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러움 및 보행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지러움 및 보행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위험군(65세 이상)의 환자와 보호자에 대한 교육은 낙상으로 오는 합병증을 줄인다. 낙상의 위험요인으로는 65세 이상의 환자, 낙상 과거력, 시력균형감각의 손상, 보행 혹은 자세의 변화, 약물, 체위성저혈압, 느린반응시간, 지남력상실, 기동력 장애, 전신허약감, 낯선 환경이다. 합병증으로는 골절, 심한통증, 출혈, 의식저하가 있다.
2)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낙상위험성에 대해 경각심을 갖게 하여, 낙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 1)혈관확장제,이뇨제,안정제 복용은 현기증, 저혈압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노인의 경우 복용하는 약물이 많아질수록 어지러움증, 기립성 저혈압, 졸음, 요실금 등의 부작용이 커질 수 있으며, 낙상의 위험도 또한 증가할수 있다.
약물에 대한 부작용이 심할 경우 주치의와 상의 후 대체약물로 변경하도록 한다.
평가
장기목표
①대상자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대상자는 입원하는 동안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달성)
②대상자는 퇴원전까지 낙상척도 점수를 15점으로 감소할 것이다.
->대상자 퇴원전 낙성척도 점수가 25점 측정되었다.(미달성)
->대상자에게 간호계획을 한번 더 중재하도록 한다.(재계획)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3일 이내 낙상 예방법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입원 2일날 낙상 예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하였다.(달성)
②대상자는 3일 이내 낙상 예방법 2가지 이상 실행할 수 있다.
->대상자는 입원 2일날 낙상 예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실행하였다.(달성)
낙상위험성 : 신체손상을 유발시키는 낙상 가능성이 높은 상태
참고문헌
·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 원종순 외(2014).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드림원탑 케이스스터디, 드림널스
· 금순 외 10명(2016), 성인간호학 2, 수문사
·박은영 외 공역(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138~143, 214~219p
·환자안전주의경보, KOPS
·일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 실태 및 위험 요인 분석,강영옥 외 1명,충남대학교병원,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체위 변화가 노인들의 순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근표 외 3명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23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06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