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간호학 ) 구강 주변에 심각한 손상이 있거나 구강 및 하악 수술로 인해 턱뼈가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혹은 입을 벌리는 데 장애가 있어 구인두 기도유지기 삽입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사용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간호학 ) 구강 주변에 심각한 손상이 있거나 구강 및 하악 수술로 인해 턱뼈가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혹은 입을 벌리는 데 장애가 있어 구인두 기도유지기 삽입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사용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효과만 있다.
서맥이 발생할 것에 대비하여 심전도 감시와 인공심장박동 조율기를 준비한 후에 시행하여야 하며, 미주신경을 자극할 수 있는 방법에는 경동맥동 마사지와 발살바 수기법이 있다.
경동맥동 마사지는 환자의 한쪽 경동맥을 두 번째와 세 번째 손가락을 사용하여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5~10초 정도 지그시 누르는 것으로 심전도를 모니터링하며 조심스럽게 시행한다. 발살바 수기법은 복압을 높이는 방법으로, 숨 참기, 찬물에 얼굴 담그기, 기침하기, 비위관 삽입하기, 설압자로 구역질반사 자극하기 등이 있다.
그러나 경동맥은 뇌로 연결되는 혈관이기 때문에 동시에 양쪽을 마사지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18. 심폐소생술 상황에서 에피네프린(epinephrine)을 ①정맥 또는 골내 주사로와 ②기관내관으로 투여할 때의 방법을 각각 설명하시오. (6점)
- 심폐소생술 상황에서는 관상동맥관류압과 뇌관류압 증가를 위해 에피네프린을 3~4분마다 1mg을 투여하는 것을 권장한다. 임상에서는 상황에 따라 10cc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1:10000의 농도로 사용하거나 제형 그대로 사용한다. 에피네프린은 정맥 또는 골내로 주사하고, 정맥 또는 골내주사로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는 기관내관으로 2~2.5mg을 줄 수 있다. 정맥내로 투여할 경우 급격한 혈압상승으로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심정지 혹은 심실세동 상황이 아닌 서맥 상황이라면 에피네프린을 2~10㎍/min으로 투여한다. 기관지 확장을 위해 투여한다면 200~500㎍을 20분 또는 4시간마다 반복 투여하고, 최대 1mg까지 증량이 가능하다.
19.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흉통 양상을 감별이 필요한 질환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단, 설명없이 표만 제시하면 안됨)
- 심근경색증과 협심증은 흉골 부위의 통증이 나타나며, 주로 심한 압박감과 질식감, 조이는 듯한 통증을 동반하지만 흉통의 지속시간과 동반하는 증상, 완화방법에서 차이가 있으며 심낭염은 심장 주위의 통증을 보이며 폐색전증은 폐 부위의 통증이 나타나는데, 심근경색증과 협심증 환자가 주로 호소하는 통증과는 다른 주로 날카로운 통증이 나타난다. 심근경색증은 30분 이상 지속되고, 협심증은 15분 이내의 지속시간을 보이지만 폐색전증은 몇 시간, 심낭염은 며칠 이상의 지속시간을 보인다. 협심증은 니트로글리세린으로 흉통이 완화된다. 또 이러한 통증은 호흡 시 증가하며, 앉으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0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3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