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병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5) 간호
2. 투약기록지
3. 간호과정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5) 간호
2. 투약기록지
3. 간호과정
본문내용
PROM으로 인한 조산
- 출생 시 빈호흡
- RDS(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진단받음
- 하루에 수차례 SaO2 80% 이하로 내려감
- 특히 수유 시 SaO2 80% 이하로 내려감
- surfactant 투여 중
- O2 0.5L/min 비강캐뉼라 적용 중
목표
계획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적인 호흡 상태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⑴ 대상자는 3일 이내에 SaO2 97로 상승한다.
⑵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활력징후 수치가 모두 정상 범위 안으로 측정된다.
<진단적>
⑴ 2시간마다 V/S와 SaO2를 사정한다.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상태관찰, 문제규명 그리고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평가를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평가이다.
호흡곤란증이 있는 신생아 특히 미숙아에서 지속적인 동맥혈 산소농도의 측정은 임상경과와 판단과 치료의 지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⑵ 주기적으로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신생아 호흡 정상 범위는 30-60회/분이다.)
호흡횟수, 깊이, 용이성, 리듬 등을 관찰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치료적>
- 호흡하기 쉬운 자세를 취해준다.
신생아는 등으로 뉘거나 모로 눕혀도 되지만 목은 약간 신전된 상태여야
한다. 이 자세를 통해 자발 호흡이나 백, 마스크 환기를 통해 공기가 잘 들어올 수 있도록 인, 후두 및 기도를 배열할 수 있도록 한다.
- 처방된 surfactant를 투여한다.
폐 표면활성제의 투여는 미숙아의 표면활성제 결핍으로 인한 호흡기 관련 유병률과 사망률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 충분한 영양 공급을 해준다.
영양 상태가 향상되면 흡기 근육 기능이 증진되고 호흡곤란이 감소된다.
<교육적>
- 보호자에게 호흡을 악화시키는 요인들에 대해 교육한다.
높은 에너지 소모를 요구하는 스트레스 등 촉진요인을 알면 피할 수 있고 비효과적 호흡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잦은 설사로 인한 피부 발진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과학적 근거:
피부 통합성 장애란 표피와 진피 모두 또는 어느 한쪽이 변화된 것을 의미한다. 관련요인으로는 연령, 고체온, 습기, 약물, 체액량의 변화, 대사장애, 피부 탄력성의 변화, 부적절한 영양 등이 있다.
기저귀 피부염이란 신생아에게 흔히 발생되는 피부염으로, 기저귀 착용으로 인해 직접적,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현재 대상자는 출생 15일된 신생아로 기저귀를 차고 있어야 하는 상황이며 bottle feeding을 하고 잦은 설사로 항문 주위가 심하게 발적된 상태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저귀 피부염을 의심할 수 있으며 피부 통합성 장애라는 간호진단을 내리게 되었다.
합리적 근거:
1) 주관적 자료:
없음
2) 객관적 자료:
- Gestational age: 33wks 5days
- Age 15일
- 잦은 설사로 항문 주위가 심하게 발적된 상태
- 기저귀 발진 연고를 처방받음.
목표
계획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피부 통합성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피부 발적이 사라진다.
보호자들은 3일 이내에 아이의 피부 관리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진단적>
- 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흔한 정상온도 36.5도, 직장 정상 온도 38도, 구강 정상 온도 37.8도, 겨드랑이 온도 37.2도)
아이들은 자신의 아픔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체온측정은 아이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의 하나이다.
- 2시간마다 기저귀 안의 습기를 중점으로 피부를 사정한다.
기저귀 발진은 신생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피부 건강문제로 습기, 마찰, 소변 혹은 대변과의 장시간 접촉, 항생제 투여, 기저귀 소재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등에 의해 발생한다.
<치료적>
- 최소 2시간마다 기저귀를 확인하고 교체한다.
기저귀 발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소변이 피부와 접촉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기저귀 교환을 해야 한다.)
발적이나 손상이 있는 피부에 처방받은 연고(비판텐 연고)를 발라준다.
비판텐 연고는 피부/ 피하조직 질환으로 상처나 궤양 치료제에 사용하는 치료제이다.
대상자가 낮잠을 자는 동안 기저귀를 벗기고 엉덩이를 완전히 노출시켜 건조한다.
가장 좋은 치료방법은 기저귀를 안 채우는 것이다.
<교육적>
부모님에게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피부 관리법에 대해 교육한다.
피부 관리법에 대한 교육을 통해 아이가 퇴원 후에 기저귀 발진이 생길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 출생 시 빈호흡
- RDS(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진단받음
- 하루에 수차례 SaO2 80% 이하로 내려감
- 특히 수유 시 SaO2 80% 이하로 내려감
- surfactant 투여 중
- O2 0.5L/min 비강캐뉼라 적용 중
목표
계획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적인 호흡 상태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⑴ 대상자는 3일 이내에 SaO2 97로 상승한다.
⑵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활력징후 수치가 모두 정상 범위 안으로 측정된다.
<진단적>
⑴ 2시간마다 V/S와 SaO2를 사정한다.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상태관찰, 문제규명 그리고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평가를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평가이다.
호흡곤란증이 있는 신생아 특히 미숙아에서 지속적인 동맥혈 산소농도의 측정은 임상경과와 판단과 치료의 지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⑵ 주기적으로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신생아 호흡 정상 범위는 30-60회/분이다.)
호흡횟수, 깊이, 용이성, 리듬 등을 관찰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치료적>
- 호흡하기 쉬운 자세를 취해준다.
신생아는 등으로 뉘거나 모로 눕혀도 되지만 목은 약간 신전된 상태여야
한다. 이 자세를 통해 자발 호흡이나 백, 마스크 환기를 통해 공기가 잘 들어올 수 있도록 인, 후두 및 기도를 배열할 수 있도록 한다.
- 처방된 surfactant를 투여한다.
폐 표면활성제의 투여는 미숙아의 표면활성제 결핍으로 인한 호흡기 관련 유병률과 사망률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 충분한 영양 공급을 해준다.
영양 상태가 향상되면 흡기 근육 기능이 증진되고 호흡곤란이 감소된다.
<교육적>
- 보호자에게 호흡을 악화시키는 요인들에 대해 교육한다.
높은 에너지 소모를 요구하는 스트레스 등 촉진요인을 알면 피할 수 있고 비효과적 호흡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잦은 설사로 인한 피부 발진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과학적 근거:
피부 통합성 장애란 표피와 진피 모두 또는 어느 한쪽이 변화된 것을 의미한다. 관련요인으로는 연령, 고체온, 습기, 약물, 체액량의 변화, 대사장애, 피부 탄력성의 변화, 부적절한 영양 등이 있다.
기저귀 피부염이란 신생아에게 흔히 발생되는 피부염으로, 기저귀 착용으로 인해 직접적,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현재 대상자는 출생 15일된 신생아로 기저귀를 차고 있어야 하는 상황이며 bottle feeding을 하고 잦은 설사로 항문 주위가 심하게 발적된 상태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저귀 피부염을 의심할 수 있으며 피부 통합성 장애라는 간호진단을 내리게 되었다.
합리적 근거:
1) 주관적 자료:
없음
2) 객관적 자료:
- Gestational age: 33wks 5days
- Age 15일
- 잦은 설사로 항문 주위가 심하게 발적된 상태
- 기저귀 발진 연고를 처방받음.
목표
계획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피부 통합성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피부 발적이 사라진다.
보호자들은 3일 이내에 아이의 피부 관리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진단적>
- 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흔한 정상온도 36.5도, 직장 정상 온도 38도, 구강 정상 온도 37.8도, 겨드랑이 온도 37.2도)
아이들은 자신의 아픔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체온측정은 아이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의 하나이다.
- 2시간마다 기저귀 안의 습기를 중점으로 피부를 사정한다.
기저귀 발진은 신생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피부 건강문제로 습기, 마찰, 소변 혹은 대변과의 장시간 접촉, 항생제 투여, 기저귀 소재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등에 의해 발생한다.
<치료적>
- 최소 2시간마다 기저귀를 확인하고 교체한다.
기저귀 발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소변이 피부와 접촉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기저귀 교환을 해야 한다.)
발적이나 손상이 있는 피부에 처방받은 연고(비판텐 연고)를 발라준다.
비판텐 연고는 피부/ 피하조직 질환으로 상처나 궤양 치료제에 사용하는 치료제이다.
대상자가 낮잠을 자는 동안 기저귀를 벗기고 엉덩이를 완전히 노출시켜 건조한다.
가장 좋은 치료방법은 기저귀를 안 채우는 것이다.
<교육적>
부모님에게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피부 관리법에 대해 교육한다.
피부 관리법에 대한 교육을 통해 아이가 퇴원 후에 기저귀 발진이 생길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추천자료
신생아 무호흡증후군(AOP) case
[간호] 아동 RDS(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NEC(괴사성장염) 케이스 스터디
RDS case study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
간호중재,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RDS,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진
NICU RDS case
신생아 중환자실 (NICU) 사례보고서 호흡곤란증후군(RDS)문헌고찰간호과정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호흡곤란증후군, RDS)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기초간호과학 2022년 기말] 1~10.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11. 바이러스에 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