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사례선정이유
Ⅱ문헌고찰
1.전립선비대증
①정의
②원인
③병태생리
④증상
⑤진단
⑥치료
⑦간호
Ⅲ간호진단도출
Ⅳ간호과정
#1. 수술 및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2.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 부족
참고문헌
1.사례선정이유
Ⅱ문헌고찰
1.전립선비대증
①정의
②원인
③병태생리
④증상
⑤진단
⑥치료
⑦간호
Ⅲ간호진단도출
Ⅳ간호과정
#1. 수술 및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2.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 부족
참고문헌
본문내용
바닥을 마찰하여 문지른다.
9-2.손바닥으로 다른 손의 손등을 문지른다.
9-3.손바닥을 마주대고 손가락 사이를 문지른다.
9-4.두 손을 깍지 끼며 마주잡고 비빈다.
9-5.한 손에 엄지를 거머쥐듯이 회전하며 문지른다.
9-6.손가락 끝으로 다른 손의 바닥을 비비고 난 후 흐르는 물에 씻는다.
평가
(달성)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달성)대상자는 교육 2시간 후에 유치도뇨관 관리법을 스스로 말하였다.
#1.수술 및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수술 후에 내가 뭘 해야 하나요?”
“(설명을) 들은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
객관적 자료
-2021-10-31 HoLEP 수술함
-진단명:Hyperplasia of prostate without complication
-다른 의료진에게 수술 후 관리에 대해 반복해서 물어보는 모습 관찰됨
간호진단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 부족
지식 부족: 특정 주제나 이와 관련된 것을 습득하는 인지적 정보가 없는 것
간호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수술 후 관리 방법 3가지를 말한다.
간호계획
1.대상자의 교육수준과 사전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2.교육 시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3.수술 후 관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4.교육 내용과 관련된 자료를 제공한다.
5.의문점을 질문하도록 격려한다
6.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정도를 질문한다
1.대상자의 교육 수준과 지식 정도를 사정하여 적절한 교육 방법을 선택하기 위함이다.
2.편안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대상자가 교육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한다.
3.적절한 교육은 대상자가 적극적으로 자가관리에 참여하게 하고 수술 합병증을 감소시킨다.
4.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5.질문을 통해 대상자는 교육내용을 더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
6.교육한 내용이 잘 전달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
1-1.대상자의 교육 수준을 사정하였다.→대졸
1-2.대상자의 사전지식 정도를 질문을 통해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심호흡과 기침하는 법 외에는 수술 후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른다고 대답하였다.(10/31)
2.교육을 진행할 때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2-1.진통제인 Soleton 80mg을 경구 투여하고 1시간 이후에 교육하였다.
2-2.대상자 요구에 따라 보호자와 함께 교육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2-3.대상자가 원하는 시간에 교육을 실시하였다.
2-4.조용한 회의실에서 교육을 진행하였다.
3.수술 후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3-1.심한 통증이나 방광경련과 같은 증상은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한다.
3-2.유치도뇨관이 꼬이지 않게 하고 소변 주머니는 항상 방광 아래에 두도록 한다.
3-3.오랫동안 앉아 있는 것은 복강내압을 증가시키고 출혈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식사 시간을 제외하고는 좌위를 취하지 않도록 한다.
3-4.요정체, 혈괴 형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루 2.5L 이상의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한다.
3-5.요 조임근을 조절하기 위해 수술 후 3일 후부터 한 시간에 12-25번씩 복부, 둔근과 회음부 근육을 수축시킨다.
3-6.폐 합병증과 혈전을 예방하기 위해서 수술 다음 날부터 조기 보행한다.
3-7.수술 후 2주간은 배에 힘이 들어가는 무리한 운동을 금한다
3-8.배변 시 과도하게 힘을 주면 수술 부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4-1.대상자에게 교육 내용이 요약되어 있는 리플렛을 제공하였다.
4-2.교육한 내용을 다시 들을 수 있는 동영상 사이트를 알려주었다.
5.교육 후 궁금한 점을 질문하도록 대상자와 보호자를 격려하였다.
6.대상자에게 교육 내용에 대한 질문 2가지를 하였다.
6-1.유치도뇨관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질문하였다.
→대상자는 소변줄이 꼬이지 않게 조심하고 소변주머니를 항상 방광보다 아래에 두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6-2.수술 후 어떤 자세를 피해야 하는지 질문하였다.
→대상자는 수술 후 오랫동안 앉아있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평가
(달성)대상자는 교육 후 1일 이내에 수술 후 관리 방법 3가지를 설명하였다.(2500ml이상 수분 섭취, 회음부 운동, 유치 도뇨관 관리 방법)
#2.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 부족
참고문헌
박서현 외, 「기본간호학 실습지침서Ⅱ」, 계축문화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9
서울대학교병원의학정보, “전립샘비대증 ”
9-2.손바닥으로 다른 손의 손등을 문지른다.
9-3.손바닥을 마주대고 손가락 사이를 문지른다.
9-4.두 손을 깍지 끼며 마주잡고 비빈다.
9-5.한 손에 엄지를 거머쥐듯이 회전하며 문지른다.
9-6.손가락 끝으로 다른 손의 바닥을 비비고 난 후 흐르는 물에 씻는다.
평가
(달성)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달성)대상자는 교육 2시간 후에 유치도뇨관 관리법을 스스로 말하였다.
#1.수술 및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수술 후에 내가 뭘 해야 하나요?”
“(설명을) 들은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
객관적 자료
-2021-10-31 HoLEP 수술함
-진단명:Hyperplasia of prostate without complication
-다른 의료진에게 수술 후 관리에 대해 반복해서 물어보는 모습 관찰됨
간호진단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 부족
지식 부족: 특정 주제나 이와 관련된 것을 습득하는 인지적 정보가 없는 것
간호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수술 후 관리 방법 3가지를 말한다.
간호계획
1.대상자의 교육수준과 사전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2.교육 시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3.수술 후 관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4.교육 내용과 관련된 자료를 제공한다.
5.의문점을 질문하도록 격려한다
6.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정도를 질문한다
1.대상자의 교육 수준과 지식 정도를 사정하여 적절한 교육 방법을 선택하기 위함이다.
2.편안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대상자가 교육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한다.
3.적절한 교육은 대상자가 적극적으로 자가관리에 참여하게 하고 수술 합병증을 감소시킨다.
4.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5.질문을 통해 대상자는 교육내용을 더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
6.교육한 내용이 잘 전달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
1-1.대상자의 교육 수준을 사정하였다.→대졸
1-2.대상자의 사전지식 정도를 질문을 통해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심호흡과 기침하는 법 외에는 수술 후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른다고 대답하였다.(10/31)
2.교육을 진행할 때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2-1.진통제인 Soleton 80mg을 경구 투여하고 1시간 이후에 교육하였다.
2-2.대상자 요구에 따라 보호자와 함께 교육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2-3.대상자가 원하는 시간에 교육을 실시하였다.
2-4.조용한 회의실에서 교육을 진행하였다.
3.수술 후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3-1.심한 통증이나 방광경련과 같은 증상은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한다.
3-2.유치도뇨관이 꼬이지 않게 하고 소변 주머니는 항상 방광 아래에 두도록 한다.
3-3.오랫동안 앉아 있는 것은 복강내압을 증가시키고 출혈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식사 시간을 제외하고는 좌위를 취하지 않도록 한다.
3-4.요정체, 혈괴 형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루 2.5L 이상의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한다.
3-5.요 조임근을 조절하기 위해 수술 후 3일 후부터 한 시간에 12-25번씩 복부, 둔근과 회음부 근육을 수축시킨다.
3-6.폐 합병증과 혈전을 예방하기 위해서 수술 다음 날부터 조기 보행한다.
3-7.수술 후 2주간은 배에 힘이 들어가는 무리한 운동을 금한다
3-8.배변 시 과도하게 힘을 주면 수술 부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변비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4-1.대상자에게 교육 내용이 요약되어 있는 리플렛을 제공하였다.
4-2.교육한 내용을 다시 들을 수 있는 동영상 사이트를 알려주었다.
5.교육 후 궁금한 점을 질문하도록 대상자와 보호자를 격려하였다.
6.대상자에게 교육 내용에 대한 질문 2가지를 하였다.
6-1.유치도뇨관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질문하였다.
→대상자는 소변줄이 꼬이지 않게 조심하고 소변주머니를 항상 방광보다 아래에 두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6-2.수술 후 어떤 자세를 피해야 하는지 질문하였다.
→대상자는 수술 후 오랫동안 앉아있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평가
(달성)대상자는 교육 후 1일 이내에 수술 후 관리 방법 3가지를 설명하였다.(2500ml이상 수분 섭취, 회음부 운동, 유치 도뇨관 관리 방법)
#2.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 부족
참고문헌
박서현 외, 「기본간호학 실습지침서Ⅱ」, 계축문화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9
서울대학교병원의학정보, “전립샘비대증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