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학습부진아의 개념
2, 학습부진아의 정의
참고문헌
1, 학습부진아의 개념
2, 학습부진아의 정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러나 이에 관한 관심과 지원은 물론 국가적 차원의 종합적인 대책이 수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며 학습부진아의 판별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여 정확한 수는 알 수 없다. 학급당 몇 명의 학생은 수업내용을 이해하지 못해 학습에 흥미를 잃고 있는가 하면 학교생활 적응에도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경상남도 교육청, 1996년).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학습부진아에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 다양하나, 여기서는 개인의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해 그 개인의 발달수준 및 교육단계에서 요구되는 학습과제의 성취에서 수확할 수 있는 최저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습자로 지적 교과에 한정하여 규정한다.
참고문헌
심리학개론 학습지침서 홍대식 저 양영각
신명희,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1998.
권남형, 『心理學 봤다!!: 만화로 보는 우리 심리』, 시그마프레스,2003.
이옥형, 『교육심리학』, 서울: 집문당, 2000.
안영진, 『교육심리학』, 서울: 창지사, 2001.
유수옥 외, 역 장애유아 통합교육 전략, 창지사, 2006.
이소현 외, 장애유아통합 유치원 교육과정, 학지사,2001.
전경원, 유아특수교육, 창지사, 2004.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학습부진아에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 다양하나, 여기서는 개인의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해 그 개인의 발달수준 및 교육단계에서 요구되는 학습과제의 성취에서 수확할 수 있는 최저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습자로 지적 교과에 한정하여 규정한다.
참고문헌
심리학개론 학습지침서 홍대식 저 양영각
신명희,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1998.
권남형, 『心理學 봤다!!: 만화로 보는 우리 심리』, 시그마프레스,2003.
이옥형, 『교육심리학』, 서울: 집문당, 2000.
안영진, 『교육심리학』, 서울: 창지사, 2001.
유수옥 외, 역 장애유아 통합교육 전략, 창지사, 2006.
이소현 외, 장애유아통합 유치원 교육과정, 학지사,2001.
전경원, 유아특수교육, 창지사, 2004.
추천자료
학습부진아의 일반적 특성과 문제점 및 효율적 지도방안
[학습장애][학습장애아][학습장애아동][학습장애아교육][학습장애진단]학습장애의 분류, 학습...
[특수아교육]-정서 및 행동장애의 원인/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의 특성/정서 및 행동장애아의 ...
학습부진과 학습장애의 인지적, 행동적, 사회 정서적, 학업적 특성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
[학습부진]학습부진아의 유형별 개념, 학습부진아의 특성과 원인, 학습부진아의 지도 내용, ...
학습부진아의 정의, 학습부진아의 요인 및 읽기의 정의와 읽기의 발달, 읽기부진의 요인과 지...
학습부진아의 교육운영방침, 수학과교육의 학습부진아지도(학습부진아교육), 사회과교육의 학...
의욕상실에 기인한 학습부진 -상담사례를 바탕으로
[학습장애 연구레포트] 학습장애 정의,원인,특성분석및 학습장애아동 치료법,지도법분석과 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