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열면서-취약계층이란? 학교부적응 학생이란?
2. 가운데-관련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 소개 및 내용
1)한국의 경우, 중학교에 대한 집단개입사례: 집단폭력 위기개입 및 공개화해 프로그램 사례
2)독일의 경우, 종일제 학교의 수업, 수업의 프로그램과 돌봄 사례
3)각 프로그램의 진행에 대한 나의 의견
3. 닫으며-듣고 기다리며 믿어주기!
#참고
2. 가운데-관련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 소개 및 내용
1)한국의 경우, 중학교에 대한 집단개입사례: 집단폭력 위기개입 및 공개화해 프로그램 사례
2)독일의 경우, 종일제 학교의 수업, 수업의 프로그램과 돌봄 사례
3)각 프로그램의 진행에 대한 나의 의견
3. 닫으며-듣고 기다리며 믿어주기!
#참고
본문내용
고 학습시간 외에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나름의 진심도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아이들을 직접적으로 상대하는 어른들은 그들의 말을 잘 들어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 학습하는 시간 전후로 아이들은 누워서 쉴 수도 있고, 본인들이 좋아하는 인터넷 영상을 볼 수도 있다. 그들의 그런 시간을 위한 다른 방(그 방의 온통 사방이 읽을 만한 책들로 가득하다. 책들을 준비할 때에는 아이들이 쉴 때 얼마든지 읽기를 바랐던 마음이었다. 지금도 언젠가 어느 책 하나라도 아이들의 눈과 마음에 꽂히기를 바라고 있다. 아이들은 항상 본인을 기다리게 만들지만 그런 아이들의 가능성을 항상 믿을 수밖에 없다.)이 준비되어 있다. 핸드폰 사용 부분은 본인 입장에서 인내가 필요한 부분이라는 걸 아이들이 알게 되기까지 솔직히 갈등이 있긴 했다.(이런 갈등을 통해서 아이들이 본인의 생각과 입장을 헤아려 주었다는 것에 방점을 찍고 싶다.)
앞서 살펴보았던 사례의 방법이 되었건, 학교사회복지사업 분야에서 다루는 방법이 되었건, 개인적 차원에서 동원하는 방법이 되었건, 인본주의적 차원에서 모든 지원방안이 남겨둔 그 자리에, 영적인 차원을 담당하는 종교의 역할에 대해서 고민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 조심스럽게 제안을 해본다. 물론 국가가 종교를 강제하거나 통제하라는 차원은 결코 아니다. 어디까지나 민간 차원에서 그 역할을 기대해 봄도 괜찮을 것 같아서 첨언을 해 본다.
#참고
본 강의 교안 1주차 1차시> 학교사회복지 개요-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학 생들이 경험하는 문제의 종류
본 강의 교안 4주차 2차시> 학생에 대한 이해Ⅱ- 취약 집단 학생의 특성> 취약 집단 학생들의 종류 및 특성
사회복지법> 제14조(취약계층의 범위) 법 제23조제1항에 따른 취약계층의 범위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 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학교상담전공 김세희(2018년 11월 정애경 지도교수에게 교육학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하여 2019년 2월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으로 인준된 학위논문)> 문제행동> 외현화 문제행동, 내재화 문제행동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2판, 성민선 외, P393~
국회전자도서관>메일진 해외교육동향 350호 기획기사(2019,04,24): 각국의 정규수업 전·후 초등학생 돌봄 현황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https://www.kassw.or.kr)> 학교사회복지 실시현 황
또 학습하는 시간 전후로 아이들은 누워서 쉴 수도 있고, 본인들이 좋아하는 인터넷 영상을 볼 수도 있다. 그들의 그런 시간을 위한 다른 방(그 방의 온통 사방이 읽을 만한 책들로 가득하다. 책들을 준비할 때에는 아이들이 쉴 때 얼마든지 읽기를 바랐던 마음이었다. 지금도 언젠가 어느 책 하나라도 아이들의 눈과 마음에 꽂히기를 바라고 있다. 아이들은 항상 본인을 기다리게 만들지만 그런 아이들의 가능성을 항상 믿을 수밖에 없다.)이 준비되어 있다. 핸드폰 사용 부분은 본인 입장에서 인내가 필요한 부분이라는 걸 아이들이 알게 되기까지 솔직히 갈등이 있긴 했다.(이런 갈등을 통해서 아이들이 본인의 생각과 입장을 헤아려 주었다는 것에 방점을 찍고 싶다.)
앞서 살펴보았던 사례의 방법이 되었건, 학교사회복지사업 분야에서 다루는 방법이 되었건, 개인적 차원에서 동원하는 방법이 되었건, 인본주의적 차원에서 모든 지원방안이 남겨둔 그 자리에, 영적인 차원을 담당하는 종교의 역할에 대해서 고민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 조심스럽게 제안을 해본다. 물론 국가가 종교를 강제하거나 통제하라는 차원은 결코 아니다. 어디까지나 민간 차원에서 그 역할을 기대해 봄도 괜찮을 것 같아서 첨언을 해 본다.
#참고
본 강의 교안 1주차 1차시> 학교사회복지 개요-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학 생들이 경험하는 문제의 종류
본 강의 교안 4주차 2차시> 학생에 대한 이해Ⅱ- 취약 집단 학생의 특성> 취약 집단 학생들의 종류 및 특성
사회복지법> 제14조(취약계층의 범위) 법 제23조제1항에 따른 취약계층의 범위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 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학교상담전공 김세희(2018년 11월 정애경 지도교수에게 교육학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하여 2019년 2월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으로 인준된 학위논문)> 문제행동> 외현화 문제행동, 내재화 문제행동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2판, 성민선 외, P393~
국회전자도서관>메일진 해외교육동향 350호 기획기사(2019,04,24): 각국의 정규수업 전·후 초등학생 돌봄 현황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https://www.kassw.or.kr)> 학교사회복지 실시현 황
추천자료
방통대학교사회사업론 -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목적, 개념을 설명하고...
[학교사회사업론] 본인이나 주변 사람들이 학창시절 학교에서 겪었던 어려움이 무엇인지 기술...
<학교사회사업론 공통>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목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이 속한 지...
[학교사회복지론] 1. 현대사회에서 학교는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해야할지 2. 학교사회복지의 ...
[학교사회복지론] 생태체계이론을 학교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함에 있어서 장단점을 논하시오
학교사회복지론] 코로나19와 학교사회복지 1)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목적, 개념 2) 자신이...
[학교사회복지론] 코로나19와 학교사회복지 1)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목적, 개념 2) 자신...
[학교사회복지론] 2022년 중간과제물, 1.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목적, 개념, 2. 자신이 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