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서구 아동권사상의 전개
(2) 한국 아동권사상의 전개
3. 결론
4. 참고자료
2. 본론
(1) 서구 아동권사상의 전개
(2) 한국 아동권사상의 전개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내용
는 안됨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은 현대 한국인에 있어서는 매우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다. 지금은 아이들이 일정 나이가 되면 당연히 학교에 가고, 학교에서 사회화를 거치며, 학교에서 놀고 공부하며 보호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이러한 모습이 당연하다고 여기고 조금만 과거로 돌아간다 하더라도, 우리는 거대한 괴리를 경험하게 된다. 당연히 무상교육, 의무교육이라 여기는 중학교도 학비 문제로 다니지 못한 아이들이 있었고, 사친회비를 내지 못해 눈치보고 맞으면서도 의무교육이라 어쩔 수 없이 다녀야 했던 곳이 초등학교였던 시기도 있었다. 이것이 100년, 200년 넘은 오래전의 이야기도 아니다. 게다가 훈육과 체벌 사이의 혼란으로 갈팡질팡하며, 교육권과 인권 사이의 길항이 아직도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기도 하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인권, 기본권 등의 담론은 더욱 연구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이와 별개로 나에게 있어 어린이헌장은 아쉬운 부분이 많이 보인다. 특히 1957년의 본문과 1988년의 개정 사이에서, 어린이의 존엄성과 관련한 부분이 전문에서 드러나게 되고 본문에서는 어떠한 환경이 제공될 것, 어떠한 노력을 할 것, 어떠한 발달을 해야 할 것으로 뉘앙스가 바뀌었던 것이 천도교적 사상을 토대로 발전한 아동권 사상이 다시 아동보호주의로 축소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유엔아동권리선언, 유엔아동권리협약 등 전세계적 추이에 발맞추어 기존의 사상적 기반을 합치시키고 보다 일반적이게 하는 데에는 의미가 있었을지 모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쉬운 것은 어쩔 수 없다. 아이들은 결국 나이를 먹고 어른이 된다. 그러면서 사회와 세계를 알아간다. 이것은 어른들이 알려주지 않았다고 해서 모르는 것이 아니다. 사회가 존재한다면, 아이들은 어쩔 수 없이 사회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어린이의 권리 역시, 이들이 사회를 오롯이 한 인간으로서 바라보게 될 것임을 인정하고 존중해 주는 데에서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문득 찾아드는 것이다.
4. 참고자료
-Mulley, Clare. 누가 이 아이들을 구할 것인가?. 서울: 책앤, 2017.
-안동현.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의의와 과제.\" 아동과 권리 3.2 (1999): 27-42.
-이정아 ( Lee¸ Jung Ah ). \"천도교 개벽사상을 기반으로 한 방정환 어린이교육운동의 현재적 함의.\" 방정환연구 5.- (2021): 173-207.
이러한 문제인식은 현대 한국인에 있어서는 매우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다. 지금은 아이들이 일정 나이가 되면 당연히 학교에 가고, 학교에서 사회화를 거치며, 학교에서 놀고 공부하며 보호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이러한 모습이 당연하다고 여기고 조금만 과거로 돌아간다 하더라도, 우리는 거대한 괴리를 경험하게 된다. 당연히 무상교육, 의무교육이라 여기는 중학교도 학비 문제로 다니지 못한 아이들이 있었고, 사친회비를 내지 못해 눈치보고 맞으면서도 의무교육이라 어쩔 수 없이 다녀야 했던 곳이 초등학교였던 시기도 있었다. 이것이 100년, 200년 넘은 오래전의 이야기도 아니다. 게다가 훈육과 체벌 사이의 혼란으로 갈팡질팡하며, 교육권과 인권 사이의 길항이 아직도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기도 하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인권, 기본권 등의 담론은 더욱 연구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이와 별개로 나에게 있어 어린이헌장은 아쉬운 부분이 많이 보인다. 특히 1957년의 본문과 1988년의 개정 사이에서, 어린이의 존엄성과 관련한 부분이 전문에서 드러나게 되고 본문에서는 어떠한 환경이 제공될 것, 어떠한 노력을 할 것, 어떠한 발달을 해야 할 것으로 뉘앙스가 바뀌었던 것이 천도교적 사상을 토대로 발전한 아동권 사상이 다시 아동보호주의로 축소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유엔아동권리선언, 유엔아동권리협약 등 전세계적 추이에 발맞추어 기존의 사상적 기반을 합치시키고 보다 일반적이게 하는 데에는 의미가 있었을지 모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쉬운 것은 어쩔 수 없다. 아이들은 결국 나이를 먹고 어른이 된다. 그러면서 사회와 세계를 알아간다. 이것은 어른들이 알려주지 않았다고 해서 모르는 것이 아니다. 사회가 존재한다면, 아이들은 어쩔 수 없이 사회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어린이의 권리 역시, 이들이 사회를 오롯이 한 인간으로서 바라보게 될 것임을 인정하고 존중해 주는 데에서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문득 찾아드는 것이다.
4. 참고자료
-Mulley, Clare. 누가 이 아이들을 구할 것인가?. 서울: 책앤, 2017.
-안동현.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의의와 과제.\" 아동과 권리 3.2 (1999): 27-42.
-이정아 ( Lee¸ Jung Ah ). \"천도교 개벽사상을 기반으로 한 방정환 어린이교육운동의 현재적 함의.\" 방정환연구 5.- (2021): 173-207.
추천자료
[사회복지측면에서의]한국의 사회사상과 시민적 권리의 기원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발달사
[아동복지론] 아동 권리 사상의 주요 핵심은 무엇이며, 서구와 우리나라의 아동권리사상의 ...
아동복지론 ) 서구의 아동권리사상과 우리나라의 아동권리사상의 발전을 분석하여 차이점과 ...
서구의 아동권리사상과 우리나라의 아동권리사상의 발전을 분석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하...
[아동권리] 서구의 아동권리사상과 우리나라의 아동권리사상의 발전을 분석하여 차이점과 공...
서구의 아동권리사상과 우리나라의 아동권리사상의 발전을 분석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
서구의 아동권리사상과 우리나라의 아동권리사상의 발전을 분석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
서구의 아동권리사상과 우리나라의 아동권리사상의 발전을 말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