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자원의이해2)강의 1강에서 학습한 세시풍속 중 봄․여름․가을․겨울을 대표하는 세시풍속을 각각 1개씩 선택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에게 설명한다는 가정하에 그들이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세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화자원의이해2)강의 1강에서 학습한 세시풍속 중 봄․여름․가을․겨울을 대표하는 세시풍속을 각각 1개씩 선택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에게 설명한다는 가정하에 그들이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세시풍속의 개념
3.세시풍속 형성의 배경
4.세시풍속 활용 교육의 의의
5.봄․여름․가을․겨울을 대표하는 세시풍속
6.결론
7.참고자료

본문내용

는 증편, 편수, 상화병, 유두면, 보리수단, 맨드라미전, 호박밀전, 상추쌈, 참외 등이 있는데, 특히 유두면을 먹으면 장수하고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동쪽으로 흐르는 물은 양기가 가장 세기 때문에 등목을 하거나 폭포 밑에서 온몸에 물을 맞거나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면 더위와 질병이 생기지 않아 여름을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고 한다.
3)가을(칠석놀이)
칠석놀이는 음력 7월 7일 칠석날에 풍장패를 앞세워 길놀이, 합궁놀이, 황새샘치기, 칠성굿놀이, 견우직녀 상봉놀이, 장치기놀이로 이어지는 공동체 놀이이다. 대전광역시 중구 부사동의 칠석놀이를 비롯하여 경남 김해군 부서의 알촌과 하계마을의 칠석놀이, 충남 금산군 진악산의 송계놀이, 충남 당진군 송산면 부곡리에서 칠석날 행했던 풍년제, 전북 정읍의 솔불놀이, 전남 여수 일대의 진세놀이 등이 칠석놀이로 보고된 바 있다.
대전광역시 중구 부사동에서는 칠석날 칠석놀이를 행하는데, 부사동은 보문산 동쪽 기슭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보문산을 경계로 남쪽으로 대사동과 호동이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북쪽으로 문창동, 동쪽으로 석교동, 서쪽으로 대사동과 대흥동 일부가 동계를 이루고 있다. 이곳에서 전승되는 칠석놀이는 백제시대 두 연인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일종의 촌락신화의 형태로 볼 수 있다.
현재까지 조사 보고된 칠석놀이를 살펴보면, 전북 정읍의 솔불놀이는 두 동네가 달집짓기를 다투는 성장의례 관련 놀이이며, 전남 여수 일대의 진세놀이는 칠석날을 ‘진세먹는 날’이라고 하여 3세나 5세가 된 아이가 있는 집에서 술과 음식을 장만해 마을 사람들에게 대접하고 노는 날이다.
4)겨울(섣달그믐)
섣달 그믐날 2품 이상의 조신(朝臣)과 시종신(侍從臣)은 대궐에 들어가 묵은 세배로 문안을 올리고, 사대부집에서는 사당에 침례하고, 연소자들은 친척 어른께 묵은 세배를 드리는 풍속이 있어서, 초저녁부터 늦은 밤까지 묵은 세배객들의 행렬로 인하여 길거리는 등불로 줄을 이었다. 또한 대궐 안에서는 제석 전날 대포의 임금인 연종포를 쏘고 징과 북을 울리며 대나(大儺: 역질 귀신을 쫓는 행사)의 풍속이 있다. 민가에서는 다락, 마루, 방, 부엌, 외양간, 변소까지 온 집안을 환하게 등잔을 켜 놓고 밤잠을 자지 않는 수세 풍속이 있다. 붉은 싸리가무를 두 쪽으로 쪼개어 내 쪽으로 만든 윷놀이와 흑콩 윷놀이 풍속이 있으며 부녀자들은 여도판회(널뛰기)놀이 풍속과 딱총놀이(폭죽)로 사귀악귀를 쫓는 풍속이 있다.
6. 결론
전통사회에서 초등학생들은 여러 세대가 함께 사는 가정과, 친척, 이웃들로 엮어진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선조들의 가르침인 ‘전통’을 자연스럽게 배웠다. 농경문화가 우리 생활의 근간이었던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 서구의 문화와 풍속이 빠르게 전파되면서 우리 고유의 풍속은 점차 사라지고 있고, 그 중요성과 의미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따라서 21세기 시대적 특징인 국제화, 세계화 시대의 가장 강조되는 초등학교교육의 방향은 민족 고유의 전통과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육의 중요성을 고취시키는 것이다.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은 우리의 전통에 어울리는 외래문화를 선택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외래문화에 대한 선택적 태도는 우리의 오랜 전통 즉 우리가 오래 전부터 지니고 살아왔던 세계관, 도덕관, 미학적 가치관을 낡은 것으로 폐기할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다른 문화 전통에서 찾을 수 없거나 서양의 것보다 뛰어난 보배를 가려내고 보존하며 더욱 키워가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학교육과정은 전통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다.
우리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계승하여 인류의 보편적인 가치로 발전시키는 것은 새로운 가치 창조의 출발이며, 진정한 세계화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
7. 참고자료
이정진ㆍ김창수ㆍ김정환, 한국축제 50선, 대왕사, 2013.
장주근, 한국의 세시풍속, 민속원, 2016.김종태, 최순권. 박수환 역주(2004).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조선전기 문집편」.국립민속박물관.
서찬석(2014). 「우리 민속놀이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채우리.
염경화, 박수환 역주(2015).「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조선후기 문집편」. 국립민속박물관.
원영주(2017). 「열두달 세시풍속」. 계림.
윤호진 편역(2013). 「한시로 읽는 세시풍속1 단오」. 민속원.
이승수(2013). 「민속학자가 들려주는 우리 명절」. 두산동아.
인권환(2016). 「한국전통문화의 현대적 모색」. 태학사.
  • 가격4,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9.20
  • 저작시기202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5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