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의미 수용학습
2. 오슈벨 수용학습의 유의미가
3. 효과적인 유의미 수용학습의 단계
4. 유의미 수용학습과 브루너 발견학습의 비교
2. 오슈벨 수용학습의 유의미가
3. 효과적인 유의미 수용학습의 단계
4. 유의미 수용학습과 브루너 발견학습의 비교
본문내용
관된 선행조직자 없이 이해 혹은 발견하는 식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먼저, 유의미 수용학습은 교사가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학생들에게 정리 및 조직하여 요약, 조직화한 후 학생들에게 제시하면 학습자는 자신의 선행지식 내용과 관련지어 학습한다. 기계적 수용학습은 교사가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 & 요약, 조직화하여 제공하면 학습자는 교사가 제시한 자료를 기계적으로 기억 & 암기하면서 수업이 진행된다. 유의미 발견학습은 교사가 교육내용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목표와 관련된 기본개념과 원리를 발견한 후, 자신이 발견한 내용을 기존에 배운 내용이나 선행지식과 연관을 지어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유의미 발견학습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질 때 학습과제는 학습자의 선행지식과 연관된 선행조직자가 제공되어 유의미하게 이루어지지만, 학습과제 자체를 학습자가 직접 발견해야 한다는 점에서 유의미 수용학습과는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기계적 발견학습이 이루어질 때 교사가 학습자에게 교육내용을 제시하지 않고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목표와 관련된 기본개념과 원리를 발견한다. 이때 학생들은 자신이 발견한 내용을 기계적으로 암기하면서 자신의 인지구조를 확장해 나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