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구성주의 이론
(1)배경
(2)기본전제
(3)대표적 이론가
2.문화맥락주의 이론
(1)배경
(2)기본전제
(3)대표적 이론가
3.비교
Ⅲ.결론
출처 및 참고문헌
Ⅱ.본론
1.구성주의 이론
(1)배경
(2)기본전제
(3)대표적 이론가
2.문화맥락주의 이론
(1)배경
(2)기본전제
(3)대표적 이론가
3.비교
Ⅲ.결론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축적되어 있는 지식을 내재화하는 것을 통해 인지발달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이 과정에서 인도된 참여를 강조한 바 있다.
문화맥락주의에서는 인지발달을 일으키기 위한 적절한 상호작용 중 하나로 아동의 내재화 과정을 지지할 수 있는 성인의 역할을 강조한 바 있다. 이를 발판화 또는 비계설정이라고 한다.
(3)대표적 이론가
문화맥락주의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가로 비고츠키가 있다. 그는 사회적 맥락이 문화에 의하여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아동의 환경 속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이때 사회적 맥락의 수준은 세가지 수준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아동과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인 즉각적인 상호작용수준, 둘째, 가정 및 학교 등과 같이 아동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적 구조인 구조적 수준, 마지막으로 아동이 속한 사회, 문화, 언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문화 및 사회적인 수준에 대한 것이 그것이다. 비고츠키는 유아를 둘러싼 총체적인 사회적 환경이 그 유아에 대한 인지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때 사회적인 맥락에는 시간의 개념, 즉 역사도 포함된다고 보았다.
3.비교
구성주의 이론과 문화맥락주의 모두 아동이 인지발달을 이루기 위해서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의 이론에 따르면 상호작용이 아동의 발달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이라는 점에 대하여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구성주의 이론의 경우 문화맥락주의 이론에 비하여 아동이 처해 있는 문화적인 맥락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문화맥락주의는 이러한 구성주의 이론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Ⅲ.결론
앞서 살펴본 영유아 교육 및 보육 프로그램의 사상적인 배경의 고찰은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아동과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한다. 이때 상호작용의 대상에는 아동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교사뿐만 아니라 부모 및 교사가 속한 사회적인 맥락도 포함될 것이다. 그리고 둘째, 이러한 연관관계가 연계되어 있을 경우 영유아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인지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영유아와 상호작용하는 부모와 교사 사이에 영유아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의미 있는 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1~4강 강의자료
문화맥락주의에서는 인지발달을 일으키기 위한 적절한 상호작용 중 하나로 아동의 내재화 과정을 지지할 수 있는 성인의 역할을 강조한 바 있다. 이를 발판화 또는 비계설정이라고 한다.
(3)대표적 이론가
문화맥락주의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가로 비고츠키가 있다. 그는 사회적 맥락이 문화에 의하여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아동의 환경 속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이때 사회적 맥락의 수준은 세가지 수준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아동과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인 즉각적인 상호작용수준, 둘째, 가정 및 학교 등과 같이 아동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적 구조인 구조적 수준, 마지막으로 아동이 속한 사회, 문화, 언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문화 및 사회적인 수준에 대한 것이 그것이다. 비고츠키는 유아를 둘러싼 총체적인 사회적 환경이 그 유아에 대한 인지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때 사회적인 맥락에는 시간의 개념, 즉 역사도 포함된다고 보았다.
3.비교
구성주의 이론과 문화맥락주의 모두 아동이 인지발달을 이루기 위해서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의 이론에 따르면 상호작용이 아동의 발달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이라는 점에 대하여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구성주의 이론의 경우 문화맥락주의 이론에 비하여 아동이 처해 있는 문화적인 맥락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문화맥락주의는 이러한 구성주의 이론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Ⅲ.결론
앞서 살펴본 영유아 교육 및 보육 프로그램의 사상적인 배경의 고찰은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아동과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한다. 이때 상호작용의 대상에는 아동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교사뿐만 아니라 부모 및 교사가 속한 사회적인 맥락도 포함될 것이다. 그리고 둘째, 이러한 연관관계가 연계되어 있을 경우 영유아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인지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영유아와 상호작용하는 부모와 교사 사이에 영유아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의미 있는 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1~4강 강의자료
추천자료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구성주의이론과 문화맥락주의이론의 배경기본전제(영유아프로그램...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공통] 구성주의 이론과 문화맥락주의 이론의 배경, 기본전제, 대...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공통] 구성주의 이론과 문화맥락주의 이론의 배경, 기본전제, 대...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형) 영유아프로그램의 기초이론 중 구성주의 이론과 문화맥락주...
[방통대 유아교육과 4학년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B형] 영유아프로그램의 기초이론 중 구...
[방통대 유아교육과 4학년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B형] 영유아프로그램의 기초이론 중 구...
영유아 ) 영유아프로그램의 기초이론 중 구성주의 이론과 문화맥락주의 이론의 배경, 기본전...
영유아프로그램 ) 영유아프로그램의 기초이론 중 구성주의 이론과 문화맥락주의 이론의 배경,...
영유아프로그램개발평가b ) 영유아프로그램의 기초이론 중 구성주의 이론과 문화맥락주의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