모 및 금기를 극복해야 하며 자신의 분석을 통해 극복해야 함.
2) 치료자의 자기이해
▶ 치료자 자신의 관계 및 감정패턴, 어린 시절 관계경험을 이해하고 그러한 것들이 현재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
▶ 치료자 자신의 태도와 의식적, 무의식적 감정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 때 부모들의 전이패턴을 이해하고 그것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됨.
▶ 부모가 자녀와 맺는 관계패턴을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치료자 자신의 역전이와 부모의 전이감정이 어떤 상호작용 패턴을 만들어 내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
3) 전이· 역전이의 단서
→ 관계, 내담아동의 부모와의 관계에서도 발생.
° 상대에 대한 이상화.
° 치료자가 이해하지 못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구심.
° 치료자로서 잘하고 있지 못하다는 치료자의 의구심.
° 내담자 또는 보호자가 상담약속을 지키지 않음.
° 지각(상담시간에 늦음.)
° 치료자가 상담 약속을 잊어버림.
▶ 긍정적인 것만 표현해야 하는 아동들은 긍정적 표현이 줄어드는 것이 진전.
11) 발달단계에 적합한 놀이
▶ 연령에 적합한 놀이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적합한 놀이의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함.
12) 숙달
▶ 아동의 몸을 사용하거나 특정한 규칙을 가진 게임놀이 등에 익숙해지고 그러한 느낌을 확신으로 표현.
13) 좌절인내
▶ 아동이 시도하는 놀이나 동작 또는 게임이 되지 않았을 때 포기하지 않고 반복, 성취하려 노력한다면 증진.
14) 충동조절
▶ 아동이 또래 및 관련 성인들과 적절한 관계를 맺고 발달에 적합한 발달과업들을 이루어가는 것.
3.전이와 역전이
1)전이· 역전이의 개념
** 전이
내담자가 치료자에게 과거의 한 상황, 사고, 감정, 행동을 현재의 상황이나 사람에게 옮기는 것.
▶ 모든 전이 판타지는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며 아동이 현실을 수용하고 실제 가용한 관계 속에서 현실적 한계를 감안하고 실현할 때 벗어날 수 있음.
▶ 치료자는 전체 아동 및 가족평가, 아동의 관계평가 등을 통해 아동이 기존의 부모 및 기타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형성한 전이적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긍정적인 방향에서 전이적 관계가 맺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함.
** 역전이
치료자가 과거경험에서 치료 상황으로 가져온 감정, 생각, 행동을 말함.
▶ 치료자 자신의 개인적 감정의 잔재를 확인해야 함.
▶ 치료 작업을 방해하는 치료자 자신의 부모 및 금기를 극복해야 하며 자신의 분석을 통해 극복해야 함.
2) 치료자의 자기이해
▶ 치료자 자신의 관계 및 감정패턴, 어린 시절 관계경험을 이해하고 그러한 것들이 현재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
▶ 치료자 자신의 태도와 의식적, 무의식적 감정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 때 부모들의 전이패턴을 이해하고 그것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됨.
▶ 부모가 자녀와 맺는 관계패턴을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치료자 자신의 역전이와 부모의 전이감정이 어떤 상호작용 패턴을 만들어 내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
3) 전이· 역전이의 단서
→ 관계, 내담아동의 부모와의 관계에서도 발생.
° 상대에 대한 이상화.
° 치료자가 이해하지 못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구심.
° 치료자로서 잘하고 있지 못하다는 치료자의 의구심.
° 내담자 또는 보호자가 상담약속을 지키지 않음.
° 지각(상담시간에 늦음.)
° 치료자가 상담 약속을 잊어버림.
키워드
추천자료
아들러학파 치료
놀이치료에대하여
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중심으로)
[자폐(전반적 발달장애)]자폐(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 자폐증)의 특징, 인지, 자폐(전반...
[놀이치료][놀이][치료][관계놀이치료]놀이치료의 의미, 놀이치료의 중요성, 놀이치료의 목표...
[놀이치료][놀이활동][발달놀이치료][게임놀이치료]놀이치료의 의의, 놀이치료의 평가계획, ...
놀이를 활용한 이혼가족의 해결중심단기치료사례연구(놀이치료, 이혼가족아동치료, 해결중심...
★ 실습일지 - 놀이치료사로서의 학문적ㆍ임상적 지식배경을 갖추기 위한 수련 ( 사례에 대한 ...
놀이치료)놀이치료슈퍼비전 및 상담 슈퍼비전과 관련된 논문을 요약하시오.
[아동권리와 복지] 1. 개별아동복지 실천의 과정을 1) 접수면접단계 2) 탐색단계 3) 사정단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