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이해 )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1) 플라톤 (2) 아리스토텔레스 (3) 칸트 2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의이해 )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1) 플라톤 (2) 아리스토텔레스 (3) 칸트 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철학의이해
1번 문제: 아래의 3가지 사항을 모두 작성합니다.

1) 교재 2강은 여러 철학자들의 다양한 인간관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여 서술합니다.
1.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1) 플라톤
(2) 아리스토텔레스
(3) 칸트
2. 욕망하는 존재로서의 인간
(1) 홉스
(2) 흄
(3) 프로이트

2) 교재 3강은 유가와 도가의 가르침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여 서술합니다.
1. 유가의 도덕적 삶
2. 도가의 자유로운 삶

3) 교재 5강은 행복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요약하여 서술합니다.

본문내용

을 실천하는 것이 아닌, 덕을 실천함으로써 행복해지는 기분에 가까워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인간은 모두 자기에게 주어진 기준에서 최선을 다하고 자신의 가능성을 보며 실현하고자 한다. 자신의 가능성을 뛰어넘어서 행동하는 것도 물론 행복하겠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모두 실현할 때 주는 행복감도 분명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실패하고, 불만족하는 경우가 뇌리에 더 박히고 기억에 오래 남고, 현실의 나를 괴롭히는 감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은 좀 더 떨쳐내보려 노력해야 한다. 비단 내가 성공한 기억은 금세 잊을 수 있지만 이건 모든 인간들이 가지고 있는 편파적인 부분에 불과하다. 따라 이런 내 모습에 자괴감을 느끼고 행복감을 잃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나 말고도 모든 인간들이 동일한 감정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항상 작은 성공, 혹은 큰 성공이건 행복을 만끽하며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뒤에 오는 실패에 대한 허탈감, 그리고 허무함 역시 즐길 줄 알아야 하는 것 역시 인간의 삶일 것이다. 그렇다고 그 감정에만 휩쌓여서 살아서는 안되고, 항상 성공을 위해 나아가려는 진취적인 삶을 살기도 하고, 때로는 좀 더 흘러가는 대로 둘 수도 있는 것이 인간의 큰 삶의 목표일지도 모른다.
또한 항상 엄청난 목표만을 삼으며 그것에 도달했을 때 행복할 수 있다고만 생각해서는 안된다. 분명 작은 것을 이루었을 때 오는 행복감도 완전한 행복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우리가 느낄 수 있는 행복의 크기가 조금은 다를 수 있겠지만, 마냥 큰 것만을 좇는 모습을 보여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인간은 항상 자연과 살아온 존재이다. 도가에서 설명했 듯, 자연의 흐름, 그리고 시간의 섭리에 따라 흘러가는 대로 살아간다면 그것이 행복인 것이다. 크게 어긋나는 것 없이 잔잔하게 흘러가는 것 또한 행복한 인간의 삶이요, 자신이 개척해서 조금 크나큰 사건들을 맞이하는 경우도 역시 행복한 인간의 삶이라는 것이다.
인간은 죽음 앞에서 한없이 약한 존재라고도 설명한다. 그렇다, 우리는 우리의 생이 언제 다할지 모르고 매 순간을 열심히 살아야 한다. 매 순간을 내 규범, 그리고 내 도덕적 기준에 맞추어서 행동하고, 거기서 오는 행복감만 느끼기에도 인간의 생은 짧다. 미워하고, 못된 감정만 가지지는 말고, 항상 내 자신에 초점을 맞추어서 삶을 살아간다면 반드시 행복한 삶을 살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02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50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