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의 공유와 관련 작업의 진행, 바로 이것이 전환기 역사학자의 고민이자 필자가 동료 연구자가 함께 연구하고자 하는 바램인 것이다.
3. 결론
‘역사는 사고의 결과를 실험하기 위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유일한 실험실이다.’ 이는 한 철학자의 말이다. 이 말은 역사가 전달해 주는 위대한 교훈에 관한 이해가 부족해서 지불하게 되는 높은 행위비용과 과거로부터 정확하지 못한 유추에 근거해 내려진 비용으로 가득 채워져 있다. 우리는 역사 공부를 통해 현실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근대주의적 기준에 따라 내용선정 결과 배제되어왔던 공동체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통해 우리는 다음 몇 가지에서 그 의미를 살릴 수 있다.
우선, 현재와 같은 엘리트 혹은 지배계층 일변도 즉, 일반적 지나치게 한쪽으로 치우쳐져 역사를 초월하여 대중의 역사의 합당한 자리를 에피소드 수준이 아니라 구조적 수준에서 준비할 수 있다. 둘째, 공동체를 허물고 세워진 자본주의 질서(시민사회) 속에서도 ‘공동체 의식이 바로 책임감 있는 시민 정신과 인격의 완전한 발달을 좌우하는 토양’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식교육 더 나아가 태도 교육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셋째, 개인주의와 자본주의로 심벌 되는 근대성의 헤게모니에 대항하면서 그것 이상의 의지와 운동의 근본을 이해함으로써 근대주의적인 세계사상 바로 유럽 중심적 세계사상의 대안 찾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중요한 점은 동서양을 막론(불문)하고 농경 공동체는 곧 인류의 문명적 땅이었다.
우리는 새로운 세계사, 그리고 통합 역사의 설득력 있는 대안을 만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정비와 더불어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는 그동안 동서양사 연구자가 역사교육에 지나치게 무심했던 만큼 이것이 사회와 교육과정의 반동과 불공정은 우리 스스로가 자초한 면이 매우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이제 정돈되지 않은 사회와 역사 속 세계사를 바로잡기 위해서라도 연사연구자 스스로가 이 일을 해나가지 않을 수 없다. 이 밖에도 역사교육에서도 다른 학문영역을 선도·통합하여 우리 삶이 그대로 투영되어 가는 모습을 역사교육의 위기 속에서 동전의 양면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역사교육의 방향성을 잡아야 한다.
4. 참고문헌
세계의역사. 박구병, 신성곤, 원지연, 윤혜영, 이광수, 이한규, 이혜령, 이희수, 조흥국 지음. 2017. 출판문화원
3. 결론
‘역사는 사고의 결과를 실험하기 위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유일한 실험실이다.’ 이는 한 철학자의 말이다. 이 말은 역사가 전달해 주는 위대한 교훈에 관한 이해가 부족해서 지불하게 되는 높은 행위비용과 과거로부터 정확하지 못한 유추에 근거해 내려진 비용으로 가득 채워져 있다. 우리는 역사 공부를 통해 현실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근대주의적 기준에 따라 내용선정 결과 배제되어왔던 공동체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통해 우리는 다음 몇 가지에서 그 의미를 살릴 수 있다.
우선, 현재와 같은 엘리트 혹은 지배계층 일변도 즉, 일반적 지나치게 한쪽으로 치우쳐져 역사를 초월하여 대중의 역사의 합당한 자리를 에피소드 수준이 아니라 구조적 수준에서 준비할 수 있다. 둘째, 공동체를 허물고 세워진 자본주의 질서(시민사회) 속에서도 ‘공동체 의식이 바로 책임감 있는 시민 정신과 인격의 완전한 발달을 좌우하는 토양’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식교육 더 나아가 태도 교육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셋째, 개인주의와 자본주의로 심벌 되는 근대성의 헤게모니에 대항하면서 그것 이상의 의지와 운동의 근본을 이해함으로써 근대주의적인 세계사상 바로 유럽 중심적 세계사상의 대안 찾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중요한 점은 동서양을 막론(불문)하고 농경 공동체는 곧 인류의 문명적 땅이었다.
우리는 새로운 세계사, 그리고 통합 역사의 설득력 있는 대안을 만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정비와 더불어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는 그동안 동서양사 연구자가 역사교육에 지나치게 무심했던 만큼 이것이 사회와 교육과정의 반동과 불공정은 우리 스스로가 자초한 면이 매우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이제 정돈되지 않은 사회와 역사 속 세계사를 바로잡기 위해서라도 연사연구자 스스로가 이 일을 해나가지 않을 수 없다. 이 밖에도 역사교육에서도 다른 학문영역을 선도·통합하여 우리 삶이 그대로 투영되어 가는 모습을 역사교육의 위기 속에서 동전의 양면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역사교육의 방향성을 잡아야 한다.
4. 참고문헌
세계의역사. 박구병, 신성곤, 원지연, 윤혜영, 이광수, 이한규, 이혜령, 이희수, 조흥국 지음. 2017. 출판문화원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세계의역사)한국방송통신대학에 입학하여 세계의 역사를 수강하면서 생각하게 된...
(세계의역사 1공통) 한국방송통신대학에 입학하여 세계의 역사를 수강하면서 생각하게 된 바...
(세계의역사 1학년 공통) 한국방송통신대학에 입학하여 세계의 역사를 수강하면서 생각하게 ...
[세계의역사 1학년 공통] 한국방송통신대학에 입학하여 세계의 역사를 수강하면서 생각하게 ...
세계의역사-학습방향 및 학습태도] 한국방송통신대학에 입학하여 세계의 역사를 수강하면서 ...
세계의 역사 한국방송통신대학에 입학하여 <세계의 역사>를 수강하면서 생각하게 된 바람직...
(세계의역사, 공통) 한국방송통신대학에 입학하여 <세계의 역사>를 수강하면서 생각하게 된 ...
한국방송통신대학에 입학하여 세계의 역사를 수강하면서 생각하게 된 바람직한 세계의 역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