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금까지 일반지능, 다중지능, 삼원지능 등의 다양한 이론을 접해보았다. 이를 참고하여 본인이 생각하는 지능은 무엇인지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탁월하기 때문에 예술가나 장식가, 발명가가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이처럼 삼원지능 이론으로 규명될 수 없는 사람이 다중지능 이론으로 쉽게 규명될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의 지능은 다중지능 이론으로 규명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아직까지 과학자들은 인간의 뇌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뇌가 어떻게 작동되는지 그리고 뇌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를 과학자들도 모른다는 것이다. 세기의 천재라 일컬어지던 아인슈타인은 뇌의 10%밖에 사용하지 못했다고 하는데, 이는 인간의 뇌가 그만큼 복잡하고 무한의 능력을 가졌다는 것을 시사하는 강력한 증거라 생각한다. 인간의 뇌는 소우주라 불릴 만큼 무척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처럼 복잡한 뇌를 일반지능 이론처럼 단순히 IQ 수치로 수직계열화한다는 사실 자체가 어처구니없는 일이라는 생각도 든다. 물론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으로도 인간의 뇌와 지능을 명확하게 판단하기는 힘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지능 이론이나 삼원지능 이론보다는 인간의 지능을 이해하는데 있어 더 합리적인 이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영유아발달 홍순옥, 김인순 외 1명 저 | 양서원 | 2020.08.30
-아직까지 과학자들은 인간의 뇌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뇌가 어떻게 작동되는지 그리고 뇌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를 과학자들도 모른다는 것이다. 세기의 천재라 일컬어지던 아인슈타인은 뇌의 10%밖에 사용하지 못했다고 하는데, 이는 인간의 뇌가 그만큼 복잡하고 무한의 능력을 가졌다는 것을 시사하는 강력한 증거라 생각한다. 인간의 뇌는 소우주라 불릴 만큼 무척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처럼 복잡한 뇌를 일반지능 이론처럼 단순히 IQ 수치로 수직계열화한다는 사실 자체가 어처구니없는 일이라는 생각도 든다. 물론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으로도 인간의 뇌와 지능을 명확하게 판단하기는 힘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지능 이론이나 삼원지능 이론보다는 인간의 지능을 이해하는데 있어 더 합리적인 이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영유아발달 홍순옥, 김인순 외 1명 저 | 양서원 | 2020.08.3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