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울과 수원의 시장크기의 차이, 구매력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를 찾아서 제시한다.
2. 두 팀의 팬 충성도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를 찾아본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경우 두 팀의 팬 충성도를 합리적으로(근거를 제시하여) 예상해본다.
3. 위의 데이터를 토대로 두팀의 수요곡선을 그린다.
4. 수요곡선을 토대로 수익곡선과 한계수익곡선을 그린다.
5. 수익곡선에 비용곡선을 그린다. 비용곡선은 예시로 주어진 곡선과 비슷하게 그리되 두 팀의 비용곡선은 일치하는걸로 가정한다.
6. 수익곡선과 비용곡선을 토대로 두 팀의 단기의사결정 - 이윤을 최대화 하는 티켓가격과 총 관중수를 도출한다. kt와 LG 두팀의 티켓가격과 총관중수의 차이를 분석한다.
7. 실제 LG 트윈스와 kt wiz의 티켓가격과 총 관중수 데이터를 찾아보고, 본인의 분석과 비교한다.
8. 단기이윤최대화결정모델에는 포함되어있지 않지만 실제로 팀의 선택(티켓 가격 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뭐가 있을지 생각해보고 기술한다.
2. 두 팀의 팬 충성도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를 찾아본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경우 두 팀의 팬 충성도를 합리적으로(근거를 제시하여) 예상해본다.
3. 위의 데이터를 토대로 두팀의 수요곡선을 그린다.
4. 수요곡선을 토대로 수익곡선과 한계수익곡선을 그린다.
5. 수익곡선에 비용곡선을 그린다. 비용곡선은 예시로 주어진 곡선과 비슷하게 그리되 두 팀의 비용곡선은 일치하는걸로 가정한다.
6. 수익곡선과 비용곡선을 토대로 두 팀의 단기의사결정 - 이윤을 최대화 하는 티켓가격과 총 관중수를 도출한다. kt와 LG 두팀의 티켓가격과 총관중수의 차이를 분석한다.
7. 실제 LG 트윈스와 kt wiz의 티켓가격과 총 관중수 데이터를 찾아보고, 본인의 분석과 비교한다.
8. 단기이윤최대화결정모델에는 포함되어있지 않지만 실제로 팀의 선택(티켓 가격 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뭐가 있을지 생각해보고 기술한다.
본문내용
을 시작할 때부터 한계수익이 최대화되는 지점까지는 의문의 여지없이 생산을 지속해야 한다. 그 지점까지는 전체 수익이 계속해서 늘어날 뿐만 아니라, 늘어나는 양도 점차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계수익이 최고점을 찍고 점차 하락할 때에도 생산자는 계속해서 생산을 지속할 유인이 있다. 한계수익은 점차 하락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단위 더 생산할 때마다 비용보다 한계수익이 더 크므로 전체 이윤은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계수익과 비용이 일치하여 한 단위를 더 생산하더라도 이윤이 증가하지 않는 점에 도달하고, 이후 한계수익보다 비용이 커지는 지점까지 도달하게 되면 이러한 유인은 사라진다. 이제 생산자는 한 단위 생산할 때마다 오히려 전체 이윤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생산자는 한계수익과 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생산을 멈추게 되며, 그 지점이 곧 이윤을 최대할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생각해 봤을 때, LG twins와 KT wiz 역시 비슷한 단기의사결정, 즉 한계수익과 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입장권의 가격을 결정하고 그만큼 생산할 것이라는 추론을 할 수 있다. 이는 위 그래프에서 주황색 선과 노란 선이 만나는 지점인데,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LG twins와 KT wiz의 비용곡선이 동일함에도 다른 지점에서 생산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두 생산자의 서비스를 소비하는 수요자, 즉 각 팀의 팬들이 가진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앞서 말했듯 LG twins는 KT wiz보다 더 비탄력적인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가진 팬들을 보유하고 있고, 그만큼 높은 가격의 입장권을 수요자가 감수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계수익이 하락하는 지점이 KT wiz보다 더 늦으며, 그만큼 한계수익과 비용이 만나는 지점 역시 늦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곧 LG twins가 KT wiz보다 더 높은 가격에서, 더 많은 수요량을 보유한 지점까지 생산을 지속할 것이라는 말이다. 따라서 우리는 LG twins의 이윤을 최대화하는 티켓 가격과 총관중수가 KT wiz의 이윤을 최대화하는 티켓 가격과 총관중수보다 높을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7. 문항 7
위 예측을 실증하기 위해 LG twins와 KT wiz의 티켓 가격과 총관중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LG twins의 티켓 가격은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23,000원에서 70,000원 사이이다. 그리고 LG twins의 총관중수는 2020년 10월 기준으로 41,317명이다.
KT wiz의 티켓 가격은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5,000원에서 50,000원 사이이다 그리고 KT wiz의 총관중수는 2020년 10월 기준으로 22,499명이다.
위의 결과를 봤을 때, 우리가 예측했던 대로 LG twins가 더 높은 티켓 가격과 총관중수 추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8. 문항 8
지금까지 우리가 티켓 가격과 총관중수를 예측하기 위해 활용하였던 단기의사결정 모델 외에 팀의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요인은 프로스포츠 팀 모기업의 재정과 모기업의 이미지, 그리고 선수단의 의사결정으로 인한 영향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프로스포츠 팀은 자체 수익으로 운영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모기업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다. 또 프로스포츠 팀의 명칭부터 유니폼에 이르기까지 모기업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따라서 모기업은 자신들의 재정 상황에 따라 프로스포츠 팀의 의사결정에 개입할 만한 유인과 능력이 충분하고, 실제로 그러한 개입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대표적인 예시가 최근 SK 와이번즈의 매각이다. SK 와이번즈가 최근 호성적을 보이지는 못했으나, 그 역사를 생각했을 때 모기업인 SK가 SK 와이번즈를 쉽게 매각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프로스포츠 관계자 대부분이 하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SK는 다방면에 투자를 진행하면서 많은 현금성 자산을 필요로 했고, 이것이 자사의 사업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생각을 하고 있던 이마트와 맞아떨어져 매각이 진행되게 되었다. 이처럼 프로스포츠 팀의 모기업이 가진 재정 상황은 프로스포츠 팀의 의사결정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나, 앞서의 단기의사결정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그리고 모기업의 영향은 모기업의 재정 상황으로 인해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모기업의 이미지가 프로스포츠 팀에 의해 심각하게 훼손될 것이라고 여겨지는 경우, 모기업은 프로스포츠 팀에 개입하여 의사결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대표적인 예로는 삼성 라이온즈의 도박 스캔들이 있다. 그 이전까지 삼성 라이온즈는 4년간 우승을 놓치지 않은 강팀으로서 팬들의 충성도가 높았고, 그만큼 높은 매출과 입장권 가격을 자랑하고 있었다. 그러나 도박 스캔들이 터지면서 모기업인 삼성 그룹의 이미지에도 해가 갈 상황이 되자, 삼성은 구단에 대한 지원을 삭감하는 등 삼성 라이온즈 구단에 다방면의 압박을 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구단 전체가 침체에 빠져들었으며, 매출액 역시 크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모기업의 마케팅의 프로스포츠 구단이 해가 된다 여겨질 경우, 모기업은 프로스포츠 구단의 의사결정을 심각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수단의 의사결정이 프로스포츠 구단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앞서 모기업과는 달리 큰 영향을 가지는 경우가 드물지만, 구단과 선수단의 의견이 맞지 않을 경우에 그 갈등 상황으로 인해 팀의 성적이 감소하면서 구단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역시 위의 의사결정 모델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9. 참고자료
1, ‘구단별 관중 현황(2020년 10월자)’, KBO
(url: https://www.koreabaseball.com/History/Crowd/GraphTeam.aspx)
2. “800만 관중 프로야구, 부족한건 비즈니스 모델”, 이종현 기자, 조선비즈, 2018년 5월 12일자
(url: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1/2018051102145.html)
3. “프로스포츠 관람객 성향조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2019
이러한 점을 생각해 봤을 때, LG twins와 KT wiz 역시 비슷한 단기의사결정, 즉 한계수익과 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입장권의 가격을 결정하고 그만큼 생산할 것이라는 추론을 할 수 있다. 이는 위 그래프에서 주황색 선과 노란 선이 만나는 지점인데,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LG twins와 KT wiz의 비용곡선이 동일함에도 다른 지점에서 생산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두 생산자의 서비스를 소비하는 수요자, 즉 각 팀의 팬들이 가진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앞서 말했듯 LG twins는 KT wiz보다 더 비탄력적인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가진 팬들을 보유하고 있고, 그만큼 높은 가격의 입장권을 수요자가 감수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계수익이 하락하는 지점이 KT wiz보다 더 늦으며, 그만큼 한계수익과 비용이 만나는 지점 역시 늦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곧 LG twins가 KT wiz보다 더 높은 가격에서, 더 많은 수요량을 보유한 지점까지 생산을 지속할 것이라는 말이다. 따라서 우리는 LG twins의 이윤을 최대화하는 티켓 가격과 총관중수가 KT wiz의 이윤을 최대화하는 티켓 가격과 총관중수보다 높을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7. 문항 7
위 예측을 실증하기 위해 LG twins와 KT wiz의 티켓 가격과 총관중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LG twins의 티켓 가격은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23,000원에서 70,000원 사이이다. 그리고 LG twins의 총관중수는 2020년 10월 기준으로 41,317명이다.
KT wiz의 티켓 가격은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5,000원에서 50,000원 사이이다 그리고 KT wiz의 총관중수는 2020년 10월 기준으로 22,499명이다.
위의 결과를 봤을 때, 우리가 예측했던 대로 LG twins가 더 높은 티켓 가격과 총관중수 추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8. 문항 8
지금까지 우리가 티켓 가격과 총관중수를 예측하기 위해 활용하였던 단기의사결정 모델 외에 팀의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요인은 프로스포츠 팀 모기업의 재정과 모기업의 이미지, 그리고 선수단의 의사결정으로 인한 영향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프로스포츠 팀은 자체 수익으로 운영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모기업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다. 또 프로스포츠 팀의 명칭부터 유니폼에 이르기까지 모기업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따라서 모기업은 자신들의 재정 상황에 따라 프로스포츠 팀의 의사결정에 개입할 만한 유인과 능력이 충분하고, 실제로 그러한 개입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대표적인 예시가 최근 SK 와이번즈의 매각이다. SK 와이번즈가 최근 호성적을 보이지는 못했으나, 그 역사를 생각했을 때 모기업인 SK가 SK 와이번즈를 쉽게 매각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프로스포츠 관계자 대부분이 하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SK는 다방면에 투자를 진행하면서 많은 현금성 자산을 필요로 했고, 이것이 자사의 사업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생각을 하고 있던 이마트와 맞아떨어져 매각이 진행되게 되었다. 이처럼 프로스포츠 팀의 모기업이 가진 재정 상황은 프로스포츠 팀의 의사결정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나, 앞서의 단기의사결정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그리고 모기업의 영향은 모기업의 재정 상황으로 인해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모기업의 이미지가 프로스포츠 팀에 의해 심각하게 훼손될 것이라고 여겨지는 경우, 모기업은 프로스포츠 팀에 개입하여 의사결정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대표적인 예로는 삼성 라이온즈의 도박 스캔들이 있다. 그 이전까지 삼성 라이온즈는 4년간 우승을 놓치지 않은 강팀으로서 팬들의 충성도가 높았고, 그만큼 높은 매출과 입장권 가격을 자랑하고 있었다. 그러나 도박 스캔들이 터지면서 모기업인 삼성 그룹의 이미지에도 해가 갈 상황이 되자, 삼성은 구단에 대한 지원을 삭감하는 등 삼성 라이온즈 구단에 다방면의 압박을 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구단 전체가 침체에 빠져들었으며, 매출액 역시 크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모기업의 마케팅의 프로스포츠 구단이 해가 된다 여겨질 경우, 모기업은 프로스포츠 구단의 의사결정을 심각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수단의 의사결정이 프로스포츠 구단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앞서 모기업과는 달리 큰 영향을 가지는 경우가 드물지만, 구단과 선수단의 의견이 맞지 않을 경우에 그 갈등 상황으로 인해 팀의 성적이 감소하면서 구단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역시 위의 의사결정 모델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9. 참고자료
1, ‘구단별 관중 현황(2020년 10월자)’, KBO
(url: https://www.koreabaseball.com/History/Crowd/GraphTeam.aspx)
2. “800만 관중 프로야구, 부족한건 비즈니스 모델”, 이종현 기자, 조선비즈, 2018년 5월 12일자
(url: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1/2018051102145.html)
3. “프로스포츠 관람객 성향조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201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