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갈등이론 설명, 갈등이론을 편 학자 선택 이유
(2) 한국교육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성찰을 읽고 한국의 학생이 행복해 질 수 있는 방안 제시
(3) 코로나19에 따른 사회변화의 양상을 감안하여 평생교육 상황에서 불평등을 줄일 수 있는 교육적 혁신 방안 제시
(4) 참고문헌
(2) 한국교육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성찰을 읽고 한국의 학생이 행복해 질 수 있는 방안 제시
(3) 코로나19에 따른 사회변화의 양상을 감안하여 평생교육 상황에서 불평등을 줄일 수 있는 교육적 혁신 방안 제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0% 높았습니다. 그만큼 대면수업에 비해 비대면수업의 효율과 품질이 떨어지며, 강의자와 학생 사이의 공감대 형성이 어렵다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따라서 코로나 19로 비대면 수업을 맞은 모든 대학들은 온라인 강의 역량을 집중적으로 키울 수 있도록 강의자들의 역량을 키워주어야 합니다. 강의자는 다양한 온라인 교육법을 연구하고 개발하여야 하며, 학습자와 강의자만의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합니다. 강의자는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파악하고 존중하면서 수월한 진행을 하여야 합니다. 피드백의 공간을 통하여 온라인 수업의 문제점이 조금은 해소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강의가 끝난 뒤 강의 내용을 정리하고 요약한 뒤 공유함으로 피드백의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강의자의 역량이 높아도 비대면 교육의 또 다른 큰 문제점은 각자의 정보전달의 정도가 매우 상이하다는 점입니다. 특히 연령대의 편차가 크다면 이런 전달력의 정도는 더욱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평생교육의 측면에서 보면 지금 사회적 교육 형태의 변화는 결코 젊은 학생층에게만 국한되는 이야기는 아닐 것입니다. 10대, 그리고 50,60대를 위해 어떤 효율적 컨텐츠와 지금의 틀에서 벗어난 획기적인 강의내용을 전달한 방법의 연구는 계속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강의자가 다양한 컨텐츠를 만드는 과정에서 강의자의 생각과 교육 목표, 교육 내용이 잘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런 새로운 개념의 비대면 교육 방식에 대해 노하우를 공유하고, 확산시켜나가며 IT강국, K방역 등에 이은 비대면 교육의 선두주자 대한민국이라는 인식이 생겨나기를 기대해 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장기화 되고 있음에 따라, 강의자들도 수업 자료를 제작하고, 새로운 개념의 컨텐츠를 만들어 감에 있어 업무부담과 피로도가 높을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에 있어 가능한 정부에서, 그리고 지자체에서 나서 앞에서 이야기한 노하우가 강의자들끼리 교류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상제도 등을 통해 이런 변화를 가속화시켜 나가야 할 것입니다.
(4) 참고문헌
1) 교육사회학, 이해주, 성기선, 유성상 지음 (2016)
2) Bernstein, Basil (1977). Class, Codes and Control, Vol.3. Toward a Theory of Educational Transmissions (2nd ed.). Routledge and Kegan Paul
그러나 강의자의 역량이 높아도 비대면 교육의 또 다른 큰 문제점은 각자의 정보전달의 정도가 매우 상이하다는 점입니다. 특히 연령대의 편차가 크다면 이런 전달력의 정도는 더욱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평생교육의 측면에서 보면 지금 사회적 교육 형태의 변화는 결코 젊은 학생층에게만 국한되는 이야기는 아닐 것입니다. 10대, 그리고 50,60대를 위해 어떤 효율적 컨텐츠와 지금의 틀에서 벗어난 획기적인 강의내용을 전달한 방법의 연구는 계속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강의자가 다양한 컨텐츠를 만드는 과정에서 강의자의 생각과 교육 목표, 교육 내용이 잘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런 새로운 개념의 비대면 교육 방식에 대해 노하우를 공유하고, 확산시켜나가며 IT강국, K방역 등에 이은 비대면 교육의 선두주자 대한민국이라는 인식이 생겨나기를 기대해 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장기화 되고 있음에 따라, 강의자들도 수업 자료를 제작하고, 새로운 개념의 컨텐츠를 만들어 감에 있어 업무부담과 피로도가 높을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에 있어 가능한 정부에서, 그리고 지자체에서 나서 앞에서 이야기한 노하우가 강의자들끼리 교류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상제도 등을 통해 이런 변화를 가속화시켜 나가야 할 것입니다.
(4) 참고문헌
1) 교육사회학, 이해주, 성기선, 유성상 지음 (2016)
2) Bernstein, Basil (1977). Class, Codes and Control, Vol.3. Toward a Theory of Educational Transmissions (2nd ed.). Routledge and Kegan Paul
추천자료
[2020 교육사회학3공통][기말시험][출처표기] 1.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
2020년 2학기 교육사회학 기말시험 과제물(갈등이론, 갈등이론을 편 학자 등)
(방송통신대 교육사회학 기말시험)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학자들 중 가...
교육사회학 기말시험 온라인평가 2020] 1. 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학자들...
교육사회학 교2 목차 1. 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학자들 중 가장 마...
사회 ) 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학자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사람의 이름...
1 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학자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사람의 이름을 쓰...
교육학 ) 1 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학자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사람의 ...
교육사회학 ) 코로나 19에 따른 사회변화의 양상을 감안하여 평생교육 상황에서 성인들 간 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