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발달이론
(2) 온라인 학습
(3)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의 온라인 학습 적용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발달이론
(2) 온라인 학습
(3)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의 온라인 학습 적용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달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면(Vygotsky, 1978; Churcher et al., 2014에서 재인용), 현대 사회에서 온라인 미디어 환경을 제외하고 아동발달을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교수자들에게는 사회구성주의적으로 온라인 미디어가 주는 새로운 교육의 가능성을 최대한 활용할 책임이 있되, 기존의 교수법과의 조화를 유지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나아가서 다음 세대를 키우는 양육자로서 기성 세대는 기존의 온라인 공간이 아동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는 사회환경을 구성하는지를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교실 밖에서도 끊임없이 새로운 온라인 컨텐츠의 발달과 아동의 미디어 환경에 대해 관심을 가짐으로써 이들의 발달을 올바른 방향으로 지도하는 방법을 준비하는 것이 비고츠키의 사회구성이론을 보다 총체적인 관점에서 적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 참고문헌
김삼예. (2006). 비고츠키 발달이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석사학위논문). 부산: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지현. (2018). 초등 e-러닝 동영상 수업의 효과 연구: 온라인 학습 판단 시스템을 활용한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문영주. (2019). 청소년의 사회불안이 스마트폰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의 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백수정. (2016). 아동학대가 청소년 온라인/오프라인 비해에 미치는 영향: 누적위험요인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원영. (2013).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에 따른 수학 수업모형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청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정희. (2011). 아동영어교수법 비교연구: 비고츠키 발달이론 적용 (석사학위논문). 서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Churcher, K. M. A., Downs, E., Tewksbury, D. (2014). “Friending” Vygotsky: A social constructivist pedagogy of knowledge building through classroom social media use. The Journal of Effective Teaching, 14(1), 33-50.
Schrader, D. E. (2015). Constructivism and learning in the age of social media: Changing minds and learning communities.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144, 23-35.
Tehranian, Y. (2013). Social Media, Social Kids: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21st Century Media for Development in the Preteen Period (Doctoral dissertation, UCLA).
4. 참고문헌
김삼예. (2006). 비고츠키 발달이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석사학위논문). 부산: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지현. (2018). 초등 e-러닝 동영상 수업의 효과 연구: 온라인 학습 판단 시스템을 활용한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문영주. (2019). 청소년의 사회불안이 스마트폰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의 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백수정. (2016). 아동학대가 청소년 온라인/오프라인 비해에 미치는 영향: 누적위험요인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원영. (2013).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에 따른 수학 수업모형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청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정희. (2011). 아동영어교수법 비교연구: 비고츠키 발달이론 적용 (석사학위논문). 서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Churcher, K. M. A., Downs, E., Tewksbury, D. (2014). “Friending” Vygotsky: A social constructivist pedagogy of knowledge building through classroom social media use. The Journal of Effective Teaching, 14(1), 33-50.
Schrader, D. E. (2015). Constructivism and learning in the age of social media: Changing minds and learning communities.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144, 23-35.
Tehranian, Y. (2013). Social Media, Social Kids: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21st Century Media for Development in the Preteen Period (Doctoral dissertation, UCL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