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_COVID-19 사태로 학생들이 집에서 원격 형태로 학교수업에 참여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심리학_COVID-19 사태로 학생들이 집에서 원격 형태로 학교수업에 참여하였습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몰입도, 집중력 저하

2) 비대면으로 인한 숙제 과부화

3) 대면 수업의 부적응 형태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사실 비 대면으로 인해 학생 상담을 전화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화 상담 또한 학생들의 표정을 볼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의 하는 말이 진심인지, 어떤 점을 도와주어야 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학생들은 학우들과의 교우를 통해서 학교라는 사회 안에서 교감을 통해 자신의 자아개념을 지각한다. 코로나로 인해 교우들과의 관계가 줄어들고 교사와의 관계도 형성이 되지 않아 자신에 대한 자아개념이 세워지지 않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자아개념은 타인의 평가와 집단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학생 상담 또한 화상으로 진행하고 동기를 부여해주는 것, 그리고 교사들의 목소리를 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학생들의 동기를 격려해주고 라포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3. 결론
이렇게 COVID-19 사태로 인해 발생한 비대면 수업의 문제점과 해결할 수 있는 방향들을 생각해 보았다. 기존의 교육 방식에 있어서 문제가 없었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현재는 앞으로 나아가야하는 방향과 비대면 방식에 있어서 발전하여 학습효과를 이끌어 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보여 진다. 학생들의 연령 수준에 맞추어 수업을 준비하고 많은 과제를 줌으로 짓눌리게 하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정도의 고전적 조건형성을 맞출 수 있도록 과제를 주며 삼단논법과 같은 추론을 하고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는 과제나 문제를 줌으로 학생들이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 교사는 개개인에게 라포를 형성하여 자아를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모두 비 대면에서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되었다.
[참고문헌]
1. 논문 : http://www.riss.kr/index.do
코로나(COVID-19)로 인한 원격수업 및 비대면 학생상담에 대한 교사의 경험
과 인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2월 상담심리전공
2. 논문 :http://www.riss.kr/index.do 공교육 원격수업에서 중학생이지각한 부모의 학습지원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상담심리교육전공
3. 온라인 재택 수업 집중력 높이려면
2022.3.6. 고양신문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67106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9.27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5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