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음운 규칙의 이해
2. 비음화 현상 소개 및 예시
3. 발음 교수의 단계별 교수 방안
1) 도입
2) 제시
3) 연습
4) 사용
5) 마무리
4. 발음 교육을 위한 구체적 활동
5. 비음화 현상 교수 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음운 규칙의 이해
2. 비음화 현상 소개 및 예시
3. 발음 교수의 단계별 교수 방안
1) 도입
2) 제시
3) 연습
4) 사용
5) 마무리
4. 발음 교육을 위한 구체적 활동
5. 비음화 현상 교수 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펴보고 이중 비음화 현상을 중심으로 발음 교수의 단계별 교수 방안을 수립해보도록 하겠다. 이를 통해 언어 학습에서 중요한 정확한 발음을 익히고 구사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교육 방식이 무엇인지 고민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음운 규칙의 이해
음운 현상이란 음운론적 이유로 특정 음소가 원래의 음가가 아닌 다른 음으로 소리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국어의 대표적인 음운 현상으로는 연음,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ㄴ\'첨가, 격음화, 경음화 현상 등이 있다. 각 음운 현상별 주요 내용은 <표1>과 같다.
<표1> 음운 현상별 내용과 예시
구분
내용
예시
연음 현상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ㅜ, ㅗ, ㅟ\'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될 때 대표음으로 바꾸어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국이[구기]
겉옷[거돋]
흙에[흘게]
비음화 현상
비음에 영향으로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ㄴ, ㅁ, ㅇ)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국물(궁물)
밥맛(밤맛)
담력(담녁)
종로(종노)
유음화 현상
‘ㄴ’의 앞 또는 뒤에 ‘ㄹ\'이 올 때 [FF]로 소리를 낸다. 다만 한자어에서 ’량, 란, 론, 력, 료, 례, 령‘ 등은 접사처럼 붙어 ’ㄴㄴ\'으로 발음된다.
난로[날로]
줄넘기[줄럼끼]
칼날[칼랄]
생산량[생산냥]
의견란[의견난]
구개음화 현상
받침 ‘ㄷ, ㅌ(ㄹㅌ)’이 접미사의 모음 ‘l\'나 조사(r)와 결합될 경우(ㄴ)에는 [ㅊ, ㅈ]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서 발음한다.
볕이[벼치]
밭이[바치]
해돋이[해도지]
닫히다[다치다]
‘ㄴ\'첨가 현상
파생어나 합성어 복합어의 경계에서 받침이 자음, 모음 ‘ㅣ, ㅕ, ㅑ, ㅠ, ㅛ\'가 연결될 경우 ‘ㄴ’ 음을 첨가하여 [니, 녀, 냐, 뉴, 뇨]로 발음한다.
맨+입[맨닙]
사랑+이[사랑니]
꽃+잎[꼰닙]
색+연필[생년필]
격음화 현상
음운 축약으로 ‘ㅎ’의 앞뒤에 ‘ㅂ, ㄷ, ㅈ, ㄱ’이 오는 경우 ‘ㅎ\'과 합해 ‘ㅍ, ㅌ, ㅊ, ㅋ’로 발음한다. 단 ‘ㅎ\'과 ‘ㅅ\'이 만나는 경우 축약되어 ‘ㅆ\'으로 바뀐다. ‘ㅅ, ㅈ, ㅊ, ㅌ\'이 음절의 끝에 놓일 경우에는 [ㄷ]으로 발음될 때에도 뒤에 ‘ㅎ\'이 오면 [X]로 발음한다.
입학[이팍]
좋지[조치]
축하[추카]
못해요[모태요]
닿소[다쏘]
꽃 한 송이[꼬탄송이]
경음화 현상
‘ㅂ, ㄷ, ㅅ, ㅈ, ㄱ\'등의 자음이 일정한 환경에서 [ㅃ, ㄸ, ㅆ, ㅉ, ㄲ]로 바뀌는 현상이다.
국밥[국빱]
국수[국쑤]
신다[신따]
갈등[갈
Ⅱ. 본론
1. 음운 규칙의 이해
음운 현상이란 음운론적 이유로 특정 음소가 원래의 음가가 아닌 다른 음으로 소리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국어의 대표적인 음운 현상으로는 연음,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ㄴ\'첨가, 격음화, 경음화 현상 등이 있다. 각 음운 현상별 주요 내용은 <표1>과 같다.
<표1> 음운 현상별 내용과 예시
구분
내용
예시
연음 현상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ㅜ, ㅗ, ㅟ\'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될 때 대표음으로 바꾸어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국이[구기]
겉옷[거돋]
흙에[흘게]
비음화 현상
비음에 영향으로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ㄴ, ㅁ, ㅇ)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국물(궁물)
밥맛(밤맛)
담력(담녁)
종로(종노)
유음화 현상
‘ㄴ’의 앞 또는 뒤에 ‘ㄹ\'이 올 때 [FF]로 소리를 낸다. 다만 한자어에서 ’량, 란, 론, 력, 료, 례, 령‘ 등은 접사처럼 붙어 ’ㄴㄴ\'으로 발음된다.
난로[날로]
줄넘기[줄럼끼]
칼날[칼랄]
생산량[생산냥]
의견란[의견난]
구개음화 현상
받침 ‘ㄷ, ㅌ(ㄹㅌ)’이 접미사의 모음 ‘l\'나 조사(r)와 결합될 경우(ㄴ)에는 [ㅊ, ㅈ]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서 발음한다.
볕이[벼치]
밭이[바치]
해돋이[해도지]
닫히다[다치다]
‘ㄴ\'첨가 현상
파생어나 합성어 복합어의 경계에서 받침이 자음, 모음 ‘ㅣ, ㅕ, ㅑ, ㅠ, ㅛ\'가 연결될 경우 ‘ㄴ’ 음을 첨가하여 [니, 녀, 냐, 뉴, 뇨]로 발음한다.
맨+입[맨닙]
사랑+이[사랑니]
꽃+잎[꼰닙]
색+연필[생년필]
격음화 현상
음운 축약으로 ‘ㅎ’의 앞뒤에 ‘ㅂ, ㄷ, ㅈ, ㄱ’이 오는 경우 ‘ㅎ\'과 합해 ‘ㅍ, ㅌ, ㅊ, ㅋ’로 발음한다. 단 ‘ㅎ\'과 ‘ㅅ\'이 만나는 경우 축약되어 ‘ㅆ\'으로 바뀐다. ‘ㅅ, ㅈ, ㅊ, ㅌ\'이 음절의 끝에 놓일 경우에는 [ㄷ]으로 발음될 때에도 뒤에 ‘ㅎ\'이 오면 [X]로 발음한다.
입학[이팍]
좋지[조치]
축하[추카]
못해요[모태요]
닿소[다쏘]
꽃 한 송이[꼬탄송이]
경음화 현상
‘ㅂ, ㄷ, ㅅ, ㅈ, ㄱ\'등의 자음이 일정한 환경에서 [ㅃ, ㄸ, ㅆ, ㅉ, ㄲ]로 바뀌는 현상이다.
국밥[국빱]
국수[국쑤]
신다[신따]
갈등[갈
추천자료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인간과교육(공통)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공통)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경영학특강(공통)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생활법률(공통)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생활속의경제(공통)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소비자법(공통)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가족상담및치료(공통)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지역사회복지론(공통)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국제법(공통)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관광과문화(공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