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생체전기 이론
(2). 생체전기의 역할
(3). 생체전기의 응용
3. 결론
4. 참고 문헌
2. 본론
(1). 생체전기 이론
(2). 생체전기의 역할
(3). 생체전기의 응용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지 못하였을 시 발생하는 부작용 등을 2장에서 서술했다. 3장에서는 생체전기를 응용한 현대사회의 여러 기기들에 대한 설명을 덧 붙여 실생활에서 생체전기가 어떤 방식으로 측정되고 의료에 응용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생체전기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생명활동의 일종이며 대체적으로 세포에서 이온펌프로 인한 전위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한다. 보통 뉴런을 통해 이동하는 전기신호로 알 수 있다. 이러한 인체의 전기는 이탈리아의 해부학자이면서 생리학자인 루이지 갈바니를 통해 처음으로 이론적인 제기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개구리 해부시험 중 개구리 뒷다리에 꽂은 쇠갈고리로 인하여 개구리의 뒷다리에서 경련이 발생하는 근 수축 현상을 목격한 뒤 동물의 몸에서 전기가 발생하는 것이라 주장을 제기했다. 인간은 태어날 때 5-6볼트 정도의 미세 전류를 갖고 태어나지만 생물학적 나이가 들수록 이 수치가 떨어지고 이 전압이 0이 되었을 때 사망에 이른다. 따라서 일정한 생체전기가 유지된다는 것은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있다는 반증이 된다. 이러한 생체전기가 불안정할 때 나타나는 질병으로는 첫 번째, 부정맥이 있었다. 심장에서 전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근 수축이 일어나고 근 수축을 통해 인체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한다. 하지만 이 전류에 문제가 생긴다면 심장이 과도히 빨리 뛰거나, 너무 느리게 뛴다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는 돌연사의 주범으로 매우 위험한 질병이라고 하겠다. 두 번째는 난청이 있었다. 인간의 달팽이관은 귀에서 들어온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신경에 전달을 하게 되는데 생체전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할 시 외부의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지 못하여 청각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생체전기를 응용한 측정 기기들을 살펴보았다. 간단히 병원에서 쓰는 생체전기 측정용 모니터를 포함하여 뇌파검사 기기 등이 있었고 요즘에는 가정에서 손쉽게 측정이 가능한 침대용 심전도 검사기기, 변좌에 부착하는 심전도 검사기기가 있었다. 이는 모두 생체 전기를 측정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4. 참고 문헌
교재. 제 2 강. 세포막과 생체전기: Spark of life
박광석, 「생체전기신호의 응용」, 『한국정밀공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4,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04.
마지막으로 이러한 생체전기를 응용한 측정 기기들을 살펴보았다. 간단히 병원에서 쓰는 생체전기 측정용 모니터를 포함하여 뇌파검사 기기 등이 있었고 요즘에는 가정에서 손쉽게 측정이 가능한 침대용 심전도 검사기기, 변좌에 부착하는 심전도 검사기기가 있었다. 이는 모두 생체 전기를 측정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4. 참고 문헌
교재. 제 2 강. 세포막과 생체전기: Spark of life
박광석, 「생체전기신호의 응용」, 『한국정밀공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4,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