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정을 짓거나 행동으로 표현하면서 동시 읊어보기
(유형4)
- 동시에 표현된 낱말을 부분적으로 바꿔가면서 동시 읊어보기
예) ‘친구’대신에 친구의 이름을 직접 넣거나, ‘(재미)있고’부분을 다른 말로 바꿔서 동시 읊어보기
- 어떤 방법으로 동시를 읊어본 것이 재미있었니?
- 다른 말로 바꿔가면서 동시를 읊었을 때 느낌이 어땠니?
- 또 다른 방법으로 동시를 읊어볼까?
4) 유아들과 함께 동그랗게 앉아서 동시말을 재구성해가면서 말 잇기 놀이를 해본다.
- 이번에는 동시내용을 바꿔가면서 말잇기 놀이를 해보자.
한 소절씩 친구들이 동시내용을 바꿔서 읊어본 후에 ‘그런 게 친구야’라는 부분이 오면, 모두 함께 큰소리로 ‘그런 게 친구야’라고 읊어보는 거란다.
→ 창의적 사고에 관련된 교육 내용이다. 유아가 직접 생성한 아이디어에 대한 유용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연습시킬 수 있다.
→ 다른 아이들의 느낌도 공유시킬 필요가 있다. 한 아이가 새롭게 지은 동시에 대하여 다른 친구들이 코멘트를 덧붙이도록 하여 창작한 아이의 폭넓은 사고 형성에 도움을 주게 한다.
- 어느 친구가 먼저 동시말을 바꿔서 읊어볼까?
다. 활동의 유의점
1) 동시내용을 단지 반복적으로 읊어보는 것에 중점을 두지 말고, 동시에 표현된 친구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소중하게 생각하면서 동시를 감상하고 읊어보도록 돕는다.
2) 동시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친구에 대한 유아의 생각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있는 그대로 수용해주도록 한다.
라. 활동평가
1) 친구의 의미를 알게 되었는지 평가한다.
2) 동시를 감상하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절하게 표현하는지 평가한다.
3) 동시 활동에 즐거운 마음으로 참여하는지 평가한다.
마. 확장 활동
1) ‘친구가 있어서’, 또는 ‘친구와 함께 라면’, ‘난 네가 좋아’라는 말을 넣어서 동시 짓기를 해본다.
2) 내가 친구에게 화가 났을 때, 친구가 나 때문에 화가 났을 때, 화를 푸는 방법에 대해 서로 소개해본다.
3) 유아와 함께 교실 내 화 푸는 장소를 만들어서 감정을 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결론
해당 교육활동에 대하여 영유아들에게 논리적인 사고를 키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논리적인 사고의 핵심은 생각을 공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도자 및 보육자의 입장에서 아이의 생각 표출로 국한시키지 않고 지도자 및 또래 친구들의 생각도 함께 공유시키면서 폭넓은 사고를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유형4)
- 동시에 표현된 낱말을 부분적으로 바꿔가면서 동시 읊어보기
예) ‘친구’대신에 친구의 이름을 직접 넣거나, ‘(재미)있고’부분을 다른 말로 바꿔서 동시 읊어보기
- 어떤 방법으로 동시를 읊어본 것이 재미있었니?
- 다른 말로 바꿔가면서 동시를 읊었을 때 느낌이 어땠니?
- 또 다른 방법으로 동시를 읊어볼까?
4) 유아들과 함께 동그랗게 앉아서 동시말을 재구성해가면서 말 잇기 놀이를 해본다.
- 이번에는 동시내용을 바꿔가면서 말잇기 놀이를 해보자.
한 소절씩 친구들이 동시내용을 바꿔서 읊어본 후에 ‘그런 게 친구야’라는 부분이 오면, 모두 함께 큰소리로 ‘그런 게 친구야’라고 읊어보는 거란다.
→ 창의적 사고에 관련된 교육 내용이다. 유아가 직접 생성한 아이디어에 대한 유용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연습시킬 수 있다.
→ 다른 아이들의 느낌도 공유시킬 필요가 있다. 한 아이가 새롭게 지은 동시에 대하여 다른 친구들이 코멘트를 덧붙이도록 하여 창작한 아이의 폭넓은 사고 형성에 도움을 주게 한다.
- 어느 친구가 먼저 동시말을 바꿔서 읊어볼까?
다. 활동의 유의점
1) 동시내용을 단지 반복적으로 읊어보는 것에 중점을 두지 말고, 동시에 표현된 친구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소중하게 생각하면서 동시를 감상하고 읊어보도록 돕는다.
2) 동시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친구에 대한 유아의 생각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있는 그대로 수용해주도록 한다.
라. 활동평가
1) 친구의 의미를 알게 되었는지 평가한다.
2) 동시를 감상하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절하게 표현하는지 평가한다.
3) 동시 활동에 즐거운 마음으로 참여하는지 평가한다.
마. 확장 활동
1) ‘친구가 있어서’, 또는 ‘친구와 함께 라면’, ‘난 네가 좋아’라는 말을 넣어서 동시 짓기를 해본다.
2) 내가 친구에게 화가 났을 때, 친구가 나 때문에 화가 났을 때, 화를 푸는 방법에 대해 서로 소개해본다.
3) 유아와 함께 교실 내 화 푸는 장소를 만들어서 감정을 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결론
해당 교육활동에 대하여 영유아들에게 논리적인 사고를 키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논리적인 사고의 핵심은 생각을 공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도자 및 보육자의 입장에서 아이의 생각 표출로 국한시키지 않고 지도자 및 또래 친구들의 생각도 함께 공유시키면서 폭넓은 사고를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교과 논리 및 논술 E형 영유아의 권리와 보육현장의 유아권리 교육
교과 논리 및 논술 E형 유엔 아동권리협약과 영유아 권리 교육
교과 논리 및 논술 E형 영유아의 권리로서의 영유아보육
교과논리 및 논술 영유아 대상 교육활동에서의 논리교육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시오. (1) ...
[ 1교과논리및논술 ) 영유아 대상 교육활동에서의 논리교육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시오
[ 1교과논리및논술 ) 영유아 대상 교육활동에서의 논리교육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시오
[ 2교과논리및논술 ) 영유아 대상 교육활동에서의 논리교육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시오
[ 교과논리및논술 ) 영유아 대상 교육활동에서의 논리교육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시오
[ 교과논리및논술 ) 영유아 대상 교육활동에서의 논리교육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